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프레드집사홈씨씨티비

윈도우7 에디션 종류와 기능들.

 

 

 

윈도우7에 종류는 많죠. 스타터 , 홈베이직 , 홈프리미엄 , 프로페셔널 , 엔터프라이즈 , 얼티메이트

 

6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32/64 나눠지면 10가지가 넘겠죠

 

 

 

먼저 각 에디션에 특징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7 스타터 Starter

 

64비트를 지원하지 않고 윈도우 에어로를 사용할 수 없다. 넷북 등의 용도로 경량화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한 에디이다.

 

원래 3개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띄울 수 없게 제한이 있었지만 현재 그 제한은 사라졌다고 한다. 이 에디션은 제조 회사

 

의 컴퓨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OEM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용량 제한은 250GB이다.

 

 

 

윈도우7 홈 베이직 Home Basic

 

브라질 , 중화인민공화국 , 인도 , 멕시코 등의 개발도상국에만 배포된다, 이 에 디션은 오스크레일리아 . 캐나라 . 프랑스.

 

독일 . 미국 . 영국 . 대한민국에는 배포되지 않는다. 다만 설치 DVD를 조작하여 설치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정품 인증이

 

되지 않는다. 실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수에 제한이 없지만, 윈도 에어로 기능과 멀티 터지, 윈도 미디어 센터 및 새

 

로운 게임이 포함되지 않는다.

 

 

 

윈도우7 홈 프리미엄 Home Premium

 

이 에디션은 가정용으로 만들어졌으며 윈도 미디어 센터, 윈도 에어로 인터페이스, 멀티터치가 가하다.

 

 

 

윈도우7 프로페셔널 Professional

 

이 에디션은 기업용으로 만들어졌으며 홈 프리미엄의 모든기능을 포함하고 여기에 몇가지 새로운 기능이 추되었다.

 

 

 

윈도우7 엔터프라이즈 Enterprice

 

대기업용으로 만들어진 에디션이며 볼륨 라이선스 형태로 제공된다. MUI 언어팩과 비트로커 드라이브 암호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테크넷에서 2010년 3월 31일까지 제한수량에 한하여 영어, 프랑스어 , 독일어 , 일본어 , 스페인어판의 90일 평가판을 내려받을 수

 

있었으나 현재 내려받을 수 없다.

 

 

 

윈도우7 얼티메이트 Ultimate

 

엔터프라이즈의 모든 기능을 포하고 있으며 기업에의 계약 판매를 기본으로 하는 엔터프라이즈와는 달리 개인용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홈 프리미엄과 프로세셔널 사용자는 비용을 지불하고 윈도 애니타임 업그레이드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윈도 비스타 얼티밋에는 있던

 

엑스트라 기능이 윈도 7에는 없다.

 

 

 

 

 

아래 그림은 윈도우7 종류의 기능들에 사용가능 유무표 입니다.

 

 

 

 

 

 

그래프에 내용을 보면 윈도우에 관련해서 잘 모르시는분들은 뭔내용인지 모를수도 있을것입니다.

 

 

 

각운영체제에 특징을 다시 쉽게 얘기한다면

 

 

 

윈도우7 스타터 : 넷북같은 저사양에 설치하는 운영체제.하드 250GB이상은 인식하지 못함. 에어로기능 불가

 

윈도우7 홈베이직 : 개발도상국에만 배포됨 . 국내 배포안되어있음 . DVD를 구한다면 설치는 가능하겠지만 인증안됨 (배포 안되어있기에

 

기능 설명은 하지않겠습니다 ㅋ;)

 

윈도우7 홈프리미엄 : 일반 가정용PC에 적합함 , 에어로기능 사용가능.일반 사용자들에게 추천 (일반PC 추천)

 

윈도우7 프로페셔널 : 기업용PC에 적합함 , 홈프리미엄에 모든기능이 포함돼어있고 몇몇 기업용으로서에 기능들 추가됨.

 

윈도우7 엔터프라이즈 : 대기업용으로 만들어져있고.. 윈도우7에 모든기능이 지원됨(윈도우 자체게임기능빼고) 모든기능이 지원되는 만큼 PC에

 

사양도 조금은 높아야됨.

 

윈도우7 얼티메이트 : 일반 개인도 사용가능, 윈도우7 모든기능사용가능함, 저사양에서는 추천하지않고 고사양에 PC에서는 추천함

 

(고사양PC 추천)

 

 

 

 

 

딱 이정도 까지고요.

 

 

 

위 내용들을 봐서 알겠지만 일반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윈도우 홈 프리미엄을 추천합니다.

 

고사양에 하이엔드컴퓨터 유저들에게는 윈도우7 얼티메이트를 사용해서 윈도우7 만에 여러기능들을 사용해보는것도 아주 좋을거 같네요

 

 

고스트 프로그램 소개


멀쩡하던 윈도우에서 에러가 자주 나타나고 속도가 느려진다거나 다운이 자주 되는등 말썽을 일으킬 때 보통 하드를 포맷하고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게 됩니다.
하지만 윈도우 설치하는데만도 보통 3~40분 정도 걸리고(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각종 드라이버 셋팅과 최적화, 그리고

응용프로그램 설치등 빨라도 3시간 이상은 잡아먹게 됩니다. 이 과정이 번거롭고 귀찮아서 어쩔 수 없이 그냥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제 그럴필요가 없어졌죠.
이미 많은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고스트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고스트라는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에 설치된 운영체제는 물론 각종 응용프로그램이나 모든 환경을 송두리째 압축하여

이미지로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복구시켜주면 감쪽같이 원상태로 복구시켜주는 아주 막강한 프로그램입니다.
고스트라는 회사에서 개발된 이 프로그램이 유명세를 타고 사용자 층을 넓혀 나가자 시만텍(노턴 유틸리티와 안티바이러스로 유명)

이란 회사가 잽싸게 인수하여 지금은 노턴 고스트라는 이름으로 출시되며 현재 7.0 버전까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곳에서는

가장 최신 버전인 7.0을 기준으로 설명 하겠습니다.

 

 작업개요


참고로 지금부터 실행할 작업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을 드린다면
하드디스크가 한 개 설치되어 있고 파티션은 두 개(C,D) 로 분할된 상태입니다.
C 드라이브에 윈도우와 각종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필수 유틸리티(다이렉트X, 압축코덱등..) 설치까지 완료된

상태에서 디스크검사와 조각모음으로 최적화시킨 아주 양호한 상태입니다. 현재의 환경을 그대로 이미지로 떠서 D 드라이브의

ghost 라는 폴더에 백업해놓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이렇게 백업해놓고 윈도우를 사용하다가 느려진다거나 바이러스 감염등 문제가 발생할 때 언제든지 다시 복구시킬 수

있습니다.(짧은시간안에 완벽하게...)

이 강좌의 스크린샷을 얻기위해 실제 고스트 프로그램을 실행시킨게 아니라
VMWare 라는 가상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실행시켰습니다.


작업전 준비사항 및 주의사항


먼저 고스트 프로그램이 있어야겠죠.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으세요.
고스트7.0은 윈도우에서 설치후 실행됩니다. 하지만 윈도우에서는 설정만 할 뿐 실제 작업은 도스상에서 이뤄지므로 이곳에서는

도스상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할 것이며 파일 또한 도스에서 필요한 ghost.exe(629KB) 실행파일과 ghost.env

(109Byte) 라이센스파일 두 개만 올려놓겠습니다.
먼저 고스트로 백업한 파일을 보관할 드라이브와 폴더를 지정(여기서는 D:ghost )해놓고 다운로드받은 파일을 해당 폴더에

압축해제 합니다.
그런다음 부팅디스크로 부팅하거나 아니면 시스템 재부팅시 F8키를 눌러 시동메뉴에서 5번 Command Prompt Only 모드를

선택하여 도스로 부팅을 한다음 고스트 실행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실행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고스트로 백업을 하기전에 앞서 밝힌대로 이미 시스템이 최적화 되어 있어야겠죠. 즉, 최고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백업을 해야합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 고스트로 하드디스크 백업하기

 

1. 고스트 실행

시스템 부팅시 F8 키를 눌러 시동메뉴를 불러낸다음 5번 command prompt only를 선택하거나

부팅디스크로 부팅한뒤 고스트 프로그램이 들어있는 D 드라이브의 ghost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ghost를 실행시킵니다.

 

2. 고스트 초기화면  

버전 정보를 표시하는 초기화면입니다. Enter 키를 눌러 화면을 닫습니다.

 

3. 고스트 메뉴 

Quit : 고스트를 종료합니다    
Option : 고스트의 옵션을 설정합니다(보통 기본값으로 사용)
TCP/IP, Multicasting,USB, LPT: 고스트를 네트워크로 백업/복구할때 사용합니다.
Local : 주로 사용하게되는 메뉴입니다......

현재는 이미지를 생성할려는 작업입니다.
그러므로 키보드의 화살표키를 이용하여
Local --> Partition --> To Image로 이동한뒤 Enter키를 눌러줍니다.

 

4. Select local source drive by clicking on the drive number

백업하고자 하는 파티션이 있는 하드디스크를 선택하는 창입니다.
제 실제 컴퓨터에는 두 개의 하드가 장착되어 있지만 이 강좌를 위해 VMWare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스트를 실행하고
백업과 복구과정을 진행하면서 스크린샷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가 한 개로 인식되어 1번만 나타나지만 실제 작업시 물리적인 하드디스크가 두 개 장착되어 있다면

2번 항목까지 나타납니다.
시스템 백업의 경우 보통 첫 번째 하드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C 드라이브)에 설치되므로 첫 번째 하드디스크인 1번을 선택해야겠죠.
참고로 하드디스크가 한 개만 장착되어 있고 파티션도 C 드라이브 한 개만 설정되어 있다면 이미지 파일생성이 곤란해집니다.
그럴 경우 다른매체(CD-R/W 등..)를 이용할 수 있지만 효율성과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파티션 매직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

드라이브의 빈공간에 파티션을 하나 추가한뒤 그곳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Select source partition(s) from drive: 1 

여긴 백업할 파티션을 선택하는 곳으로 1번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내용을 보여줍니다.
제 경우는 VMware에서 파티션을 두 개(C, D)로 나누었으므로 두 개가 나타났는데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C 드라이브 한 개로 전체하드디스크를 사용한다면 당연히 한 개만 나타나겠죠.
여기서는 1번이 C 드라이브, 2번이 D 드라이브입니다.
시스템 백업이므로 1번(C드라이브)을 선택하고 엔터를 칩니다.
그런다음 다시 Tab 키를 눌러 OK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해놓고 다시 엔터.


6. File name to copy image to 

백업될 파일의 경로와 파일이름을 적어주는 곳입니다.
(C드라이브를 백업한다면 D드라이브에 ghost 폴더를 미리 만들어 놓은다음 그 안에 고스트 프로그램을 넣어 놓고 실행하면 바로

그 곳으로 위치가 정해지므로 편리합니다.)

Look in: 위치에서 드라이브를 선택하면 중간창에 해당 드라이브의 폴더 내용이 나타납니다.
Tab 키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저장할 폴더를 선택한뒤 다시 Tab 키를 눌러 File name: 창으로 이동합니다.
파일 이름을 되도록
영문 8자 이내
로 적어주세요(예" Win_back). 확장자는 안적어도 자동으로 .gho가 붙습니다.
그리고 엔터키를 누르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Image file description:  창은 백업될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넣을 수 있는곳입니다.)

 

7. Compress Image 

백업할 파일의 압축률을 지정하는 창으로 세가지 선택모드가 있습니다.
No
    를 선택하면 압축을 하지 않고 원본그대로 저장이 됩니다.
Fast
는 약 35~40%정도 압축하고 속도도 빠릅니다. (자료가 1기가일때 Fast로 선택하면 이미지는 550메가크기정도 됨)
High
는 더 많이 압축하는데 시간이 좀 오래걸리고 불안한 면도 없지 않아 있으니.... Fast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8. Question: Proceed with partition dump? 

작업을 계속 진행하겠느냐는 질문창인데 당연히 Yes를 하셔야겠죠....대부분 간단하게 생각하는데 이부분의 기본값이 No 입니다.
무턱대고 엔터를 치면 모든걸 취소하게 됩니다.
이단계까지는 언제든지 취소가 가능하지만 여기서 일단 Yes를 선택하고 엔터를 치면 취소를 할 수가 없게됩니다.
만약 이 단계를 지나 백업이 진행중일 때 강제로 종료한다거나 아니면 시스템 다운등의 이유로 작업이 마무리 되지 못했을경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기존 데이터 및 파티션 정보까지 소실될 수 있으니 백업 진행중에는 절대 다운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9. 백업 진행창  

백업이 진행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창입니다.
중간상자에는 진행율(%), 속도(Mb/min), 진행량(Mb), 남은량(Mb), 진행시간, 남은 시간등이 숫자로 표시되고...
맨 아래 창에는 백업할 파티션 정보와 백업되는 위치,그리고 지금 진행중인 파일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Time remainning 이란부분은 이미지생성시까지 남은시간입니다 

100% 완료되면 완료되었다는 메세지창이 뜹니다... 확인하고 고스트를 종료하면 끝나죠..

출처 : 麗水친구★김지성▶▷▶부활하라 고구려의 꿈 @열손회
글쓴이 : 미친사랑의노래 원글보기
메모 :

윈도우 XP 부팅 안될때 XP시디 복구 콘솔사용하기 ( R 키 이용)

가끔 윈도우 시스템 파일이나 드라이브 파일,부팅 관련 파일이 손상되거나 실수로 지워져서 부팅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메인보드 칩셋 드라이버 설치하다가 갑자기 다운 되더니 재부팅 시키면

Windowrs/system32/XXXX.sys  파일이 손상되었습니다. 또는 NDFS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등등..의 메세지가 뜨고 윈도우 설치 시디를 이용해서 첫 화면에서 R 버튼을 눌러 복구 시키라고 메세지를 띄우는데 막상 XP 시디를 넣고 첫 화면에서 R 버튼을 누르면 그냥 도스 프롬프트 만 깜빡깜빡이고 뭘 어쩌라는 건지 알 수 없었습니다.

 

결국 윈도우를 다시 깔아야 하는것인가 하는 망설임 끝에 네이버 지식검색을 해보았습니다.

 

 

1. xp시디를 넣고 시디롬으로 부팅을 시킵니다. 다시 까는 것이 아니니까 겁먹지 마세요..

   시디 부팅을 하실줄 모르시는 분은 부팅시 F8 /F12버튼을 눌러주셔서 시디롬 선택하시고

   CD-Rom 에서 xp 설치 시디를 읽으면서  Press Key... 가 나오면 아무키나 눌러줍니다.

 

2.  XP 설치 화면으로 바뀌고 윈도우 설치(ENTER) , 복구(R) 화면이 나올때 R 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도스 환경 처럼 생긴 복구 콘솔이 나오죠..

다음에 숫자 1을 누릅니다. 이것은 지금의 운영체제가 c:에 있다는 뜻이죠.

그런 다음 administrator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만약 윈도우 설치시 비밀번호를  만들지 않았다면

그냥 넘어 가구요.

 

3. 여기서 부터 중요합니다.대문자와 띄어쓰기 잘 하세요

 

C:\>Fixmbr \device=harddisk0 입력 합니다.    (마스터 부트 레코드 복구)

 

만약 물리적인 하드가 두개고 두번째 하드에 XP 가 설치되어 있다면 harddisk1 로 입력해 주십시오. Y/N 이 나오면 Y 를 선택합니다.

다 끝나면 c:>Fixboot c:.......엔터                      (부팅 파일 복구)

다 끝나면 c:>chkdsk c:....엔터                          (체크 디스크)

다 끝나면 c:>exit....                                         (재부팅)       

 

 

 

참고 블로그  http://blog.naver.com/yesskt/1101310914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