전국 장날일정표입니다









 


 


오늘은 귀농 귀촌에 필요한 농지원부 만드는데 참고가 될만한 글을 퍼 와서 올려 드릴까 합니다.


 


귀농 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풍성한 해남배추를 구경 하면서 농지원부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지요..


 


1. 농지원부 작성목적


 


1) 행정관서에서 농지의 소유 및 이용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 관리하기 위하여 작성 배치함.


 


2) 농지원부는 농지행정, 농정시책의 효율적인 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임.


 



 


 


2. 농지의 활용분야


 


1) 농지소유 및 임대차 현황파악 등 농지관리 업무의 기초자료


 


2) 농업관련 자금지원 대상농가 선정 등 농정시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3) 기타 농업인, 자경 여부 등 확인


 



 


 


3. 작성대상


 


1) 농지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


    1000제곱미터 이상(비닐하우스 등 시설인 경우 330제곱미터)의 농지에서 농작물을 경작 하거나 다년생식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는 경우


 


2) 준농업법인


  


     직접 농지에 농작물을 경작 하거나 다년생식물을 재배하는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농지법새행규칙 별표1에 의한 학교, 공공단체,


 


     농업생산자단체, 농업연구기관, 또는 농업기자재를 생산 하는 자


 


* 1세대 2인 이상의 농업인이 있을경우 농업경영을 주로 하는자를 대상으로 농가주로 등재


 


* 1000제곱미터(비닐하우 등 330제곱미터) 이상의 농지를 소유하고 있으면서 자경을 하지 않으면 농지 소유주는 작성을 할수 없고


 


   임차인이 작성 할수있음


 


* 농업경영이라 함은 자기의 계산과 책임으로 농업을 영위하는 것으로 단순히 농작업을 도와주는 경우에는 농업경영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농지원부는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 명의로 작성 해야함


 


* 경작하는 농지가 여러 시,구,읍,면에 소재 하더라도 그 면적이 1000제곱미터 이상이면 농지원부 작성이 가능함


 



 


 


4. 농지원부 작성 관련기관


 


1) 농업인 : 주소지 시, 구, 읍, 면, 동 사무소


 


2) 농업법인 또는 준농업법인 : 주사무소의 소재지 시, 구, 읍, 면, 동 사무소


 



 


 


5. 농지원부 작성 방법


 


1) 농지원부의 신규작성은 시, 구, 읍, 면의 공무원이 농지의 소유 및 이용상황을 파악하여 작성하는것이 원칙이나


 


    그 작성 및 변동사항의 정리가 누락된 경우에는 대상 농업인 등의 신청에 의하여 작성 하거나 변동사항을 정리함.


 


2) 대상 농업인 등의 농지원부의 작성이나 변경사항의 정리를 신청 할때에는 특별한 절차나 서식없이 방문 하거나 서신으로 신청 가능함.


 


3) 이 경우 특별한 서류가 필요 하지는 않지만 임대차계약에 의하여 농지를 경작하는 경우에는 임차권이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임대차계약서 사본 등)등 권리관계를 입증할수 있는 서류를 제출 함.


 


4) 토지 소재지가 관내일 경우에는 직접 확인 후 작성하나 토지 소재지가 타 시, 군, 구일 경우 경작 현황을 토지 소재지 시, 구, 읍, 면, 동사무소 조회 후 세대별로 작성 함.


 


5) 등재사항 : 농업인 인적사항 및 가족사항, 소유농지현황, 임차농지현황, 농지일반현황 등.


 



 


 


6. 농지원부 작성시점


 


농지를 취득 또는 임차한후 농업경영을 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는 시점임.


 


* 임대차기간 연장신고를 하였다고 해도 시기상 영농철이 아닌 경우 경작 현황을 확인할수 없으므로 지금 까지의 영농 사실이 입증되지


 


   않으면 영농에 착수하여야만 농지원부를 작성할수 있음.


 


* 신규로 농지를 취득한 후 영농의사는 있으나 아직 영농시기가 도래하지 않아 영농에 착수하지 않았다면 농업인으로 볼수 없으므로


 


   농지원부를 작성할수 없음.


 


* 농지소재지에 경작현황 파악이 곤란하다는 취지로 회신이 온 경우에는 당해 농지에 대한 경작 현황은 농지원부에 등재할수 없음.


 


* 겨울철 등 농한기에 일시 휴경하는 경우에는 농업경영관행상 경작하는 것으로 볼수 있으므로 쌀소득 등 보전직접지불금 관련자료,


 


   농협에서 발행하는 객관적인 증빙서류 등 영농사실을 확인 할수있는 자료나 농지소재지 농지관리위 원, 이장에 의하여 경작사실을


 


   확인받아 농지원부를 등재할수 있음.


 



 


?


*  농지원부는 농지의 소유여부가 아닌 경작 사실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있으므로 세대(주소지)가 다른 경우 각각


?


   1000제곱미터?(시설 330제곱미터) 이상의 농지에서 농작물을 경작하고 있다면 경작자 모두가 농업인에 해당 되므로


?


   각각의 농지원부 작성이 가능하나, 동일세대에서 가족이 농업경영에 종사 할 경우 그세대를 기준으로 작성.


?


* 1000제곱미터 이상의 농지에서 조경수 판매를 목적으로 재배하는 것이 확인되면 농지원부 작성 가능.


?


* 조경수나 관상수의 판매목적의 경우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더라도 영수증 등으로 판매실적이 확인되면 작성 가능.


?


* 지목이 임야인 토지를 형질변경하지 않고 수종 갱신만 한 경우 농지법상 농지가 아니므로 농지원부에 등재 할수없음.


?


?
 


 


* 형질변경 허가를 거치지 않고 토지의 형질을 변경하여 3년이상 과수 등을 재배한 경우에도 농지원부 등재 가능함.


 


* 산지관리법에 의한 형질변경절차를 거치지 않고 토지의 형질을 변경하여 3년이상 과수등을 재배한 경우에도 농지원부에 등재 할수 있음.


 


* 공부상 지목이 대지이나 실제로 농작물의 경작 또는 재배지로 3년이상 이용될경우 농지법상 사실농지에 해당하여 농지원부에 등재 가능.


 


* 법적지목이 하천 이라도 사실상 농지인 경우(3년이상 경작확인) 농지원부 작성 대상임.


 



 


 


* 종중 소유 농지의 경우 임대차계약서를 작성 할 경우 마을 이장등의 확인을 받아 등재할수 있음.


 


* 종중소유의 농지를 임차한 경우 조중 대표자 또는 총무와 임대차 계약 후 임차농지로 등재


 



 


 


(농지원부에 등록하면 유리한 점 및 활용 용도)


 


* 농업인으로 추정되고 법상 농업인 자격요구시 그 원부 사본 제출


 


* 토지거래 허가구역에서의 추가 농지 구입시 유리


 


* 농촌의 일부 세금 및 공과금 보험료 준조세등 감면 혜택


 


* 농업인 대상 자금 및 대부 지원시 확인서류


 


* 농지전용시 농지부담금 면제


 


* 농어촌출신 대학생 장학금 신청 서류


 


* 농업용 유류 구입시 일정량 면세


 

[농막신고] 농막신고하는 방법 알아보기

 


 


 


 


 


요즘 텃밭이 유행하는 것 같아요.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주말농장을 하시는분들도 많이 늘어났어요.


농사를 지으시다 보면 농기구 또는 소소한 물품들을 갖다놓으시고 휴식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죠.


그래서 농막 하나쯤은 갖다놓고 싶으신 분들이 많으실거에요.


1년 365일을 생활하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건축물로 허가를 받아 집을 짓기는 부담스럽고


이동도 편리하고 또 쓰지않을땐 되팔 수 있는 이동식하우스를 많이 찾으세요.


 


땅은 내땅이라도 하우스를 그냥 막 갖다놓을 수는 없는거죠. 참...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현실이... 안타깝지만


그래도 법은 지키며 살아야죠 +.+


 


농막, 가건축물 축조신고가 복잡하다 생각하시고 어디서 해야할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이 있으신 것 같아


농막신고하는 방법에대해 간단하게 설명 드리려고 해요 :)


 


 


 


 


농막신고img1


?


?


?


?이동식 하우스는 농막 / 가건축물에 해당됩니다.


지역마다 적용하는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 지역 건축과


가건축물 담당자와 꼭 상담 후 갖다놓으셔야 합니다.


 


 


 


 


 


 


?농막신고img2


 


 


 


농지 업무 편람에 정의된 농막의 범위부터 알아보면요.


 


농막이란.....


?1. 농업생산에 직접 필요한 시설일 것.


2. 주거 목적이 아닌 시설로서 농기구, 농약,비료 등 농업용 기자재 또는 종자의 보관,


   농업자의 휴식 및 간이취사 등을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


3. 연 면적의 함계가 20m² (6평) 이내일 것. = 3m X 6m 정도의 사이즈겠죠!!


 


?


?


?


?농막신고img3



 


?


농막의 요건


1. 이동이 가능해야함.


2.  20m² (6평) 이내일 것.


3. 정화조 시설은 할 수 없음. (간이 이동 화장실 설치가능)


4. 존치기간을 정하여 1년~2년간 사용이 가능하고 연장도 가능함.


5. 농막은 농림수산식품부에서 2012.11.01 부터 전기,수도, 가스,설치를 할 수 있도록 시행했습니다.


   (지역마다 적용범위가 조금씩 다를 수 있음)


6. 주거시 건축물로 간주함.


?


?


 


?


농막신고img4



?


?


?


그래서...오늘의 결론은요...


농림축산식품부에는 12.11.01 날짜로 농막설치 규제가 명확하게 개선이 되었지만


결론적으로는 지역마다 적용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농막이라도 가설건축물 축조신고를 하셔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꼭!


항상 가까운 해당 기관 건축과 가건축물 담당자만나 꼭 상담을 받아보셔야 한다는 겁니다.


?


농막 설치하기 참 ..... 까다롭죠 ^^;;;


이렇게 제약이 많다보니 저희도 판매율이 많이 떨어지네요 ....ㅠㅠ


 


 


 


 


 


농막신고img5


농막신고img6

? (클릭) 농막설치 규제개선 추진내용 링크 (8번에 농막적용 시행)


 


 


 


 


?


?농막신고img7


?


 




 



?농막 해당기사


? (클릭) 기사 내용 링크


?
앞으로 농막 생활이 한결 수월해질 전망이다. 농막에 전기·수도·가스 설치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9월26일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확정돼 11월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고 5일 밝혔다.


농막은 먼 거리에서 농사를 짓는 농업인이 농기구·농약·비료·종자를 보관하거나 잠깐의 휴식을 취하기 위해 농지에 설치하는 가건물을 말한다. 농지전용허가 절차를 거치지 않고 20㎡(6평)까지 지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농막이 주거시설로 이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전기·수도·가스 시설 설치가 허용되지 않아 농업인들의 불만이 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업인들이 농막에서 간단한 취사나 농작업 후 샤워를 할 수 있도록 간선공급설비 설치를 허용했다”고 말했다.


- ⓒ 농민신문 & nongmin.com 발췌. -


 


 


 


 

농막신고img10


 


농막을 신고하지 않고 사용할 수 없다면....


가설건축물 축조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관할시군구청에서 신고를 하시면 되구요.


신고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 ^^


 


 


가설건축물축조신고방법


-> http://blog.naver.com/junghaus9/220028041007


 


 


농막신고img11


농막신고!! 명확하게 작은 사이즈는 신고하지 않고 설치해도 된다!


라고 말씀드리고 싶지만 ..... 저도 그럴 수 없음에 안타깝네요.


여기까지 읽어주심 감사.


농막신고 잘 하셔서 예쁜농장 가꾸시길 바래요


 


 


 


 




 


윈도우7 에디션 종류와 기능들.

 

 

 

윈도우7에 종류는 많죠. 스타터 , 홈베이직 , 홈프리미엄 , 프로페셔널 , 엔터프라이즈 , 얼티메이트

 

6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32/64 나눠지면 10가지가 넘겠죠

 

 

 

먼저 각 에디션에 특징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7 스타터 Starter

 

64비트를 지원하지 않고 윈도우 에어로를 사용할 수 없다. 넷북 등의 용도로 경량화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한 에디이다.

 

원래 3개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띄울 수 없게 제한이 있었지만 현재 그 제한은 사라졌다고 한다. 이 에디션은 제조 회사

 

의 컴퓨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OEM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용량 제한은 250GB이다.

 

 

 

윈도우7 홈 베이직 Home Basic

 

브라질 , 중화인민공화국 , 인도 , 멕시코 등의 개발도상국에만 배포된다, 이 에 디션은 오스크레일리아 . 캐나라 . 프랑스.

 

독일 . 미국 . 영국 . 대한민국에는 배포되지 않는다. 다만 설치 DVD를 조작하여 설치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정품 인증이

 

되지 않는다. 실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수에 제한이 없지만, 윈도 에어로 기능과 멀티 터지, 윈도 미디어 센터 및 새

 

로운 게임이 포함되지 않는다.

 

 

 

윈도우7 홈 프리미엄 Home Premium

 

이 에디션은 가정용으로 만들어졌으며 윈도 미디어 센터, 윈도 에어로 인터페이스, 멀티터치가 가하다.

 

 

 

윈도우7 프로페셔널 Professional

 

이 에디션은 기업용으로 만들어졌으며 홈 프리미엄의 모든기능을 포함하고 여기에 몇가지 새로운 기능이 추되었다.

 

 

 

윈도우7 엔터프라이즈 Enterprice

 

대기업용으로 만들어진 에디션이며 볼륨 라이선스 형태로 제공된다. MUI 언어팩과 비트로커 드라이브 암호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테크넷에서 2010년 3월 31일까지 제한수량에 한하여 영어, 프랑스어 , 독일어 , 일본어 , 스페인어판의 90일 평가판을 내려받을 수

 

있었으나 현재 내려받을 수 없다.

 

 

 

윈도우7 얼티메이트 Ultimate

 

엔터프라이즈의 모든 기능을 포하고 있으며 기업에의 계약 판매를 기본으로 하는 엔터프라이즈와는 달리 개인용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홈 프리미엄과 프로세셔널 사용자는 비용을 지불하고 윈도 애니타임 업그레이드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윈도 비스타 얼티밋에는 있던

 

엑스트라 기능이 윈도 7에는 없다.

 

 

 

 

 

아래 그림은 윈도우7 종류의 기능들에 사용가능 유무표 입니다.

 

 

 

 

 

 

그래프에 내용을 보면 윈도우에 관련해서 잘 모르시는분들은 뭔내용인지 모를수도 있을것입니다.

 

 

 

각운영체제에 특징을 다시 쉽게 얘기한다면

 

 

 

윈도우7 스타터 : 넷북같은 저사양에 설치하는 운영체제.하드 250GB이상은 인식하지 못함. 에어로기능 불가

 

윈도우7 홈베이직 : 개발도상국에만 배포됨 . 국내 배포안되어있음 . DVD를 구한다면 설치는 가능하겠지만 인증안됨 (배포 안되어있기에

 

기능 설명은 하지않겠습니다 ㅋ;)

 

윈도우7 홈프리미엄 : 일반 가정용PC에 적합함 , 에어로기능 사용가능.일반 사용자들에게 추천 (일반PC 추천)

 

윈도우7 프로페셔널 : 기업용PC에 적합함 , 홈프리미엄에 모든기능이 포함돼어있고 몇몇 기업용으로서에 기능들 추가됨.

 

윈도우7 엔터프라이즈 : 대기업용으로 만들어져있고.. 윈도우7에 모든기능이 지원됨(윈도우 자체게임기능빼고) 모든기능이 지원되는 만큼 PC에

 

사양도 조금은 높아야됨.

 

윈도우7 얼티메이트 : 일반 개인도 사용가능, 윈도우7 모든기능사용가능함, 저사양에서는 추천하지않고 고사양에 PC에서는 추천함

 

(고사양PC 추천)

 

 

 

 

 

딱 이정도 까지고요.

 

 

 

위 내용들을 봐서 알겠지만 일반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윈도우 홈 프리미엄을 추천합니다.

 

고사양에 하이엔드컴퓨터 유저들에게는 윈도우7 얼티메이트를 사용해서 윈도우7 만에 여러기능들을 사용해보는것도 아주 좋을거 같네요

 

 


칠 창(漆瘡 ; 옻독) 치료법


[옻독 푸는 칠해목]

칠해목을 달여먹으면 옻독이 풀린다.

자연에는 모든 질병을 고칠 수 있는 약이 있다. 그럼에도 질병으로 신음하고 죽어가는 사람이 많은 것은
사람이 자연을 알지 못하고, 또 알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하찮게 여기는 풀이나 나무가 인류가
불치병으로 여기고 있는 질병에 매우 큰 효력을 발휘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일이 많다. 옻독을 푸는 데
신약이라고 할 칠해목(漆解木)에 대한 이야기도 식물의 생태를 나름대로 연구하던 중에 알게 된 것이다.
옻나무를 만지거나 몸이 닿으면 옻이 오르는 사람이 많다. 옻으로 인한 피부염은 농촌 사람들한테 매우
심한 고통을 주는 질병 중에 하나이다. 몸에 열이 많으며 혈액형이 O형이고 소양체질인 사람이 옻을 심하게
탄다. 옻에 민감한 사람은 옻나무 옆을 지나가거나 보기만 해도 옻이 오른다.

옻이 올랐을 때 쓰는 민간요법으로 쌀을 씹어서 바르거나, 날달걀을 깨어서 바르거나, 밤나무 삶은 물을 바르거나, 백반을 녹여서 바르거나 하는 방법들이 있다. 웬만한 증상은 이런 방법으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옻이 온 몸에 올라 퉁퉁 붓고, 진물이 흐르고, 몹시 가렵고 고통스러울 때에는 어떤 치료법을 써도 잘 낫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독이 있으면 그 독을 풀 수 있는 약도 가까이에 있는 것이 오묘한 자연의 법칙이다. 여러 해 전에 강원도에 있는 어느 옻나무 숲을 관찰하러 갔을 때의 일이다. 무성한 옻나무 숲에서 맑은 물이 흘러내리고 있었다. 그런데 이곳 주민들의 얘기로는 이 물을 마시거나 목욕을 하면 절대로 옻이 오르지 않는다고 했다. 주민들의 말에 흥미를 느낀 나는 그 옻나무 숲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의문에 대한 답은 가까운 곳에 있었다. 옻나무와 한데 어울려 자라고 있는 키 작은 식물이 눈에 뛰었던 것이다. 그것은 바로 칠해목이었다. 그 뒤로 이 나무와 옻나무와 공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 군데의 옻나무 숲을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많은 곳에서 옻나무와 칠해목이 공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칠해목은 큰 산에서 갈라진 작은 산줄기의 계곡이나 야산, 개울둔덕, 밭 기슭, 마을 주변의 숲 같은 데서 옻나무와 공생하거나 옻나무에서 1∼5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자란다. 옻나무와 공생하고 있는 것을 보면 뿌리가 서로 감겨 있으며 이 나무만 홀로 자라고 있는 것도 자세히 살펴보면 옆에 죽은 옻나무 그루터기가 있었다. 옻나무 1천여 그루를 조사한 결과 90% 이상이 칠해목과 공생하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칠해목은 낙엽성 떨기나무로 키가 1∼1.5m 정도 자란다. 나무줄기가 땅에 닿아 흙에 덮인 곳에서 뿌리가 생긴다.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졌으며 잎꼭지가 있다. 밑 부분은 심장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으로 되어 있다. 겨울철에도 푸른색으로 남아 있거나 또는 단풍 든 잎이 2∼3장씩 붙어 있으며 덤불 속에서는 겨울에도 잎이 더러 살아 있는 경우가 있다.

칠해목으로 옻독을 치료하는 방법

1, 칠해목 잎과 줄기 200그램을 생으로 잘게 썰어 따뜻한 물 4리터에 2시간 쯤 담가두었다가 천천히 불을 때면서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인다. 이렇게 달이면 진한 맥주 빛깔이 나는데 이것을 천으로 걸러서 한번에 100밀리리터씩 하루 3번 마신다. 증상이 가벼운 사람은 2∼3일, 심한 사람은 3∼7일 동안 복용한다.

2, 칠해목 달인 물을 복용하면 첫날부터 염증이나 화끈화끈하고 가려운 증상, 부종 등이 없어지고 살갗이 꾸득꾸득하게 마르면서 깨끗하게 낫는다. 부작용과 독성이 없으며 100퍼센트 완치된다. 다른치료법 보다 효과가 두 배 이상 빠르며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치료법이다.

(글/ 한국토종약초연구소 회장 최진규)

칠해목을 중국 본초도감에서는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라고 되어 있으며, 북한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풍을 없애고 경맥을 잘 통하게 하며 출혈, 통증, 해소 등을 멈춘다."
허리와 뼈마디가 아픈데, 산후출혈, 월경과다, 타박상, 옹저, 옴 등에 잘 듣는다. 피부병에 사용할 때는 달인 물로 씻는다. 민간에서는 불면증에도 사용한다. 열매는 위통, 위궤양에 사용한다. 즙을 내어 먹거나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이뇨제로도 사용한다. 이질균을 억제시키는 작용이 있다. 전염성 간염에 신선한 것 240그램을 달여서 복용하면 황달이 없어지며, 간 기능 회복등에 좋은 효험이 있다. 부작용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그 외 칠 창(漆瘡 ; 옻독) 치료법]


♤명태요법(추천)
옻이 심하게 오르지 않으면 녹반이나 백반을 풀어서 바르면 되지만 좀 심하게 탄다고 판단되면 동해산 마른 명태 5마리를 머리와 몸통 전체를 함께 푹 고아 국물과 건데기를 모두 먹으면 5일 전후해서 완전히 풀린다.
예) 일부인이 남편따라 옻닭 먹어러 갔다가 부인도 얻어 먹었는데,항문 주위와 질이 가려워서 긁었으니 형편무인지경이 되었을 것이다. 가렵고 따갑고 쓰라려서 죽을 지경이었는데 명태 10마리를 달여서 먹고는 나앗다. 처음 한 마리를 먹었더니 훨씬 덜하였다고 한다. 옻이 위험하게 오를 경우에만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북어는 약효마저 해독 시켜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탕약을 복용할 때 돼지고기와 더불어 명태도 금기음식이 된다.

♤개고기나 닭고기를 오래도록 고아 진하게 달여 국물을 환부에 바른다. 하루에 몇차례 발라준다.

♤간장(조선간장)을 달여 환부에 발라준다.

♤쌀을 입으로 씹어 환부에 바른다.

♤백반을 물에타서 환부에 바른다.

♤뜨거운(80∼90도) 물에 밤잎을 담가 두었다가 물이 40도가 되었을 때 목욕을 한다. 온몸을 밤나무 잎으로 문지른다.

♤메밀대를 잘게 썰어 물을 충분히 부은 가마솥에 넣고 끓여서 식힌 후 건더기째 온몸을 문지르듯 골고루 닦아낸다. 몇번 반복한다.

♤옻을 많이타는 사람은 밤나무잎을 말려 차로 6개월정도 장복한다. 이듬해 부터는 옻이 오르지
않는 다. 머리 염색시 옻을 타는 사람도 좋다.

♤논밭두렁에서 자생하는 뱀딸기 풀뿌리를 캐서 진하게 달여 바르면 낫는다.


♤게나 새우를 물에 삶아 찌꺼기를 버리고 목욕을 하거나 씻어 주거나 하며 또는 산 게를 짓찧어 그대로
옻독이 생긴 부위에 1-2회 바르거나 고운 체에 걸러 그 물로 자주 세척한다.

♤경천(景天 ; 꿩의비름·큰 꿩의비름의 전초)15-30g을 달여서 1일 3회 나누어 복용하면서 그 물로 씻는다.

♤계자백(鷄子白 ; 계란 흰자위)이나 닭의 피를 옻이 생긴 부위에 자주 바른다.

♤밤나무를 잘게 썰어 달인 물로 옻이 생긴 부위를 자주 씻거나 밤나무 잎이나 송엽(松葉 ;솔잎)또는
산초나무 잎, 메밀의 줄기와 잎 등 어느 것이든 물에 달여 서 목욕하면 잘 낫는다.

♤백모근(白茅根 ; 띠 뿌리) 또는 율목피(栗木皮 ; 밤나무의 껍질)를 물에 진하게 달여서 환처를 씻어 준다.

♤산초엽(山椒葉 ; 초피나무의 잎) 적당량을 물에 달이거나 짓찧어서 환처에 바르 거나 세척해 준다.

♤율엽(栗葉 ; 밤나무의 잎) 신선한 것을 짓찧어 바르거나 물에 달여서 씻어 준 다.

♤접골목(接骨木 ; 딱총나무의 줄기와 가지) 적당량을 달여 옻이 생긴 환처 부위 를 씻는다.

♤춘엽(椿葉 ; 참죽나무의 잎) 적당량을 물에 진하게 달여서 환처에 바르거나 자 주 씻어 준다.

♤칠고초(漆姑草 ; 개미자리의 전초) 마른 것 15g을 물에 달여 1일 3회 나누어 복용하거나 신선한 것
적당량을 짓찧어 즙을 내서 환처에 바른다.

♤찹쌀을 빻아서 환부에 붙인다.

♤팽나무(느릅나무科)잎을 달인 물로 濕布한다.

♤보리짚을 태워서 잿물을 넣어 그것으로 닦아낸다. 실제로 분말을 물에 반죽하여 붙여도 좋다.

♤도라지(길경)의 줄기 및 잎을 생으로 즙을 내어 붙이거나 말린 것은 물에 담그어 즙을 내어서 붙인다.

♤수양버들(버드나무)잎을 진하게 달여서 濕布한다.

♤삼나무 잎을 달인 물로 환부를 닦아준다.

♤쇠뜨기(筆頭菜)를 생즙을 내어 닦아주거나 달여서 씻어준다.

♤털머위(菊花科)나 범의귀의 생잎과 줄기를 묶어서 즙을 내어 환부에 붙인다.

♤부추의 생잎을 찧은 즙을 환부에 붙이거나 박하 잎을 달여서 환부를 씻어준다.

♤대싸리의 열매를 넣고 달인 물로 濕布하거나 혹은 떨어진 마른 잎의 가루를 주머니에 넣고 뜨거운 물에 넣었다가 꺼내어 濕布한다.

♤붕산수를 헝겊에 적셔 환부에 바른다.

♤개울 상류의 돌 밑에 사는 작은 가재의 즙을 내어 바른다.

♤노송(老松)의 심재에서 추출 된 황색 물을 바른다.

♤유부(油腐)를 환부에 마찰시켜도 효과가 있다.

♤칼슘 주사도 효과가 있다.

♤여름철 전신에 옻(漆)이 오른 경우에는 해수욕을 2-3일 정도 한다.

♤닭털을 삶은 물을 식혀 환부를 씻는다.


▒ <그림> 황율 ▒
<설명>밤을 말려 약용한 것으로 옻이 오르든가 독충에 물렸을 때 날밤을 씹어 붙이면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옻은 독이 있어서 위험하지만. 그 독이 몸속의 독을 이열치열로 풀어줍니다.

그래서 특히 암환자들에게 좋습니다.

그러나 몸 면역력이 약한 혈액형O형은 옻을 잘못 먹으면 탈이 납니다.

옻을 그대로 먹은 경우는 위험한데, 닭등과 함께 드신 경우는 자연치료가 됩니다.

이런 경우는 그냥 집에서 가만 계시면 1-2개월에 걸쳐서 자연치료가 됩니다.

옻 올랐을때 특히 주의점은 "혈관주사"를 맞으면 안됩니다.

죽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밥물을 하시면 집에서 밥물하시고, 가려우면 욕조에 뜨거운 물 받아놓고 뜨거운 물로 찜질을 하시면 가려움이 다소 풀릴수도 있습니다.

이땐 환자의 컨디션을 잘 파악해서 찜질하시면 됩니다.

 

애기똥풀이란 풀을 찧어서 그 즙을 몸에 계속 바르기도 합니다.

또한 법제가 잘 된 백반,난반,녹반을 물에 풀어서 바르고 복용을 하면 좋습니다.

백반은 신기한 물질입니다. 특히 9회죽염과 5대1의 비율로 백반을 조금 섞어 복용하고 바르면 참 좋습니다.

제가 알고있는 바로 난반과 녹반을 아주 잘 법제하면서도 시중가에 비해 저렴하게 파는 곳이 있습니다.

 http://cafe.daum.net/gjtoddh1 여기 가셔서 녹반이나 난반을 구하셔서 몸에 바르면서 죽염과 함께 복용해 보셔도 좋습니다.

 

옻이 몸에 참 좋습니다.

옻을 녹두알 처럼 작게해서 계란에 섞어서 날마다 먹으면서 차츰 그 양을 늘리면 어느누구라도 옻이 오르지 않고 옻의 약효를 본다고 합니다.

저 같으면 당장 퇴원해서 밥물하시면서 애기똥풀이나 박하잎이나 찧어바르고, 또한 백반,난반,녹반을 바르겠습니다.

 

백난 난반등은 죽염과 같이 복용하면 건강에 굉장히 좋은 것입니다.

옻에는 효과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옻은 심한 경우 1-2개월 걸리기도 하니 자연치료가 됩니다.

하지만 조심할 것은 병원서 피주사를 맞으면 5-6시간 안에 죽습니다.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밥물로 물없이 단식도 하시고 기다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혈액형B형은 옻이 굉장히 좋은 약으로 암까지 치료합니다.

혈액형 A형은 별 효과 없고, 혈액형O형은 옻의 부작용이 크니 조심해야 합니다.

죽염을 5천도 고열에 구우면 완전무결하게 좋은 죽염이 되어 암치료제가 완벽해 진다 합니다.

건강에 그렇게 좋습니다. 하지만. 현제로 1천5백도 정도에서 구우니 약간의 부족처가 있는데 백반, 난반이 그것을 보충해 줍니다.

 치골암이나 식도암 같은 경우 죽염과 녹반으로 치료가 굉장히 잘 됩니다.


옻은 알레르기 증상의 일종으로 100명에 1명정도가 그렇답니다. 옻닭 등을 먹고 옻이 오르면 온몸이 가려워 집니다. 좁쌀같은 발진이 생겨 그것이 터지면 진물이 흐르면서 피부로 번져 곪게 되는 질병입니다. 손가락이나 발가락 사이, 오금이나 겨드랑이 등 약한 곳으로 번지는데 따갑고 몹시 가려워 견디기 힘들지요! 전염성은 없으나 심하면 몸속으로 들어간다고 하는데 생명까지 위험하게 만드는 고약스런 병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옻의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입니다.

민간요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옻이 오른데는 밤나무 잎이 가장 탁월한 효과를 냅니다.밤나무 잎을 끓인 물로 목욕을 하면 좋은 효과를 봅니다. 밤나무 잎을 자루에 담아 열탕에 오래 담가두어 우러나면 그 물에 목욕을 해도 좋습니다.
더 간단하게 조치하는 방법은 생 잎을 그대로 짓찧어 그 즙을 발라도 낫습니다.
평소에 옻이 잘 오르는 체질을 지니고 있는 사람도 밤나무 잎을 달인 물을 꾸준히 복용하면 옻이 올라 고생하는 일로부터 벗어나게 됩니다.
◈ 또 한가지 옻이 올랐을 때 예로부터 자주 애용하던 효과적인 방법으로, 닭을 잡아서 고기는 먹고 그 물로 환부를 씻으면 잘 낫습니다. 만일 닭이 없는 경우에는 계란을 삶아 먹으면서 날 계란을 염증이 생긴 곳에 발라도 효과가 있지요.
◈ 부추를 짓찧어 즙을 환부에 바르거나 백반 끓인 물로 환부를 씻어주어도 효과가 있습니다. 


◈ 옻오름의 가려움 치료요법

① 산초나무잎을 달여 濕布한다.
② 찹쌀을 빻아서 환부에 붙인다.
③ 팽나무(느릅나무科)잎을 달인 물로 濕布한다.
④ 보리짚을 태워서 잿물을 넣어 그것으로 닦아낸다. 실제로 분말을 물에 반죽하여 붙여도 좋다.
⑤ 옻오름에서 피부염을 발생시키는 것은 가다랭이를 쪼개어 쪄서 말린 포를 물에 넣고 아교가 될 때까지 진하게 끓여 마시면 좋다.
⑥ 게즙을 바르면 좋다.
⑦ 도라지(길경)의 줄기 및 잎을 생으로 즙을 내어 붙이거나 말린 것은 물에 담그어 즙을 내어서 붙인다.
⑧ 밤나무잎을 물에 진하게 달여서 濕布한다.
⑨ 산초나무의 果皮를 달여서 가려운 부분을 씻어준다. 또는 줄기의 껍질, 잎, 열매 등을 끓여서 患部에 濕布한다.
⑩ 수양버들(버드나무)잎을 진하게 달여서 濕布한다.
⑪ 삼나무 잎을 달인 물로 환부를 닦아준다.
⑫ 쇠뜨기(筆頭菜)를 생즙을 내어 닦아주거나 달여서 씻어준다.
⑬ 털머위(菊花科)나 범의귀의 생잎과 줄기를 묶어서 즙을 내어 환부에 붙인다.
⑭ 부추의 생잎을 찧은 즙을 환부에 붙이거나 박하 잎을 달여서 환부를 씻어준다.
⑮ 대싸리의 열매를 넣고 달인 물로 濕布하거나 혹은 떨어진 마른 잎의 가루를 주머니에 넣고 뜨거운 물에 넣었다가 꺼내어 濕布한다.


아침, 저녁으로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차고 건조한 날이 이어지면, 기침과 재채기..천식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더욱 심해져 주의가 필요한데요, 쉴새없이 흐르는 콧물로 인한 괴로움..겪어 본 사람만이 아는 고통! 내 증상이 과연 감기일까요? 알레르기 비염일까요?

 

 

  알레르기 비염과 감기는 어떻게 다를까?

 

 

알레르기 비염』은 코 안의 점막이 특정물질(꽃가루, 집먼지 진드기등..)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코 안쪽의 알레르기 염증반응입니다. 전체 비염환자의 과반수를 차지하고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재채기를 연속적으로 하고 동시에 맑은 콧물이 흐르며 눈과 코의 가려움증과 코막힘이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하지만, 이런 증상들이 그다지 오래가지 않는다면『 감기』일 확률이 높습니다. 감기의 경우엔 전신 근육통 및 인후통등의 증상이 수반되므로 알레르기 비염과 확연히 구분이 됩니다.

 

moon_and_james-59

 

 

  알레르기 비염을 일으키는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집먼지 진드기

섭씨 25도와 습도 80%의 먼지가 많은 곳에서 서식합니다. 몸에서 배출된 땀과 수분등으로 눅눅해진 침구류가 집먼지 진드기의 가장 좋은 서식처가 되고 있습니다.

 

2. 꽃가루

봄철에 꽃가루 알레르기가 많이 발생하는데, 그 원인이 되는 나무로는 자작나무, 개암나무, 느릅나무, 포플러나무, 은행나무, 참나무 등으로 4-6월 사이에 꽃가루를 가장 많이 날리고, 쑥, 돼지풀, 비름, 환삼덩굴, 질경이등의 식물은 9-11월에 알레르기를 많이 일으킵니다.

 

3. 애완동물

애완동물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피부에서 떨어지는 비듬이지만 소변과 타액도 원인입니다.

 

4. 음식물

매우 드물긴 하지만 아이들에게는 계란, 우유, 콩등이, 어른에게는 곡류, 어류, 새우, 게등이 알레르기 비염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망고, 키위등의 과일도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고통스러운 '알레르기 비염'을 예방하는 방법은?

 

 

알레르기 질환이 의심된다면,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은 '회피요법'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되는 물질을 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을 주변에서 완전히 제거하거나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적절한 '약물요법'으로 증세를 완화시키도록 해야합니다.

 

1.집먼지 진드기의 경우 베개와 침구류를 최소 일주일에 한번 이상 뜨거운 물로 세탁을 하고 매트리스, 카펫, 천으로 된 소파나 인형등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집안의 습도를 낮추어 50%이하로 유지함과 더불어 환기를 자주하는 등...환경을 깨끗이 유지하도록 합니다.


 

 

2. 꽃가루가 원인인 경우 계절적으로만 증상이 나타나므로 가급적 이 시기에는 외출을 삼가하거나 마스크를 꼭 착용하도록 합니다. 또한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시간은 오전5시부터 10시사이 이므로 이 시간대에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하도록 합니다.


 


3. 애완동물은 일주일에 1회이상 목욕을 시켜 청결함을 유지시키고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는 경우, 즉시 그 주변을 청소하도록 합니다.

 

4. 평소에 알레르기가 자주 발생하는 사람은 자신이 먹은 음식물등에 대하여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고, 특정 음식이 알레르기 증세를 일으킨다고 판단되면, 의사와의 상담을 통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한 후 해당 음식물의 섭취를 피하도록 합니다.

 

5.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의 알레르기 증세가 계속된다면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도록 합니다. 이는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한 약품입니다만, 졸음과 중추신경 억제효과가 있으므로 복용시에는 의사와의 상담이 필수입니다.




이 외에도 곰팡이, 바퀴벌레등이 항원으로 작용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기도 하므로, 주변의 청결이 모든 알레르기를 저지할 수 있는 예방법이며 해결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의 가장 큰 원인! 『집먼지 진드기』에 대하여..

 

 

'집먼지 진드기'는 크기가 0.1~0.3mm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으며 최적의 서식처는 적당한 온도와 적당한 습도(몸에서 배출된 땀과 수분)가 유지되는 침대 매트리스, 침구류, 천소파, 카펫, 쿠션등.. 동물의 몸에서 떨어진 피부각질을 주영양분으로 먹고 서식합니다. 이 진드기가 직접 물거나 전염병을 옮기지는 않지만 하지만 그 배설물이나 죽어서 생긴 사체 부스러기가! 침대 매트리스 위에서 몸을 뒤척이거나 움직이고 이불을 들썩일때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피부(코의 점막등)에 닿게 되면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집먼지 진드기로 부터 '나'를 지키려면..

 

 

1. 아침에 일어나면 침대에서 이불, 매트리스 카바등을 벗기고 매트리스에 밴 땀을 말려주세요!

방망이로 매트리스, 침구류, 배게등을 사정없이 두드리고 나서, 진공청소기로 먼지를 흡입합니다.




2. 베이킹소다 혹은 굵은 소금을 매트리스에 골고루 발라주고 30분~1시간 경과 후, 진공청소기로 제거 해주면 훨씬 더 효과적입니다.




3. 스팀청소기로 청소하는 경우, 열기로만! 청소합니다. 스팀청소기의 습기가 되레 진드기를 키우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4. 이 모든 과정과 더불어 확실한 마무리는 '햇볕에 널어 일광소독'입니다.

 일광소독은 자주 (최소 한달에 한번) 해 주도록 합니다.



5. 양면 매트리스는 3개월에 한번씩 상하를 바꿔주고, 6개월에 한번은 앞뒷면을 뒤집도록 합니다.

 

6. 매트리스 커버는 1주일에 한번씩 세탁(삶는 방법)해 주세요

 

7. 각종 침구류(이불, 요, 베개 및 매트리스)의 속 싸개로 비닐 또는 알레르겐 방지용 커버(특수 천)를 이용합니다.



8. 양탄자 및 천으로 된 가구(소파 등)의 사용을 피합니다.

 

9. 어린이에게는 천으로 된 장난감(봉제인형 등)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10. 물걸레 청소로 집안먼지를 제거한 후에는 환기를 시켜 습기를 제거하도록 합니다.

 

11. 집먼지 진드기는 매운 향을 싫어하기 때문에, 계피(사진: 中) 끓인 물과 알코올을 9대 1로 섞어 옷이나 이불, 커튼 등에 수시로 뿌려주면 진드기 제거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습기제거는 필수!  '계피 스프레이'는 판매 상품(사진: 右)으로 나와 있는 것도 있지만, 만들기 쉬우므로 집에서(사진: 左)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집먼지 진드기 박멸 『계피 스프레이 만들기』

 

 

계피 스프레이에는 에탄올 성분이 있으므로 피부에 직접 분사하면 안됩니다.

'계피'는 재래시장에서 구입,  '무수 에탄올(알콜 100%)'은 약국에서 구입이 가능합니다.



'계피 스프레이'는 만들기가 너무 쉬워서 "에이~~" 하며 효과에 대해 미심쩍어 하는 분들이 많겠지만, 방송과 언론매체를 통해 친환경 소재의 집먼지 진드기 예방 및 처치에 놀라운 효과가 있음이 이미 입증된 바 있습니다. '계피'를 이용한 천연 살충제! 꼭 만들어 보세요.


 


오늘도,, 코를 훌쩍이며 우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집안 환경을 청결히하고, 알레르기 항원을 제거하는 노력만으로도 증상완화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하니,위에 열거한 방법을 꼭 실천하셔서 콧물과 재채기로부터 하루빨리 해방되시길 바랍니다.

'취미상식정보 > 웰빙건강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옻 독 치료법  (0) 2015.02.20
옻에 올랐을때 처방법   (0) 2015.02.19
부위별 테이핑 요법  (0) 2014.11.15
치아질환 종류별 치약 선택법  (0) 2014.11.09
계절별 채소 식단표  (0) 2014.10.13

오늘은 솔방울을 가지고 하는 공예 자료를 좀 가지고 와 봤습니다.

 



 

외국은 주택이 많고 숲이 많아서 그런지 이 솔방울을 가지고 참 많은 걸 많드네요.

 

 

 


 

두꺼운 종이를 원뿔 모양으로 접고 그 위에다가 솔방울을 붙여서 트리를 만들었네요.

여기다가 반짝이 줄 좀 두르거나 솜 좀 붙여주면  미니트리로 참 이쁘겠는데요 ^^

 

 

 

 

 

 


 

솔직히 솔방울과 나뭇잎은 그냥 무심히 놓아둬도 가을이나 겨울 분위기 내기 좋은 네츄럴한 소재긴 하죠.

 

 

 

 

솔방울이 무지 많다면 이렇게 풍성한 리스 만들기 권해 드립니다. ^^

 

 

 

 

 

몇 개 없다면 이런 식으로 나뭇가지와 콜라보 해서~ 리스를 ^^

 

 

 

 


 

리스 만들기 귀찮으신 분들은 그냥 실로 몇 개 이렇게 꿰어 달아두셔도 괜찮겠네요.

 

 

 




 

이것도 괜찮은 아이디어인 거 같아요 ^^

빈 액자 프레임에 이렇게 장식처럼 달아놓는 거....

 

 

 

 

 


 

 


 

보기만 해도 미소지어지는 귀여운 인형... 이건 펠트지와  계란껍질이나 천같은 걸로 만들 수 있겠네요.

?붙이는 건 글루건으로 하고...

?

?

?

?

?

?

?
 

펠트지와 저 인형눈은 다 문방구나 대형마트에 파는 거 아시죠? ^^

 

 

 


아이들과 함께 하드 먹고 남은 나무 막대기로 같이 만들어보시는 것도 ^^

 

 

 



 

이렇게 끝에만 페인트를 묻히는 방법은 페인트 위에 살짝 솔방울을 굴리면 되던데... 근데 이렇게 일정하게 묻혀지나..

이건 일일히 붙으로 그린 게 아닌가... 쉽기도 합니다만.....

 

 

 

 이렇게  아예 통째로 담갔다가 빼서 달아놓고 말리면 전체가 골고루 페인팅되기도 합니다.

물론 솔방울의 꼭지나 가지를 떼지 않고 하거나 만약 없다면 나뭇가지나 실같은 걸 매달아놓고 담그셔야 골고루 잘 묻습니다.

 

 

 

 

 

 

 

조화 만들 때 꽃잎을 일일히 만들지 말고 솔방울로 대신 하는 것도 괜찮을 거 같네요.

 

 

 

 


 

트리에 그냥 솔방울을 달기만 해도 훌륭한 소품이 되구요.

 

 






 

손님이 많을 때 이렇게 테이블 위에 이름표 대신 꽂아놓거나 부페 상차림에 음식 앞에 요렇게 놓아두면 깜찍한 테이블 테코를~ ^^

 

 


 

솔방울 위에 본드를 묻히고 그 위에 반짝이 가루를 뿌리시면 진정한 크리스마스 소품 분위기가 나구요 ^^

 

  

정말 솔방울을 가지고 다양한 활용 사례들이 많네요. ^^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및 중증환자 등록절차

  2005. 8.  출처: 국민건강 보험공단

목 차

Ⅰ. 보장성 강화의 필요성-------------------- 1

Ⅱ. 보장성 강화 추진방향-------------------- 2

Ⅲ. 중증환자 등록------------------------- 3

Ⅳ. 요양기관 관련----------------------------7

※ 첨부자료

▣ 별첨1 본인부담금 경감대상 수술코드

▣ 별첨2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 신청서

▣ 별첨3 중증진료 등록․확인증

 

본 자료는 제도 도입 준비를 위한 설명자료이므로 세부적인 사항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제도 시행 시 문제점에 대한 의견수렴을 하고자 하니

아래의 연락처로 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한 고견을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705-6489~91

대한병원협회

02-503-7534

02-3270-9822~9

02-705-9253

dew77@mohw.go.kr

arachne101@nhic.or.kr

jinny416@hiramail.net

jsh@kha.or.kr

 Ⅰ. 보장성 강화의 필요성

 

낮은 보장성

○ 저부담 ­ 저급여 보험급여체계 운영으로 건강보험 보장성이 선진국 보다 낮음(건강보험 급여율은 약국포함 61.3%)

※ OECD 국가 대부분은 의료비 중 공공재원 비율이 70% 이상

○ 인구의 고령화 및 중증만성질환의 의료수요 증가

 

고액․중증상병에 대한 높은 본인부담

○ 고액진료비로 인한 가계파탄을 방지하고, 건강보험 보장성강화에 대한 국민의 욕구 증대.

암 같은 중증질환자의 보장률은 평균보다 더욱 낮아 절반에 못 미침 (암환자 급여율 47%)

○ 따라서, 고액중증상병인 암환자를 중심으로 건강보험의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 강화 시급.

 

☞ 중증질환의 고액진료비는 빈곤전락의 주요 원인이며, 증가하고 있는 암 발생률 등을 고려할 때 본인부담 경감 시급

※ 시행시기 : 2005. 9. 1부터 

Ⅱ. 보장성 강화 추진방향

  암 등 중증환자 부담 획기적 경감

○ 진료비 부담 경감이 시급한 대상 질환 선정

상병별 우선순위 선정기준에 따라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선정

 

 

- (백혈병, 위암, 폐암, 뇌종양 등 모든 암)

- 중증심장질환 (협심증, 심장기형 등 심장환자로 개심수술 경우)

- 중증뇌혈관질환 (뇌출혈 등 뇌혈관 환자로 개두수술 경우)

 

진료비 부담이 큰 중증환자의 본인부담률 경감, 보장성 강화로 건강보험 보장률을 선진국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향상

  보장성 강화의 내용

○ 「의료적 비급여」에 대해 급여전환

대상 중증상병과 관련되어 보험급여가 적용되지 않는 의약품, 검사 등에 적용 확대

○ 특히 항암제 및 항암제 관련 약제에 대해서는 진료의사의 판단을 최대한 존중하여 개별심사․삭감방식을 지양하고 포괄적으로 급여인정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과도한 부분은 평가로 관리

 

※ 의학전문가가 참여한 적정한 급여인정 시스템을 구축하고, 중증환자 평가체계를 갖추어 적정평가 시행

○ 법정본인부담률 인하

법정본인부담률을 현행 총 진료비의 20%에서 10%로 절반 인하

․ 상병별 본인부담률 인하가 적용되는 기간을 선정하여 집중지원

▶ 암은 신청한 날로부터 입원, 외래 포함하여 5년

심장․뇌질환은 입원하여 수술(개심․개두술)한 경우 최대 30일

 

  의료부분 급여확대․법정본인부담경감․식대의 보험적용 등 단계적 급여확대에 따라 ‘07년에 이르면 암환자 급여율 75%

 

 

? 보건복지부 www.mohw.go.kr

 

 

알림마당→브리핑룸→보도자료→2085번

? 국민건강보험공단 www.nhic.or.kr

 

알림마당→공지사항→34번

 

※ 보장성 강화방안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공청회 자료집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방안수립을 위한 공청회 참조  

 

  Ⅲ. 중증환자 등록

  등록 목적

○ 보장성 강화 목적에 적합한 대상자를 명확히 함으로써 도덕적 해이 방지

○ 신청 환자에 대한 등록증 교부로 의료기관 이용시 편의성 도모

  등록 대상 : 보장성강화 대상 중증환자

○ 암(C00~C97, D00~D09, D32~D33, D37~D48)

○ 심장 및 뇌혈관질환 (해당 수술을 한 경우 - 수술코드 별첨1)

다만, 심장과 뇌혈관질환은 적용기간이 짧은 점을 감안하여 요양기관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심평원에 청구함으로써 등록으로 갈음

※ 첨부된 수술코드는 본인부담금산정특례고시 개정사항에 따라 추가변동 가능성 있음

 

적용시기 : 2005년 9월 1일부터

 

등록절차

신청 구비서류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 신청서(별첨2)

암 : 신청서 작성 후 공단에 제출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자(해당 수술을 한 경우)는 신청서를 요양기관이 보관

․ 심장 및 뇌혈관질환은 공단에 별도의 서류 제출 절차 없음

(요양기관이 수술 동의서 작성 시 환자로부터 신청서를 받아 보관)

신청 방법

<방법 1>

환자 또는 보호자가 ‘요양기관의 확인란’이 기재된 신청서를 요양기관으로부터 발급받아 직접 공단 각 지사에 신청

<방법 2>

요양기관에서 일괄접수 후 신청서를 모아 공단 각 지사에 제출

(초기에는 효율성 도모를 위하여 공단직원이 방문하여 회수)

<방법 3>

요양기관이 공단 EDI 전산망을 통해서 전산등록․신청 대행

(‘05. 10. 1이후부터 가능)

<방법 4>

공단 직원이 요양기관에 직접 나가 접수(공간제공 등 요양기관 협조 필요 - 컴퓨터단말기, 프린터, LAN 설치 장소제공 등)

 

요양기관은 위 방법 중에서 어느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하되, 중증환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하실 것을 협조요청

요양기관은 어떤 방법을 택할 것인지를 8월 23일까지 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해 주시며, 통보된 결과는 복지부, 공단, 심평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국민에게 제공하여 각 병원별로 환자들이 어떻게 하면 되는지를 홍보할 예정임

등록 및 번호부여

등록번호 예시

□□ - □□ - □□□□□□ ☞ 구분코드 : 암(01)

 

구분

 

발행년도

 

일련번호

 

등록증 입력 내용

․ 중증진료등록번호, 신청일자, 건강보험증번호, 수진자명, 유효기간, 발행일자,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직인 등

   

등록․적용시기

○ 적용시기 : 2005년 9월 1일부터

○ 유예기간

— 입원 : 1달간(9.1-9.30) 신청 유예기간 적용

▶ 유예기간 중에는 암 확진된 환자이면 등록하지 않았더라도 2005. 9. 1부터 적용되나, 유예기간 만료인 2005년 10월 1일 이후에는 등록 신청자에게 적용

— 외래 : 3달간(9.1-11.30) 신청 유예기간 적용

▶ 유예기간 중에는 암 확진된 환자이면 등록하지 않았더라도 2005. 9. 1부터 적용되나, 유예기간 만료인 2005년 12월 1일 이후에는 등록 신청자에게 적용

○ 사전등록 : 2005년 8월 22일 부터

— 신청 집중에 따른 혼란방지를 위하여 ‘05. 8. 22일부터 사전 신청은 가능하나 적용은 ’05. 9. 1부터 경감함.

․ 요양기관은 암환자 등록신청을 유도하여 미신청으로 인한 불이익 방지

— 보도자료 등을 통한 대국민 홍보 예정

 

Ⅳ . 요양기관 관련

 

협조요청 사항

○ 본인부담금 경감에 따른 진료비 계산 프로그램 조정

○ 대상 암환자 등록을 위한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 신청서’ 발급 (별첨2)

— 요양기관은 동 서식을 비치하여 암환자에게 신청서 발행

○ 중증환자에 대한 등록 신청 적극 홍보 및 환자 편의제공

— 등록절차에 대한 요양기관 의견을 공단에 통보

 

방법1

방법2

방법3

방법4

환자 또는 보호자가 공단으로 직접신청

요양기관 일괄접수 후 공단 제출

(초기 공단직원 방문수거)

요양기관이 공단 EDI 전산망을 통한 신청 대행

공단직원이 요양기관에 나가서 접수

(요양기관 공간협조)

※ 공단 지사를 통한 의견조회 실시예정

 

적용기간

암 : 암으로 확진되어 공단에 등록 신청한 날로부터 5년

공단의 등록이 완료되면 대상자 명단과 적용시점을 요양기관에 통보

인터넷을 통한 등록여부 조회(‘05. 9. 1부터)

EDI접수 및 처리결과 통보(‘05.10. 1부터)

심장질환 및 뇌혈관질환 : 개심술 및 개두술 수술한 경우로써 입원기간 최대 30일

적용기간 : 수술을 포함한 입원기간 최대 30일

․ 30일의 기간산정은 진료비 발생이 가장 많은 구간을 적용토록 함.

재수술 시 : 재 수술로부터 30일 추가 경감

․ 재 수술일로부터 최대 30일을 초과 할 수 없음

(예시 1차수술 9/1, 재 수술 9/11 경우 → 9.11부터 30일을 초과할 수 없음)

 

진료비 청구방법

○ 해당 중증환자에 대해서는 법정본인부담률 인하 적용

현행 20%(CT, MRI는 30%~50%)의 법정본인부담률을 10%로 인하

○ 해당 중증상병으로 진료를 받은 경우에 한하여 적용

— 해당 중중상병과 전혀 관련 없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음

○ 요양급여비용 청구명세서의 특정기호 및 특정내역란 기재

— 특정기호 : 암(V193), 개두술(V191), 개심술(V192)

— 특정내역

․ 개두술 및 개심술의 경우 수술일자 기재청구(MS006)

암 상병의 경우 암환자 등록번호(MT014), 병기(stage)분류(MS007) 및 항암제 투여 cycle(JS012) 기재청구

※ 요양급여비용 청구명세서 서식 개정 시 추후 확정하여 고시 예정

분리청구 : 적용시점(‘05. 9. 1) 전․후 진료분 및 암과 무관한 상병

   

수진자에게 등록증(카드형태)이 발급되기 전에는 “중증진료 등록․확인증”(별첨3)으로 대체활용 가능함.

포괄적 급여인정 및 평가의 구체적인 방법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추후 안내

   

◈ 본인부담금 경감대상 수술코드

 

구분

대상

심장질환

심장질환자로 아래와 같은 수술을 받은 경우

가. 동맥관 우회로 조성술

(OA641, OA642, OA647, O1641, O1642, O1647, O1643, O1644, O1645, O1646)

나. 판막협착증 개심수술(O1730, O1740, O1750, O1760, O1770)

다. 심장판막 성형술(O1781, O1782, O1783)

라. 인공판막 치환술 및 재치환술

(O1791, O1792, O1793, O1794, O1795, O1796, 1797, O1798)

마. 좌심실류 절제술(O1823), 좌심실용적 축소성형술(O1824),

좌심실 유출로성형술(O1825)

바. 관상동맥 내막 절제술(O1830)

사. 발살바동 동맥류 파열수술(O1840)

아. 동맥류 절제술(O2031, O2032, O2033, O2034, O2035, O2036, O2037, O2038, O2039)

자. 선천성심질환 수술(O1671, O1672, O1680, O1710, O1721, O1800, O1810, O1878, O1879)

차 기타 개심술(O1705, O1722, O1960, O1970)

카. 혈전제거술(O1950, O2053, O2054, O2055, O2056, O2057, O2058, O2059)

타. 부정맥수술(O2006, O2007)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자로 아래와 같은 수술을 받은 경우

가. 두개강내 혈종제거술(S4621)

나. 뇌내 혈종제거술(S4622)

다. 뇌동맥류수술(S4640)

라. 두개강내 혈관문합법(S4661, S4662)

마. 뇌엽절제술(S4780)

바. 뇌 기저부 수술(S4801, S4802, S4803)

사. 중추신경계정위수술/혈종제거(S4755)

아. 뇌동정맥기형적출술(S4651, S4652)

자. 거미막하 출혈의 후유증(I69.0)에 실시한 단락술 또는 측로조성술(S4711, S4712, S4713)

※ 위의 코드는 의견조회 중인 것으로 공식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며, 추후 확정 고시할 예정 임.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 신청서(□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 해당란에 ☑표기

중증진료등록번호

※ 공단기재사항

 

 

접수일자

※ 공단기재사항

 

 

건강보험증번호

 

 

가입자(세대주)

 

 

수 진 자

 

주민등록번호

(수진자)

 

주 소

 

전화번호

( )

 

 

요양기관 확인란(‘암’인 경우에만 기재)

 

진료과목

 

병록번호

 

암진단확인일

. .

상병기호

(진단명)

※ 상병기호 반드시 기재

 

( )

최 종

진 단

방 법

□ ① 검사 □ Sono □ CT □ MRI □ 기타( )

□ ② 조직검사 없는 진단적 수술

□ ③ 특수 생화학적 또는 면역학적검사

□ ④ 세포학적 또는 혈액학적 검사

□ ⑤ 전이부위의 조직학적 검사

□ ⑥ 원발부위의 조직학적 생검

□ ⑦ 기타( ) ※ 중복 체크 가능

위의 기록한 사항이 사실임을 확약함

20 년 월 일

요양기관명(기호

담당의사(면허번호): (서명 또는 인)

 

 

 

 

상기와 같이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을 신청합니다.

신청일 20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전화번호 ( )

수진자와의 관계 ( )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귀하

 

 

 

◈ 등록된 수진자에 대하여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료비 중 본인부담금이 절반으로 경감되는 등의 혜택이 주어집니다.

 

 

 

중증진료 등록․확인증

중증진료등록번호

 

건강보험증번호

 

유효기간

 

 

 

수진자성명

 

신청일자

 

등록증수령주소

 

 

위와 같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합니다.

 

200 년 월 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직인)

 

 

수진자에게 등록증(카드형태)이 발급되기 전에는 본 확인증으로 대체활용 가능함.

접수지사

 

지사전화번호

 

 

보건복지부 링크 ;

http://www.mw.go.kr/sotong/cy/scy0101ls.jsp?PAR_MENU_ID=12&MENU_ID=12040501

 

3월말 입양한 허브들이 쑥쑥~~~건강하게 자라고있습니다

베란다에 풍성한 허브들~~~바로 제가 꿈꾸던 작은허브정원이 실현되었음다

 

 

 

매년 허브를 샀지만 한달도 지나지않아 시들어가는 허브를 봐 왔었더랬지요

그래도 매해 봄이되면 또다시 꿈을 안고 허브화분을 사들이게된다는...

 

올해는 큰맘먹고 바질 로즈마리 라벤더 타임 레몬밤 애플민트 스태비아 앨파인스트로베리...

참 많은 허브들을 과감히 샀더랬지요

 

하루하루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키워온 허브들이 하루가 다르게

건강하고 풍성하게 자라주고있더랍니다

 

요리를 더 풍성하게 해주는 허브들~~

요리잡지를 보다보니 허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요리법들이 나와있더라구요

 

이제 가까이에 두고 자주 사용할수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에쎈 참조)

 

 

허 브 오 일

 

유기농올리브유(또는 일반 올리브유)250ml, 허브적당량

 

 

허브오일을 만들기 위해 수확한 허브들이예요

 

바질 실버타임 로즈마리...

 

딱히 정해진 허브를 사용해야하는게 아니니까

집에서 기르시는 허브들 자유롭게 이용하시와요~~

 

 

 

 

 

 

준비된 유리병에 허브들을 넣고...

 

 

 

 

 

 

 

유기농 올리브오일을 넣어 가득채워주세요

 

 

 

 

 

 

 

 

이렇게 병에 담아 마개를 막아서 햇볕이 잘 드는곳에

2주정도 두는데요...

 

 

 

 

 

허브성분이 우러나오도록 자주자주 흔들어주세요

 

2주정도후에 키친타올이나 커피필더에 거른후 이용하세요~~~

 

 

 

 

 

허 브 소 금

 

천일염 100g, 허브 적당량

 

 

 

요리에 다양하게 이용할수있는 허브소금을 만들어보아요

 

 

 

 

 

 

이번에는 애플민트 라벤더 로즈마리 타임을 조금씩 수확했어요~~~

 

 

 

 

 

 

 

미니믹서에 허브를 넣고 분량의 천일염을 넣어섞어줍니다

 

 

 

 

 

 

 

허브와 소금을 믹서로 갈거나 절구에 찧어 섞어줍니다

 

 

 

 

 

 

 

아무것도 두르지않은 마른팬에 믹서에 간 허브와 소금을 갈색이 나도록 볶아주세요

 

이때 향기가 아주~~~끝내주더라구요

 

 

 

 

 

 

 

 

 

 

충분히 식힌후 용기에 담아 밀봉한후 서늘한 곳에 보관하세요

 

 

 

 

 

허브오일과 허브소금...

 

이 두가지를 주방에 준비해둔다면 요리가 더 풍성해지겠죠

 

 허브키우고 계신다면 허브오일과 허브소금 꼭 한번 만들어보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