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재배의 성공여부는 적지선정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참다래의 경우 원산지는 중국이지만 현재 세계 최대 생산국인 뉴질랜드의 환경을 알아보고 비교하는게 중요할 것이다. 뉴질랜드는 남반구에 위치하여 우리 나라와 정반대의 계절로 우리 나라의 겨울에 뉴질랜드는 여름이 된다. 북도와 남도로 되어있고 주 재배지 부근인 북도의 오클랜드(Auckland)시는 온대지역에 속해 온난습윤한 기후이다. 그리고 뉴질랜드 전역은 기후적으로 아열대에 속하며 연평균기온은 15℃, 강수량은 1,300∼1,600㎜이다.
1. 기 온
참다래는 기온의 영향을 비교적 민감하게 받는 과수로 기온이 높으면 발아가 빠르고 지엽의 신장이 크며 수세도 왕성해진다. 반대로 기온이 낮으면 발아도 늦고, 지엽신장이 억제된다. 또 과실발육에도 크게 관여하여 발육기, 과실비대기의 전반에 기온이 높고 일조가 많고 우량이 적당한 해에는 당도가 높고 충실한 과실이 된다.
최저기온이 -10℃이하로 내려 가지 않는 지역이 재배적지이며, -11 ∼ -12℃정도인 지역에서는 유목시 주간부의 지제부를 짚이나 보온피복재로 싸주는 등 동해대책이 필요하다. 지역별로 연평균기온을 보면 원산지인 중국이 17.8℃, 일본 동경이 15.3℃, 뉴질랜드 오클랜드가 15.0℃로 뉴질랜드가 오히려 낮지만 겨울이 따뜻하고 여름은 20℃이하로 시원하여 연간 온도차가 작다.
[ 그림 2 - 1] 참다래 재배 지대 구분
그리고 성숙기인 9∼11월에 온도가 높고 서리가 내리지 않아 좋은 품질의 과실을 생산 할 수 있는 지역이다우리 나라의 남해안도 평균기온은 비슷하나 연중 온도교차가 심해서 월동기 동해의 위험이 있다. 참다래 과수원의 선정에서 또 주의해야 할 점이 동상해인데, 발아가 빨라 만상(晩霜)의 해를 받기 숴워서 4월 상·중순 발아 직후 피해가 크고, 피해가 큰만큼 착화가 나빠진다.
또 수확기의 11월 상순경 초상에 노출되기 쉬운 곳은 과실이나 지엽에 장해를 받고 저장중에 변질이나 부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적지라 할 수 없다. 오클랜드는 뉴질랜드의 참다래 재배지대 근처에 위치하며, 宣昌은 중국 호북성에 있는 참다래 원산지 일대이다. 오클랜드는 남반구에 위치하므로 1월부터 12월이 7월부터 6월에 해당함.
[ 그림 2 - 2 ] 지역별 월평균기온
2. 강수량
수분은 토양중의 무기성분을 용해해서 식물체에 운반하는 것 이외에 탄수화물을 합성하는 큰 작용을 하는데, 참다래는 건조에 매우 약한 과수로 적당한 수분이 유지되어야만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할 수 있다. 또 잎이 크고 기공개폐가 둔하여 수분증산량이 많고 증산속도도 빠르며 다른 과수는 일몰 후 증산속도가 급히 저하하지만 참다래는 야간에도 상당량의 증산을 계속한다.
[ 그림 2 - 3 ] 증상속도와 환경요인과의 관계
뉴질랜드의 주산지는 연 강수량이 1,300㎜이고 매월 100㎜(±20)씩 고루 분포하며 스콜(여름비)이 정기적으로 내려 적당한 습도유지를 해줌으로써 참다래의 생리·생태에 좋은 조건이다.
참다래는 개화기인 초여름부터 8월 중순까지의 3∼4개월 정도가 왕성한 생육기로 그때의 강수량은 수세나 과실비대에 큰 영향을 주고 강수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신초신장이 과대해지고, 도장하며, 화아착생도 나빠진다.
또 이른봄 개화기에 비가 내리면 수분작업 곤란으로 결실율이 떨어지고 세균성꽃썩음병이나 과실연부병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조기방제에 힘써야 한다.
[ 그림 2 - 4 ]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1951 ~ 1980의 평균)
3. 일조량
일조는 생육, 탄수화물의 생성, 과실비대,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꽃눈분화와 착생에도 크게 관여한다. 참다래의 광포화점은 20,000∼30,000Lux로 다른 과수보다 많은 광을 요하며3,200Lux이하에서는 동화량보다 호흡에 의한 소모량이 증대된다.
참다래는 연간 1,800시간의 일조가 필요한데 우리 나라는 연간 2,300시간으로 나무의 정상발육, 과실당도 증진에도 좋은 조건이다. 특히 9∼11월의 성숙기에 일조량이 많으면 그만큼 좋은 품질의 과실을 얻을 수 있다.
하계 건조지대에서 생산된 과실의 품질이 우수한 것은 다량의 일조에 의한 것이며, 강우가 적은 해의 과실이 다소 비대는 약해도 품질이 우수한 것은 일조량이 많은 까닭이다. 그러나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지나치게 고온건조가 계속되면 엽소나 낙엽을 일으켜 과실이 일소를 받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
리고, 참다래는 번무한 지엽을 여름전정시 제거하고 주지나 부주지, 결과지 등에 충분한 광을 들어가게 하는 것도 엽에 의한 동화작용을 왕성하게 하고, 지엽의 생장을 조장하며 과실의 품질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된다.
[ 그림 2 - 5 ] 참다래 잎의 광합성 속도 (姬野등, 1983)
4. 바 람
참다래는 잎이 크고 평덕식 재배형태로 다른 교목성 과수에 비해 바람의 패해를 많이 받는다. 적당한 바람은 증산을 촉진시키고 양분과 수분의 흡수를 양호하게 하며 일광을 좋게 한다.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원활히 하여 광합성을 왕성하게도 한다. 그러나 풍속 3m이상의 바람은 잎의 광합성 작용을 방해하고 증산을 촉진시켜 건조해나 한해를 일으킨다.
또 초봄 신초손상에 의한 수량감소 뿐 아니라 과실에 입힌 상처는 에틸렌가스 발생에 의한 수체상에서의 후숙현상을 유발시켜 상품성, 저장성을 떨어뜨린다. 반면, 고온다습기에는 습기를 마르게 하여 병해충 발생을 적게하기도 하며 혹한기에 냉기류 침체를 방지하여 동해발생을 억제시키기도 한다.
그래서 바람이 심한곳이나 해풍을 받기 쉬운 곳은 되도록 피하고, 주의를 해야하며 그런 곳에서는 방풍망 등 시설을 설치하여 적당한 바람을 받도록 해주며 방풍림을 조성할 때에는 그림처럼 통풍 또는 차광에 유의해서 해야한다.
< 5월 초순 강풍에 의한 피해모습 >
5. 토 양
참다래의 토양 적응성은 꽤 넓어 식양토에서 화산회토까지 재배가 가능하나 다른 과수와 같이 점질토양이나 공극율이 낮은 토양에서는 생육장해가 생기기 쉽다. 일반적으로는 경토가 깊고 배수가 양호하며 보수력이 있는 토양을 좋아하는 과수로 이런 조건에서는 생육이 양호하고 재배도 편하다.
그래서 사양토에서 사토까지 부식(腐植)이 풍부하고 단립구조 토양으로 유효토층이 40∼50㎝이상인 곳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정체수나 배수불량원에서는 생육이 매우 약하고 산소결핍에 의해 뿌리가 부패하며, 수세약화나 고사를 일으키므로 특히, 논전환 과원에서는 주의해야하고 암거배수 등 배수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잎의 전개후부터 생육전기간에 건조가 계속되면 잎이 타거나 신초생육이 불량하고 과실발육이 심하게 억제되기 때문에 토양보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유기물투입, 토양개량 또는 관수시설이 있어야 한다.
한편 토심이 얕은 경우는 건조해를 받기쉬워 적당한 관수와 함께 심경을 하여 뿌리를 깊이 분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토양산도는 pH 6.5전후(6.0∼7.0)의 약산성에서 중성의 토양을 좋아하며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는 석회를 시용하여 적당한 수치에 가깝게 해 준다.
[표2-2] 토양 형태적 특성과 동해
구 분 |
토성별 |
배수등급 |
자갈함량(%) |
유효토성(cm) | ||||||||
사양토 |
식양토 |
식토 |
약간양호 |
양호 |
< 10 |
10~35 |
> 3 |
< 20 |
20~50 |
50~100 |
>100 | |
면적분포비(%) |
3.6 |
78.8 |
17.6 |
2.2 |
97.8 |
14.4 |
57.0 |
28.6 |
- |
30.4 |
59.7 |
9.8 |
동해율(%) |
8.2 |
13.4 |
20.6 |
7.2 |
5.3 |
6.2 |
8.4 |
19.6 |
23.1 |
8.5 |
6.0 |
4.6 |
[표 2-3] 참다래 적지 추천기준(화학성)
구 분 |
적 지 |
가 능 지 |
부 적 지 |
산 도 (pH) 유 기 물 (%) 유 효 인 산 (ppm) 칼 리 (me / 100g) 칼 슘 (me / 100g) 마그네슘 (me / 100g) 염기치환용량(me / 100g) |
6.3 ~ 6.5 >3.0 100.0 ~ 300.0 0.5 ~ 1.0 5.0 ~ 8.0 1.0 ~ 2.5 15.0 ~ 20.0 |
5.5 ~ 5.5 1.5 ~ 3.0 50.0 ~ 100.0 0.2 ~ 0.5 2.0 ~ 5.0 0.5 ~ 1.0 10.0 ~ 15.0 |
< 5.0 < 1.5 < 50.0 < 0.2 < 2.0 < 0.5 < 10.0 |
[표 2-4] 참다래 재배적지 추천기준(물리성)
요인 |
항목 |
배점비율 | |||
10 |
7 |
5 |
3 | ||
상 승 요 인 |
지 형 |
선상지, 구릉지 |
곡간선상지 산록경사지 |
평 탄 지 홍적대지 |
하상, 사구 곡간, 산악지 |
토 성 (심 토) |
(미사)식양토 |
(미사)사양토 |
식 토 |
사 토 | |
배 수 |
양 호 |
매우양호 |
약간양호 |
약간불량,불량 | |
경 사 |
<7 |
7~15 |
15~30 |
>30 | |
가 중 치 |
2 |
2 |
1 |
1 | |
모 재 춤 및 경 빈 층(cm) |
없음>10 |
50~100 |
30~50 |
<30 | |
지하수위(cm) |
>100 |
50~100 |
30~50 |
<30 | |
가 중 치 |
-1 |
-2 |
-3 |
-5 | |
상 가 요 인 |
자갈함량(%) |
10~35 |
<10 |
35~50 |
>50 |
침 식 정 도 |
없음 |
있음 |
심함 |
매우심함 | |
표토암반노출 |
없음 |
있음 |
많음 |
매우많음 |
[표 2-5] 토양산도(pH)가 참다래 생육에 미치는 영향 (福井,鈴木, 1997)
토양산도(pH) |
전체무게 (g) |
지하부무게(g) |
자상부무게(g) |
총신장량(cm) |
줄기둘레(cm) |
비고 |
7.81 6.76 3.46 |
180.3 212.0 64.6 |
118.3 127.7 58.3 |
62.0 84.3 6.3 |
297.0 382.7 12.6 |
5.3 6.1 4.4 |
건전 건전 고사 |
6. 지 형
경사지의 과수원은 배수가 양호하고 일조, 통풍이 좋아서 토층이 깊은 곳에서는 재배가 용이하나 기계화나 바람대책 등의 문제 때문에 8°이하의 완경사지가 좋다. 급경사지는 신초가 상향으로 왕성하게 신장하여 신초관리가 힘들며, 경사방향은 동∼남향이 좋고 빛이 충분히 드는 방향이 좋다.
특히 북사면은 북풍한파의 상습지로 궤양병과 동해의 피해를 많이 받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지형이 움푹 패인 곳(분지)은 만상이나 동해를 받기 쉬워 주의해야하고 냉기류가 정체하지 않도록 경사 아래 방향이 개방된 곳이 바람직하다. 참다래는 음지나 반음지에서도 생육하지만 과실의 저장성이나 품질면을 고려하여 양지의 과수원이 적지이다. [표 2-6] 입지환경적 특성분포 및 동해
○ 지 형
구 분 |
홍적대지 |
산록경사지 |
곡간선상지 |
구 룽 지 |
면적분포비(%) |
0.9 |
39.9 |
31.2 |
28.0 |
동 해 율(%) |
27.5 |
15.7 |
14.9 |
11.6 |
○ 경사도
구 분 |
0~2% |
2~7% |
7~15% |
15~30% |
30~50% |
면적분포비(%) |
6.3 |
32.6 |
51.0 |
10.1 |
극소면적 |
동 해 율(%) |
17.6 |
15.3 |
17.4 |
7.5 |
5.4 |
○ 경사방향
구 분 |
동(동남,동북) |
서(서남,서북) |
남(남서,남동) |
북( 북동,북) |
면적분포비(%) |
35.9 |
26.6 |
29.7 |
7.8 |
동 해 율(%) |
13.3 |
8.9 |
5.6 |
'자연과 함께 > 키위자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드키위 토양 관리 (0) | 2009.07.04 |
---|---|
골드키위 재배하기[묘목구하기 및 효능] (0) | 2009.07.04 |
참다래 요리정보 (0) | 2009.07.04 |
과일별 영양분석 (0) | 2009.07.04 |
참다래 다이어트 (0) | 2009.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