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식단
 
분류

완두콩밥
감자호박국
비름나물
풋고추표고전
열무김치

현미밥
냉이두부된장국

대합찜

가지나물
배추김치

콩밥
미더덕된장찌개
돌나물고추장무침
삼치카레구이
배추김치
잡곡밥
버섯국
쑥갓두부
샐러드
배추나물
나박김치
콩밥
봄배추들깨국
냉이고추장무침
갈치구이
배추김치
보리밥
근대된장국
두릅적
달래묵무침
오이소배기

현미밥
조개살배추국
콩나물냉채
우엉 쇠고기조림

열무김치


참치덮밥
미역토장국
참나물된장무침
마늘쫑생채
깍두기

샌드위치
부추
샐러드
우유

닭칼국수
오징어무침
삼색냉채
개피떡
배추김치
완두콩밥
고등어김치
찌개

무생채
두릅무침
배추김치
해물덮밥
감자연근튀김
마늘장아찌
부추겉절이
열무김치
콩나물비빔밥
재치조개국
생다시마쌈
부추양배추무침
배추김치
영양밥
미역오이냉국
두부잡채
감자전
배추김치

차조밥
해물탕
근대나물
검정콩볶음
배추김치

미삼영양밥
미소된장국
돼지고기구이
봄동겉절이
나박김치

차수수밥
닭계장
두부양념구이
무우 달래무침
깍두기
조밥
호박잎된장국
돼지고기야채볶음
상추쌈
풋고추,고추
부추김치
 
현미밥
꽁치찌개
더덕구이
김무침
오이소배기
완두콩밥
쑥국
닭찜
깻잎나물
배추김치
차수수밥
양송이버섯전골
병어조림
근대나물
총각김치
간식 사과 토마토 딸기 사과 토마토 딸기
율무차 우유 두유음료 우유 요구르트 우유 우유

 

봄철식단 칼로리

봄철 열량
(kcal)
단백질
(g)
지질
(g)
당질
(g)
섬유
(g)
칼슘
(mg)
철분
(mg)
나트륨
(mg)
비타민A
(㎍RE)
β-카로틴
(㎍)
비타민C
(mg)
콜레스테롤
(mg)
평균치 2094.5 86.6 49.8 343.9 14.2 869.8 21.1 7440.3 1844.5 8736.5 219.9 192.7
 

 

 

 

여름철식단

 

 

분류

율무밥
건새우아욱국
두부양념구이
파래무침
나박김치

옥수수밥
냉이된장찌개
콩나물겨자채
김부추겉절이
열무김치

현미밥
경단 미역국
어묵조림
가지나물
배추김치
완두콩밥 
쇠고기콩나물국

애호박찜

연어구이

오이소배기
보리밥
모시조개 맑은국
돼지고기장조림

오이지무침

총각김치
흑미밥
두부젓국찌개
감자전
풋고추밀가루찜
오이소배기
야채죽
감자당면국
쇠고기완자전
다시마멸치조림

열무물김치
쑥개피떡

현미잡곡밥
무다시마냉국
부추잔멸치장떡
고추잎볶음
열무김치
양배추쌈밥
조개살배추국
쌈장
우엉전
부추김치
메밀국수
닭살야채볶음
쑥갓나물
무초절이
증편, 깍두기
열무비빔밥
무된장국
도토리묵무침
배추김치
차조밥
냉이토장국
김구이
배추김치
콩국수
해물파전
열무김치
완두콩밥
미역오이냉국
시금치샐러드
깍두기

완두콩밥
해물탕
오이양파무침
마늘산적
총각김치
강남콩밥
계란채소말이
병어찌개
미역나물
깍두기
녹차영양밥
아욱국
양파생채
조기구이
배추김치
팥밥
돼지고기찌개
더덕구이
미역줄기볶음
배추김치
현미밥
쇠고기전골
잔멸치조림
브로콜리볶음
오이소배기
현미쑥쌀밥
맑은미역된장국
닭찜
두부냉채
배추김치
차조밥
낙지찌개
우엉구이
노각무침
배추김치
간식 수박 우유 자두 참외 토마토 포도 수박
참외 포도 요구르트 냉녹차 두유 검은콩두유 토마토

 

여름철 열량
(kcal)
단백질
(g)
지질
(g)
당질
(g)
섬유
(g)
칼슘
(mg)
철분
(mg)
나트륨
(mg)
비타민A
(㎍RE)
β-카로틴
(㎍)
비타민C
(mg)
콜레스테롤
(mg)
평균치 2124.3 87.5 46.7 347.7 12.2 845.9 20.1 7272.7 1743.1 8825.8 164 219.7

 

 

 

가을철 식단
 
분류

잡곡밥
홍합미역국
연두부계란찜
쑥갓초고추장
무침
배추김치
닭죽
무국
감자조림
단배추된장무침
부추김치

샌드위치
(햄, 치즈)
단호박크림스프
오렌지쥬스
보리밥
콩가루배추국
코다리찜
과일샐러드
차조밥
북어콩나물국
가자미무조림
야채샐러드
배추김치
조밥
곰탕
숙주나물
우엉조림
깍두기
검정콩밥
시래기된장국
쇠고기장조림
시금치들깨무침
배추김치

굴무우밥
김치국
검정콩조림
호박볶음
고들빼기김치

쇠고기장국밥
김치빈대떡
다시마채무침
깍두기
비빔밥
두부된장국
양송이버섯조림
갓김치
떡국
고구마조림
깻잎나물볶음
총각김치
 
현미찹쌀밥
조개시금치국
두부양념조림
더덕구이
배추김치
국수장국
풋고추튀김
굴무침
총각김치
조개칼국수
감자야채볶음
부추파전
고사리나물
깍두기

보리밥
대구맑은찌개
쇠고기표고볶음
가지튀김
배추김치

고구마밥
알탕
버섯전
단호박튀김
마늘장아찌

차조밥
육개장
탕평채
깻잎장아찌
배추김치
팥밥
표고버섯전골
피망전
취나물고추장무침
배추김치
잡곡밥
청국장찌개
쇠고기야채볶음
메밀묵무침
총각김치
보리밥
야채연두부탕
돼지고기고추장구이
모듬채소쌈
배추김치
밤밥
어묵냄비
삼치무조림
겨자채
배추김치
간식 두유 우유 우유 요구르트 삶은 고구마 요구르트 백설기
단감 복숭아 녹차 당근쥬스 사과
 
가을철 칼로리
가을철 열량
(kcal)
단백질
(g)
지질
(g)
당질
(g)
섬유
(g)
칼슘
(mg)
철분
(mg)
나트륨
(mg)
비타민A
(㎍RE)
β-카로틴
(㎍)
비타민C
(mg)
콜레스테롤
(mg)
평균치 2139.7 85.5 49.9 343.3 11.5 764.6 18.9 7639.3 2232.3 1239.3 174.9 167.9

 


 

 

 

 

 

 

겨울철 식단
 
분류

강남콩밥
건새우근대국
임연수구이
취나물볶음
배추김치

팥밥
미역국
뱅어포구이
깻잎조림
배추김치

잡곡밥
우거지국
낙지볶음
야채튀김
갓김치
현미밥
순두부찌개
고등어조림
느타리버섯볶음
배추김치
팥밥
김치전골
풋고추표고볶음
삼치구이
깍두기
찰밥
조개탕
목이버섯잡채
양배추샐러드
나박김치
현미밥
홍합무국
양배추쌈
참치김치볶음
배추김치
유자차

오므라이스
무국
총각김치
오이피클
요구르트

비빔밥
북어계란국
얼갈이배추나물
우유

김치만두국
모듬버섯전
동치미
깍두기
요구르트
흑미밥
굴국
마파두부
쇠고기야채편채
배추김치
흑미밥
솎음배추국
도가니수육
무말랭이무침
배추김치
돈육카레라이스
계란파국
배추김치
동치미
요구르트,액상
영양밥(돌솥밥)
순두부버섯탕
북어채무침
피망잡채
배추김치

보리밥
콩비지찌개
쇠등심구이
메밀가루 부추전
배추김치

현미밥
국수전골
오징어해물볶음
도라지생채
총각김치

콩나물밥
조개살두부국
닭다리조림
시금치나물
배추김치
밤밥
꽃게탕
김치오징어전
마늘쫑장아찌
깍두기
고구마밥
동태찌개
두부부침
고비나물
갓김치
콩밥
단배추된장국
버섯불고기
숙주미나리무침
배추김치
오곡밥
갈비탕
떡고치구이
콩나물무침
배추김치
간식 사과 오렌지 우유 오렌지쥬스 홍삼차
유자차 생당근쥬스 토마토쥬스 사과 요구르트 단감 우유
 
겨울철 칼로리
겨울철 열량
(kcal)
단백질
(g)
지질
(g)
당질
(g)
섬유
(g)
칼슘
(mg)
철분
(mg)
나트륨
(mg)
비타민A
(㎍RE)
β-카로틴
(㎍)
비타민C
(mg)
콜레스테롤
(mg)
평균치 2123.4 82.4 44.6 350.6 12.2 754.3 19.0 6773.3 1620.1 9238.2 186.8 182.1

Bicycle Tire Tube Valve의 종류, 신뢰성, 선택과 사용

 
자전거 타는 사람이 가장 자주 확인 해야하는 것이 몇개 되지 않지만 허브 등 주요 부분의 Bolts Nuts가 풀린 것이 있는가와 쥬브에 바람 넣는 일입니다. 저는 자전거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 여러 사람들과 자전거 전문 shop에서 추천하는 프레스타 발브 쥬브를 쓰면서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Tube 고무에서는 펑크 한 번 난 적이 없는 데도 Valve 문제로 쥬브를 연속 세 번이나 바꿔 끼워습니다. 그래서 발브와 펌프에 대해 좀 알아봤습니다. 프레스타 발브 사용법을 엉성하게 알아서 고생했다는 것을 표현하다보니 나쁘다는 의도로 쓴 것처럼 느껴질 수 도 있어 조심스럽습니다.
 

 

1, 종류 : 자전거 발브의 종류는 쉬레더Schrader Valve, 프레스타Presta Valve, 던롭Dunlop Valve등 세개의 기본 종류가 있으며 변종을 포함하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2. 쉬레더 Schrader Valves : 일명 Auto Valve,  Car Valve,  American valve라 불리는 Schrader Valve는 1891년에  August Schrader 라는 미국사람이 만든 자전거용은 길이 36mm, 직경 7.6mm 발브로서 Formula-1 경주용 등 모든 자동차, 오토바이, Cyclocross BMX(bicycle moto cross)처럼 ex·treme한 환경에서 타는 High-End 부품을 쓰는 고가 자전거 뿐만 아니라  Suspension systemsSCUBA regulatoes,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Plumbing, Fuel injection engines 등 일상생활과 산업용에 이르기끼지 공기, 물, 화공물질 흐름제어 등에 광범위하게 쓰입니다.

 

우측과 아래 사진에서 보는 바와같이 외부 모양이 군더더기 하나 없이 단순/깔끔하며 내부 구조도 간단하여 구조적으로 뛰어나 고압을 넣는 것이 가능하고 거의 '절대'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바람이 새지 않습니다.

 

만약 슈래더가 이 밸브 방식을 발명하지 않았더라면, 자동차 오너들 또한 매일 공기압을 채크하고 바람을 넣어주어야 했을 거고, 또한 지금처럼 무거운 자동차가 굴러다니기도 힘들었을 것입니다. 

 

바람 넣는 구멍의 열고 닫힘이 펌프질에 따라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자동 조절되어 바람을 넣을 때 편리하게 짧은 시간에 더 많은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밸브 자체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취급하기 쉬우며 신뢰도가 높아 Air Shock 등 정교한 에어 주입이 필요한 곳에는 전부 Schrader valve를 사용합니다.

 

 

Schrader Valve는 타이어 쥬브에 펑크 방지제(Slime 또는 Sealant)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Slime 또는 Sealant Shrader Valve Core 분리공구를 함께 팝니다) 하지만 Presta Valve는 펑크 방지제을 Valve를 통해서 넣을 수 없어 Slime 또는 Sealant가 들어있는 Tube를 팝니다. (Presta 맨 손으로 Core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데...) No Flat Tire Tubeless 타이어와 다름니다. Tubeless 타이어를 림에 끼울 때는 낱게로 된 Schrader/Presta 발브를 사서 림에 설치합니다.

 

레더는 특히 림 브레이크에 좋습니다. 장시간 브레이크를 잡아도 Dunlop Valve처럼 과열되어 무시고무(Plunger)로 된 튜브 Valve가 고장나는 일이 없기때문입니다.

 

펌프 없이 라이딩하다 공기압이 낮다고 생각되면 자전거 취급하는 곳보다 더 많은 카 센터와 오토바이 정비소에 가서 쉽게 바람을 넣을 수 있습니다. 

 

 

3. 프레스타 Presta valve : 일명 Sclaverand Valve 또는 French Valve로 불리는 Presta Valve Rim 폭이 좁은 오로지 자전거용으로 네 가지 길이에 직경 6mm로서 Schrader Valve 보다 길이는 길고 직경은 1.6mm 짧습니다.

 
프레스타가 발명자의 이름이며 프랑스 사람이란 것만 알려져 있을 뿐, 정확히 누구인지, 몇년도에 발명된 것인지도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여러 부품들로 이루어져 구조가 복잡하고 약하여 쉽게 고장나며, 펌프 노즐 연결 및 제거시 고도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직 자전거 쥬브에만 쓰이는 저의 경험으로는 신뢰성, 내구성이 낮습니다.

 

 

공기를 넣을 때는 수동으로 Screw Bolt로 된 core(Inner Valve) 끝의 너트를 풀어주고, 다 넣은 후에는 반드시 다시 너트를 잠궈 줘야하는 불편하기 짝이 없는 발브인데, 너트를 풀 때 너트 바로 밑에 있는 core(Inner Valve) Screw Bolt가 함께 풀리는 경우가 있어 확인없이 너트를 잠그면 라이딩 도중에 바람이 빠저버려 쥬브에 펑크가 생기는등 못 쓰게 되어 잦은 교체 수요로 판매량이 많아서 인지 시중 가게에는 Schrader Valve 달린 쥬브보다 이놈을 더 쉽게 살 수 있습니다.

 

저의 자전거 Recumbent Trike는 앞바퀴는 쉬레더 두개, 뒷바퀴는 프레스타 한개를 사용하는 데 약 560km 주행하는 동안 Schrader Valves는 한번도 말썽을 일으킨 적이 없는데, Presta Valve만 세번이나 저를 애 먹였습니다. 발브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약하기 때문에 문제를 많이 만듭니다, 길거리에서 자주 골치아프게 하는 놈입니다.

 

확대된 우측 사진에서는 튼튼하게 보이지만 실제는 가냘픈 소녀의 허리처럼 약합니다.

 

아래 사진은 저를 괴롭혔던 Presta Valves입니다. 발브 속 부품이 자주 말썽피워 길 거리에서 두번째 저를 망신을 시킨 이후는 재활용하기 위해 발브를 쥬브에서 오려냈습니다. 사진 좌측은 새 것인데도 속 부품에서 바람이 새나와 수도 파이프 연결시 사용하는 테프론 테입으로 감았어도 몇일 못가서 저를 또 괴롭혔습니다.

 

 

 

프레스타는 바람 넣을 때 풀어야하는 너트가 코어를 몸체(Stem)에 고정 시키는 스크류와 위아래에 너무 가깝게 붙었고, 밸브 코어의 목이 가늘고 얇아 쉽게 부러지고, 바람 넣을 때 자신도 모르게 만져서는 안되는 스크류를 만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적인 공기압 체크를 하려 할 때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러나 쥬브 밸브와 펌프 노즐을 연결하고, 다시 빼는 그 짧은 시간만 조심하면 다른 요인에 의해 부러지거나 나사산이 뭉게지거나 다른 문제을 일으킬 일은 없습니다. 짧지만 그 절차를 완벽하게 하지 못해 저는 세번이나 길에서 애 먹었습니다. 그만큼 조심스럽게 만저야하는 까다로운 발브입니다.

 

 

코어가 쉽게 분리되고 구성품이 더 많다는 것을 빼면, 기계적인 구조 자체는 Schrader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때문에 Schrader와 비슷한 기밀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프랑스를 제외한 대부분 나라의 고급 자전거는 Schrader 방식 튜브를 사용하였으며, 초기의 MTB도 미국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미국식 표준인 Schrader 방식 튜브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알미니움, 카본, 티타니움 등 경량화된 고급 자전거 소재가 등장하고 경량화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고급 자전거 발브도 시각적으로 늘씬하고 가볍게 느껴지는 프레스타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입니다. 분명히 Schrader가 더 신뢰성이 높고 튼튼한 데, 왜 그럴까?

첫번째는 비공식 자료에 의하면 프레스타는 Schrader/Donlop 보다 4g ~ 5g 정도 가볍습니다. 그 몇 g 차이가 자동차와 오토바이에선 무시되는데, 경량화된 자전거에서 일부의 경우는 크게 중시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프레스타 발브 길이는 36mm, 48mm, 60mm, 80mm 이렇게 네 종류나 있습니다. 36mm는 가벼울 것이고 80mm는 아마 더 무겁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두번째는 프레스타 밸브를 사용하면 Rim에 구멍을 더 작게 뚫어도 된다는 점입니다. 똑 같은 림에 구멍을 1.6mm 더 작은 6mm로 뜷으면 발브 구멍 주변의 림의 강도가 그만큼 덜 약해질 거라 생각합니다. 경량화된 자전거는 아주 좁은 폭의 림을 쓰기 때문에 아무래도 직경 6mm의 프래스타가 좋을 것 같습니다.
 
세번째는 레이싱 자전거는 가벼우면서 접지 저항을 반드시 줄여야합니다. 때문에 후레임 소재 제한으로 경량화가 어려울 수 밖에 없었던 오래전에는 레이싱용 자전거의 림폭을 좁게하는 것이 주요 관심사였습니다.
 
특히 프랑스는 오래전부터 VelodromeRoad 레이싱이 발달했던 곳입니다. 이런 이유로 당시 프랑스의 여러 사람들이 림폭을 줄이고 발브를 더 가늘게 만들려는 노력의 과정에서 아마 평범한 자전거 관련 프랑스 기능공이었을 프레스타라는 사람이 발브를 만들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어쨋든 프레스타 밸브는 애초에 레이싱 바이크에 주로 사용되는 밸브고 레이싱 자전거의 좁은 림에는 6mm 발브 구멍이 표준처럼 되었습니다. 이제는 레이싱 뿐만 아니라 MTB까지 고급 자전거는 자전거 후레임 소재의 물리적인 특성은 우수하면서 경량화가 중요한 이슈인 만큼 발브도 영향을 받으리라 생각합니다.

 

 

4. 던롭 Dunlop Valve : John Boyd Donlop이라는 사람이 그의 10살 아들의 자전거를 개량하던중 고형고무 타이어대신에 쿳션있는 바람 넣는 고무타이어를 1888년에 발명해 특허를 얻고 2년후에 공업화에 성공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Dunlop Valve 인데 다른 이름으로 Traditional Vale,  Woods Valve 또는 English Valve로 불리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사용하기 시작한 직경 8mm의 일반 자전거 밸브입니다.

 

 

타이어 밸브로써 처음 발명된 던롭방식의 장점은 튼튼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단가가 낮습니다. 무시고무(Plunger)라고 불리우는 고무의 탄성만으로 공기압이 새 나가는 것을 막고 있기 때문에 고압을 견디지 못하며, 정상적인 보관중에도 바람이 시간에 따라 조금씩 새게 됩니다. 또 공기압을 잴 수도 없고, 구조적으로 펌프와 완전 기밀하게 결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압의 공기를 넣는 것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벨브 바람구명이 고장나면 누구나 쉽게 Core의 무시고무(Plunger)만 바꾸면 쓸 수 있어, 동네 자전거 가게에 아무 생각없이 '자전거 쥬브주세요'하면 이놈이 달린 쥬브를 줄만큼 세계에서 가장 먼저 등장한만큼 흔한 발브입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Japan, Russia, the Netherlands, Germany, Finland England 등 저가에서 중급 자전거에 이르기까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Core의 무시고무(Plunger)가 쉽게 약해지거나 여름에는 녹아붙어 자주 바꿔줘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특히 림 브레이크에 대단히 나쁨니다. 장시간 브레이크를 잡으면 과열되어 튜브도 터지는데 무시고무(Plunger)가 견뎌낼 재간이 없기때문입니다.

 

이 놈은 가장 흔한 찝게(pincher-type) 달린 노즐 펌프를 사용하지만 게이지로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한강 자전거 대여점에도 찝게 펌프가 있고, 가장 쉽게 쥬브를 구할 수 있어 Gauge Pump을 쓸 수 있다면 좋겠다는 가정을 가끔 합니다.

 

Dunlop은 분명 단점이 많고 너무도 낡은 방식입니다. 그러나 자전거용으로는 충분한 내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오랫동안 살아 남아 애용될 것입니다. 

 

아래 사진은 2010년 5월 14일 집에서 리이딩 출발 100M도 못가서 뒷타이어의 Presta Valve가 문제를 일으켜 지나가는 같은 동네 아저씨의 소형트럭에 자전거를 싣고 자전거 가게에 가서 Schrader valves/Presta Valves가 없어 어쩔 수 없이 저의 펌프 노즐과 안 맞지만 Dunlop 발브가 달린 흥아타이어 쥬브을 끼웠습니다.

 

그런데 동네 자전거 가게 아저씨가 저한테 바가지를 많이 씌웠습니다. 10,000원이하로 좋은 Schrader valve/Presta Valve가 달린 Tube를 살 수 있는데, 포장도 없이 유통하는 던롭발브 달린 흥아타이어 쥬브를 내가 아침 첫 손님인 것 같아서 달라고 하는 데로 15,000원을 주었지만 기분은 좋지 않았습니다. 

 

고생의 교훈으로서 던롭 교체용과 예비로 Schrader valves 쥬브 두개를 샀습니다. 이제는 어떤 일이 있어도 Schrader valve 쥬브를 항상 예비로 확보합니다. 프레스타와 던롭은 저의 기억에서 지워버리고!

 


 

5, 기타 변종 Valve : 특정한 국가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변종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프레스타는 이태리에서는 Regina Valve라는 변종의 발브가 사용되고 있으며, 던롭은 독일에서 변종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시중의 중-저가 자전거에 원형보다 작은 던롭 변종 발브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비슷비슷한 종류가 더 있습니다.

 

 

6, Gauge Pump : Dunlop 발브가 달린 쥬브는 타이어 내부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 달린 좋은 펌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Schrader /Presta Valve만 게이지 달린 펌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드바이크 타이어를 제대로 세팅한다면, 자전거포의 일반 집게형 밸브로는 규정된 공기압만큼 제대로 못 넣습니다. 공기압 40psi 들어간 타이어와 120psi 들어간 타이어는 둘 다 손으로 만지면 구분이 안될정도로 딱딱하지만 도로를 달려보면 성능의 차원이 다릅니다.

 

게이지 없는 펌프를 이용하여 손으로 만져서 딱딱할 때 까지 넣어도 실제로는 모자랍니다. 체중 실리면 타이어가 많이 찌그러집니다. 게이지 없는 펌프를 사용할 경우 성능을 낼 수 없기 때문에 게이지 달린 펌프와 이런 펌프를 사용할 수 있는 쥬브를 꼭 구입 해야 합니다.

게이지 펌프 없이 로드바이크를 탄다는 것은 정비 팀 없이 레이싱카를 시합에 투입하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

 

 

7, Tire Tube Valve and Pump Nozzle  :  어떤 종류의 타이어 쥬브 밸브를 사용할 것인지 정한 후에 펌프를 구입하고  그 펌프에 맞는 발브의 쥬브만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가, Dunlop Valve의 펌프 사용
       실험해 본 결과 던롭 방식의 쥬브발브는 프레스타용 펌프 노즐과 크기가 맞지만 공기 주입이 불가능합니다.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펌프는 호스 끝에 집게가 달려 있어 밸브 스템의 나사 부분을 잡아 고정시키고 공기를 주입합니다. 특별히 휴대용 펌프로 던롭 밸브에 공기를 넣을 수 있는 제품이 있지만 공기를 주입하기에는 힘이 많이 들어 컴프레셔와 같은 고압 기계를 이용하면 특별한 고정장치 없이 손으로 밸브에 고정하고 쉽게 바람을 넣을 수 있습니다.

 

    나, Schrader ValvePresta Valve의 펌프 사용
       가느다란 직경(6mm)의 프레스타 밸브는 공기를 주입할 때 발브 Core 너트 바로 밑의 Screw에 손가락이 닿지 않게 주의해서 발브 코어 윗부분에 있는 Nut를 풀고 공기를 주임한후 너트를 잘 잠궈주고,

 

직경이 약간 큰(8mm) 쉬레이더는 밸브는 발브 가운데 위치한 핀을 눌러주는 일이 필요한데 펌프 노즐 구조가 그에 맞도록 되어있어서 바람 넣을 때 특별히 손댈 일이 없습니다.

 

Schrader ValvePresta Valve끼리는 펌프 노즐을 바꿔 끼거나 쌍둥이 노즐, 레버의 이동 또는 노즐 내부의 고무 재질과 플라스틱 부품을 반대로 끼워 넣는 등 약간의 변형으로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헷갈리고 번거롭습니다.

 

따라서 자전거 Tire Tube Valve는 자전거 Shop 주인이 주는데로 사지 말고 없으면 다른 Shop에 가는 한이 있더라도, 앞 뒤 바퀴 모두 한 종류로 통일해서 끝까지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펌프 하나로 헷갈리지 않고 프레스타와 쉬레더 발브 쥬브에 펌프 노즐을 끼워 사용 할려면 발브 직경 차이와 발브 핀 여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Presta ValveSchrader Valve를 함깨 사용해 보지 않으면 Schrader Valve가 얼마나 간편하고 신뢰성이 좋은지 알 수 없으며, Presta Valve는 바람 넣을 때 많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정보 제공없이 좋은 발브로 알려졌다는 것도 알 수 없습니다.

 

Tube의 고무에서 펑크나면 대부분 큰 소리가 나 펑크을 쉽게 알 수 있기에 예비쥬브로 바꾸거나 펑크를 때우고 바람 넣은 후 다시 라이딩하면 되지만, Valve가 문제을 일으켜 바람이 새면 바로 인지하기 어려워 쥬브에 두개의 구멍이 뚫리는 Pinch Flat(Snake bite)이 나기 쉽고 나든 안 나든 반드시 예비쥬브로 교체하지않는 한 라이딩이 불가능합니다. 최악의 경우는 바람이 새는데도 바로 멈추지 않고 주행하면 티이어와 림까지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올림픽 도로 싸이클링 레이서였고 선수 은퇴후 자전거 정비, 맞춤 전문의 도로 및 산악 자전거 프레임을 생산하는 전문가가 2005년에 쓴 세계적으로 팔리는 책 Zin & the Art of Mountain Bike Maintenance(4th Edition)에서 Presta Valve가 달린 쥬브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자전거 RIM은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말합니다. 접지 저항과 무게를 줄이기 위해 림 폭이 좁기때문에 쉬레더발브 보다 1.6mm 작은 직경의 Presta Valve만 씁니다. 그러나 자전거 RIM의 에어발브 구멍은 별종이 아닌한 대부분 8mm로 뚤려있습니다.

 

 

8, PUMP : 집에 게이지 달린 Floor(Stand) Pump 좋은 것 하나 두시고, 라이딩시는 갖고 다니는 펌프는 미니펌프(에 호스가 달렸거나 호스를 연결할 수 있으면 펌핑시 편리)나 항공기가 바다에 비상착륙할 때 입는 Air Jacket에 달린 공기탱크 같은 손가락 크기만한 1회용 CO2 압축공기통이 있습니다. 펑크패치킷까지 셑으로 된 CO2 압축공기통도 있습니다. 무게와 부피가 작고 One Touch Pumping이라 편리하지만 CO2압축공기통 살 때는 자신의 자전거 쥬브 규격을 알아야 되겠지요?  시장 조사 결과 아직까지 Gauge 달린 CO2 압축공기통은 없습니다.

 

각 회사의 홈페이지
삼천리
: http://www.samchuly.co.kr
첼로 : http://www.cellobike.co.kr
알톤 : http://www.altonsports.co.kr
DM : http://www.dmsports.co.kr
스마트 : http://www.smartsports.co.kr
코렉스 : http://www.icorex.co.kr
엘파마 : http://www.elfama.com

수입사 홈페이지
오디바이크 : http://odbike.co.kr
제논스포츠 : http://www.scott.co.kr
자이언트 : http://www.giantbike.co.kr
산바다 : http://www.sanbadasports.com/
캄파 수입사 : http://www.packboy.net/
스포월드 : http://www.packboy.net/

외국 홈페이지
캐논데일 : http://www.cannondale.com/
트렉 : http://www.trekbikes.com/
자이언트 : http://www.giant-bicycles.com/
스캇 : http://www.scottusa.com/global/bike/
스페셜라이즈드 : http://www.specialized.com/
게리피셔 : http://www.fisherbikes.com/
KHS : http://www.khsbicycles.com/

자전거 용품
옥션, 지마켓, 바이크셀 : http://www.bikesell.co.kr, 다음 노틸러스 mtb 카페 등.
(바이크 셀은 중고 장터로도 유명한 곳이므로 부품이나 자전거를 중고로 팔거나 살때 유용합니다.)
왈바(와일드 바이크)에 더 많은 링크가 안내되어 있습니다.
쇼핑몰 - http://www.wildbike.co.kr/links/links.php
제조사 - http://www.wildbike.co.kr/links/manufacturer.php">
메일오더샵 - http://www.wildbike.co.kr/links/mailorder.php">

자전거의 부위별 명칭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핸들바: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긴 금속막대의 조향장치
2.바앤드:핸들바 양 끝에있는 뿔 모양의 금속막대
3.스템:핸들바와 차체(프렘)를 연결시켜주는 금속막대로 100mm내외로 길이가 다양함
4.프레임: 사람의 뼈대와같이 굵은 쇠파이프(튜브)로 구성된부분이다
5.탑 튜브:프레임의 앞쪽 삼각형 부분중 위쪽튜브를말한다
6.다운튜브:프레임 앞족 삼각형 부분중 아래쪽 튜브로서 헤드튜브와 탑튜부랑 연결된다
7.헤드튜브:탑튜브와 다운튜브가만나는 부분의 짧은튜브로서 포크가 삽입되는곳이다
8.시트튜브:안장아랫 부분의튜브로 싯 포스트가삽입된다
9.체인 스테이:시트튜브아래쪽에서 뒷바퀴축으로연결되는 튜브,말그대로 체인과 수평을이루게된다
10.시트스테이:시트튜브 윗족에서 뒷바퀴축으로 비스듬히연결된 튜브
11.브레이크:바퀴의회전력에 제동을거는장치로 v브레이크는 바퀴윗분분에 위치하고 디스크브레이크는 회전축(허브)에연결된다
12.브레이크암:브이브레이크몸체
13.브레이크패드:브레이크 고무부분
14.브레이크슈:브레이크패드와암에연결되는부품으로 보통 일체형이다 브레이크패드만 교체할수있는제품도있다
15.허브:바퀴의 한가운데에위치한 회전축을말한다
16.림:브레이크 패드가 닿는부분이며 제동력을얻을수있다.일명 굴렁쇠로 타이어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17.스포크:허브와림을 연결하는부품으로 바퀴살이라고부르며 휠하나에 32개혹은 36개가주로사용된다
18.휠:허브.림.스포크의 세부품이 완성조립된상태를말한다
19.버텀브라켓:일명 B.B라고하는 크랭크의 회전축으로 겉으로는 보이지가않는다
20.크랭크:B.B에연결되면서 체인링(3장의톱니바퀴)을 잡아주는 부품
21.체인링:앞쪽에 3장으로구성된 톱니바퀴.(체인휠또는 트리플기어라고부른다)
22.디레일러:기어변속을하기위한부품.위쪽에서 당기는TOP PULL방식과 아래에서당기는 DOWN PULL방식이있다.
B.B에고정되어있는것이있고 시트튜브에고정하는것이있으며 시트튜브지름에따라 다양한 사이즈의디레일러가있다
23.풀리:리어드레일러(뒷 변속기)에있는 두개의작은 톱니바퀴
24.Q.R Lever :공구없이 바퀴나 싯 포스트를쉽게 분해 조정할수있는부품
25.헤드셋:스티어러튜브와 헤드튜브의 유격을 잡아주는 부품으로 조향장치를 원할히 움직일수있게한다
26.포크:앞 바퀴의 축(중심)을 잡아주는 파이프
27.카셋스프라켓:뒷 바퀴의 중심부위에위치하는 7~9장으로이루어진 톱니바퀴 프리휠이라고부르기도한다
28.페달 :크랭크 끝부분에연결되며 우리가 발을 올려놓는곳이기도하다
            클립리스페달과 토클립페달이있다
29.클립리스페달 :스키의 바인딩처럼 신발바닥에있는클릿이 페달에고정되어진다
                         즉 클리트를 페달에끼워넣는형식이다.바인딩페달이라고도부른다
30.토클립페달: 페달.스트랩.클립으로이루어지며 클립을페달에 고정시키고 페달과 클립
                      사이에 신발을넣어스트랩으로 조인다. 싸이클에서 많이 볼수있다
31.쉬프터:변속레바.기어를변속하기위하여 조작하는 장치(그립쉬프터와 래피드화이어가 대표적이다)
32.그립쉬프트:다운힐에서 많이쓰이며 흔히 오토바이 처럼 그립을움켜잡고 돌리면서변속한다
33.래피드화이어:그립을 움켜잡고 엄지와검지손가락으로 레버를 당기거나밀면서 변속을하게된다
34.서스펜션:스프링.에어.오일등을이용하여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이다.
                  앞에만달린 형태의자전거를 하드테일 앞.뒤달린자전거를 풀 서스펜션이라고한다
35.프레스타밸브:공기를 넣는곳의 한형태로 튜브에 바람을넣을때 밸브 부분의 조그마한 나사를풀고 바람을넣고 다시
                        조이는 방식으로 슈레더밸브에비해 압력조정이 쉽다
36.우즈밸브:흔히 일반자전거에서 볼수있는방식이다.
37.아우터케이징:변속기나브레이크의 와이어를감싸주는케이블
38.트래블:서스펜션 포크가 어떤 물리적인힘이나 충격을받앗을때 압축될수있는길이
39.크라운 :이너튜브와스티어러튜브를 연결해주는부위 보통 싱클크라운과 더블크라운이있다  

전국 MTB 코스 베스트 산길 56선

◆ 경기도

1. 절경의 계곡과 호젓한 고개가 어우러진 / 가평 연인산(40km 기술★★★★ 체력★★★)

2. 10번 넘게 물을 건너는 '피서 라이딩의 명소' / 가평 명지산 오뚜기령(45km 기술★★★★ 체력★★★★)

3. 청평호를 바라보는 가평과 양평의 경계 / 가평 화야산(39km 기술★★★ 체력★★★)

4. 유적지 산재한 천연박물관의 아늑한 산길 / 강화 고려산, 국수산, 혈구산(39km 기술★★★ 체력★★★)

5. 수도권의 보물같은 코스 / 군포 수리산 (13km 기술★★ 체력★)

6. 울창한 잣나무숲 삼림욕 / 남양주 축령산(30km 기술★★★ 체력★★★)

7. 서울에서 1시간인데 이런 오지의 산길이 / 양평 유명산 (편도18km 기술★★ 체력★★)

8. 경기도의 끝 강원도의 시작 / 양평 금왕산(75km 기술★★☆ 체력★★★)

9. 오지분위기 삼삼한 소박떼기 산길 / 양평 소리산 (51km 기술★★ 체력★★★)

10. 색깔이 다름 다섯가지 산길을 한번에 / 양평 고래산, 삼각산 (50km 기술★★ 체력★★★)

11. 도시는 지척 오지분위기는 가득한 / 포천 왕방산 (45km 기술★★ 체력★★★)


◆ 강원도

12. 마꾼들의 애환과 숨결이 잦아든 골 / 고성 진부령 마장터~소간령(72km 기술★★★ 체력★★★★)

13. 세월속에 사라져간 화전민 마을을 찾아서 / 삼척 사금산(140km 기술★★ 체력★★★★★)

14. 푸른 동해가 보이는 첩첩산중 산길 / 양양 만월산, 삼형제봉, 철갑령(110km 기술★★ 체★★★★★)

15. 남설악의 치열한 절경 속으로 / 인제 점봉산(107km 기술★★ 체력도★★★★★)

16. 옛탄광촌의 애환이 서린 광산길 / 영월 두위봉(50km 기술★★★ 체력★★★★)

17. 단풍이 물들어 가는 최전방 고층습지 / 인제 대암산(85km 기술★★ 체력★★★★)

18. 삼둔사가리중의 으뜸 / 인제 아침가리골(22km 기술★★ 체력★★)

19. 해발 1000m를 오르 내리는 200km의 산길 / 정선 가리왕산(上)(95km 기술★★ 체력★★★★★)

20. 4개산을 한꺼번에 / 정선 가리왕산 (下)(100km 기술★★ 체력★★★★★)

21. 백두대간을 넘나드는 장쾌한 100km 산길 / 정선 두타산, 청옥산(100km 기술★★ 체력★★★★★)

22. 동강 그 맑은 물에 비친 닭벼슬 / 정선 닭이봉(53km 기술★★ 체력★★★★)

23. 온통 산뿐인 깊고 긴 계곡 까마득한 산록길 / 정선 단임골(77km 기술★★ 체력★★★★)

24. 낙엽송 호젓한 변경의 산속 / 철원 복주산, 광덕산(28km 기술★★ 체력★★★)

25. 소양호가 지척인 명품 산길 / 춘천 가리산 (58km 기술★★ 체력★★★★)

26. 파로호 남쪽 갑자기 끊어진길 / 춘천 부용산, 죽엽산(65km 기술★★★ 체력★★★★)

27. 잦나무 숲지나 고개 넘어 / 춘천 당림리 (43km 기술★★ 체력★★★)

28. 초록물이 뚝뚝 묻어 날것 같은 숲터널 / 춘천 집다리골 (25km 기술★★ 체력★★)

29. 가장 유명하고 친근한  가장 전통있는 MTB 코스 / 춘천 봉화산 한치령 (45km기술★★ 체력★★★)

30. 동해가 보이는 '저 푸른 초원 위에' / 평창 대관령 (50km 기술★★★ 체력★★★★)

31. 산짐승과 먹거리를 나누어 먹는 육지속의 섬 / 평창 박지산 (50km 기술★★★ 체력★★★)

32. 자전거만이 엿볼 수 있는 비경의 단풍길 / 평창 흥정산 (48km 기술★★★ 체력★★★★)

33. 그래도 아름다운 평창강 강변길에서 / 평창 백덕산(52km 기술★★ 체력★★★)

34. 활짝 핀 연꽃 위를 달리는 듯, 울산바위가 예 있는 듯 / 홍천 연엽산(45km 기술★★ 체력★★★)

35. 풍만한 산기슭 파고드는 청정 계곡길 / 홍천 응봉산, 대학산(80km 기술★★ 체력★★★★)

36. 구슬픈 전설 어린 고갯길 / 홍천 며느리고개 (45km 기술★★ 체력★★★)

37. 봄내음 묻은 홍천강 맑은 물 / 홍천 장락산, 좌방산(40km 기술★★ 체력★★★)

38. 표고 1000m 를 오르내리는 산길 180리 횡성 청태산(70km 기술★★★ 체력★★★)


◆ 충청도

39. 눈내린 산골 외딴집, 아이들의 눈싸움에 시름도 모르고 / 보령 성주산, 만수산(40km 기술★★ 체력★★★)

40. 개심사와 전국 최대목장, 천하 명당이 여기 있다 / 서산 가야산(35km 기술★★★★ 체력★★★)

41. 해미읍성과 천수만이 가까운 서해안의 숨은 산길 / 서산 연암산, 삼준산 (45km 기술★★ 체력★★)

42. 고산준령을 아우르는 100km 여정 / 영동 민주지산(100km 기술★★★ 체력★★★★★)

43. 울고 넘던 박달재, 웃고넘는 다릿재와 느릅재 / 충주 천등산(52km 기술★★ 체력★★★)

44. 오는 봄 시샘하는 호수, 호반의 연인은 어디에 / 충주 충주호(77km 기술★★ 체력★★★★)


◆ 경상도

45. 겨울을 잊은 남도의 바닷가 / 거제 계룡산

46. 구슬픈 전설 어린 경북 내륙의 최고봉 / 봉화 일월산, 장군봉

47. 현대판 무릉도원 지나 목장길을 따라서 / 영덕 지품

48. 사람이 그리운 심심산골 170리 / 영양 백암산

49. 중원과 영남 경계 오가는 그 옛날의 고갯길 / 영주 고치령 ~ 마구령

50. 한 삽만 파내면 섬이 될 것 같은 아슬아슬 물돌이동 / 예천 회룡포

51. 3평짜리 하늘 이고 휘도는 오지의 산과 마을 / 울진 삿갓재


◆ 전라도

52. 남도의 화사한 전원풍경 속으로 / 강진 천태산

53. 자전거로 주름잡는 천연요새의 치맛자락 / 무주 적상산

54. 시간이 멈춘 추억의 뒤안길 / 순천 고동산


◆ 제주도

55. 한라산 중턱 울창한 난대림을 뚫어라 / 북제주 교래리 임도

56. 화산섬의 신비 간직한 한라산 숲길 다운힐 / 서귀포 1100고지~대유랜드

출처 : 대전상고 12회
글쓴이 : 임갑열♂영마샬驛馬煞 원글보기
메모 :

■ 타이어-타이어 01


타이어는 자전거의 주행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품으로,

타이어의 폭과 트레드 형상에 따라 성격과 용도가 달라진다.

폭 1.2인치의 로드용부터 3인치의 다운힐용까지 다양하게 생산되고,

라이딩 스타일과 자전거 용도에 따라 선택하는 요령이 필요하다.


타이어의 역할

타이어는 라이더가 페달을 돌리는 힘과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지면에 전해서 자전거가 달리고 멈출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사이클과 MTB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가 휠의 크기와 타이어의 두께인 것처럼

타이어는 자전거의 주행성능과 성격을 결정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타이어가 가진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충격흡수 능력이다.

서스펜션 포크와 리어쇽이 발달한 지금도 타이어의 종류와 공기압력에 따라

승차감이 달라지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타이어 공기압을 지나치게 높이거나 낮추면 충격흡수력이 떨어지고,

타이어의 수명도 짧아진다.

주입 가능한 공기압은 타이어 측면에 표시되어 있으며,

도로 상황과 라이더의 체중에 따라 적정 공기압은 달라진다.

포장도로에서는 타이어 공기압을 높이는 것이 유리하고,

길이 험하면 공기압을 낮추는 것이 주행성능과 충격흡수력을 높여준다.

하지만 공기압이 낮으면 튜브가 림에 찍혀 펑크가 나는 스네이크 바이트

(Snake Bite, 독사가 문 이빨 자국처럼 두 곳에 나란히 펑크가 남)가 일어나기 쉽다.

라이딩 스타일과 용도에 따라 타이어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타이어는 소모품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트레드가 닳아서 교체할 시기가 지난 타이어를 계속 쓰다가는

타이어가 찢어져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 타이어와 뒷 타이어는 역할이 서로 다르다.

앞 타이어는 조향능력을 높이기 위한 형태로 설계되고

뒷 타이어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립력을 높게 만든다.

따라서 앞뒤 공용 타이어보다는 앞뒤 용도가 구분된 타이어를 고르는 것이 좋다.


타이어의 구분

용도가 아니라 구조에 따라 타이어를 구분할 때 그 기준은

튜브의 유무와 비드의 재질이 된다.

튜브를 쓰는 일반적인 타이어와 튜브가 없는 튜브리스(Tubeless) 타이어로 나누거나

비드 재질에 따라 케블러 비드 타이어와 스틸(와이어) 비드 타이어로 구분하는 것이다.

최근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튜브리스 타이어는 튜브가 없어서 타이어의 측면인

사이드월의 유연성이 좋아져 험로에서의 접지력이 높고,

스네이크 바이트도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값이 비싸고 튜브리스 전용 림을 사용해야 하며

휴대용 펌프로는 공기를 넣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튜브가 없는 만큼 가볍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공기가 새지 않도록 비드 부분이 강화되어 경량화 효과는 크지 않다.

튜브리스 타이어의 가장 큰 장점은 접지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비드는 타이어가 림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림과 타이어를 고정시켜주는 부분으로,

케블러와 스틸로 만든다. 케블러 비드는 스틸 비드에 비해 가볍고

타이어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접히는 타이어는 장거리 여행을 가거나 보관할 때 편리하다.

같은 타이어라도 비드 소재가 무엇이냐에 따라 값도 달라지는데,

케블러 비드 타이어가 비싼 편이다.

경량화를 추구하는 XC 레이싱용은 케블러 비드를 주로 쓰고,

코너링 속도가 빨라 림에 가해지는 힘이 큰 다운힐용 타이어는

무거워도 스틸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페셜라이즈드 록스터 1.9 튜브리스(SPECIALIZED ROCKSTER 1.9 TUBELESS)

XC레이싱을 위한 경량 튜브리스 타이어로 진흙을 제외한 험한 지형과

노면이 고른 곳에서의 성능이 좋다.

케블러 비드이며, 폭은 1.9인치와 2인치로 생산된다.

앞뒤 공용이고 값은 대략 9만원 선


IRC 미도스 XC 2.1(IRC MYTHOS XC 2.1)


1996년 아틀란타 올림픽에 사용되어

은메달을 획득한 것으로 유명해진 XC용 타이어.

저렴한 값이 장점이고 앞 뒤 다른 트레드로 생산된다.

케블러 비드를 사용하고 1.95인치와 2.1인치가 있으며

값은 저렴한 편이며, 무게는 590g


미쉐린 와일드그립퍼 핫 S 2.1(MICHELIN WILDGRIPPER HOT S 2.1)


월드컵 듀얼 슬라럼 경기장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한 XC와 FR용

앞뒤 공용 타이어다. 케블러 비드를 사용하고 무게는 630g. 값은 5만9천원선이다.


허친슨 톱 슬릭 1.2(HUTCHINSON TOP SLICK 1.2)


MTB에 사용할 수 있는 도로용 타이어로 도로훈련이나 장거리 투어링에 적합하다.

폭이 1.2인치로 매우 좁아 폭이 좁은 튜브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고속주행이 가능하지만 제동력과 충격흡수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케블러 비드를 사용했고 값은 5만 원, 무게 390g


미쉐린 와일드그립퍼 시티 1.5(MICHELIN WILDGRIPPER CITY 1.5)

도로용 모터사이클의 타이어에서 영향을 받은 트레드를 가졌고,

안락함과 제동력을 높인 모델이다.

장거리 주행과 출퇴근용으로 적합하다.

스틸 비드를 사용하고 값은 2만9천 원, 무게 640g


IRC 트레일 베어 2.25(IRC TRAIL BEAR 2.25)


DH용 타이어와 비슷한 트레드를 가진 프리라이딩용이다.

힐클라이밍 능력에 많은 비중을 두었고 드롭과 같은 큰 충격에 대비해

사이드 월을 강화했다.

앞뒤 공용이며 폭이 넓고 강도가 높은 림에 끼워야 제

성능을 발휘한다. 케블러 비드를 쓰고 무게는 665g이다. 값은 2만5천 원


IRC 쿠조 DH 2.35(IRC KUJO DH 2.35)


월드컵 DH 경기에서 활약하고 있는 DH전용 타이어로

2.25인치부터 3인치까지 다양한 두께로 생산된다.

2.35인치까지는 케블러 비드 버전이 있고

2.65부터는 스틸 비드만 나온다.

2.35인치 케블러 비드의 무게는 1036g이고 값은 3만6천 원


맥시스 몹스터 2.7(MAXXIS MOBSTER 2.7)


사이드 월이 강화된 DH용 타이어로 접지력과 마모 정도가 다른

3가지의 컴파운드로 생산된다.

스틸 비드를 사용하며 무게는 1389g이다. 값은 6만9천 원


미쉐린 콤프 32S 2.8(MICHELIN COMP 32S 2.8)


다운힐 레이싱을 위한 타이어로 S는 소프트를 뜻한다.

모터크로스용 타이어를 기본으로 개발했다.

접지력이 높지만 타이어의 마모가 빠르다.

튜브리스용이고 스틸 비드를 사용한다.

무게는 1350g, 값은 10만 원


미쉐린 콤프 24.1 S(MICHELIN COMP 24.1 S)


다운힐과 슬라럼 경기를 위한 타이어로 미끄러운 노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었다.

XC용에 이어 DH용 타이어도 튜브리스화 되어 가는 것이 추세다.

스틸 비드를 사용하고 무게는 1280g, 값은 5만 9천 원 선


■ 타이어-타이어 클리어런스(Tire Clearance)


요즘 재미있는 라이딩을 위하여 광폭 타이어를 사용하는 분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스펜션 포크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 사이즈에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분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2.3인치 이상의 광폭 타이어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타이어 클리어런스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이것은 라이더의 안전과 직결된 중요한 사항이므로

이하 내용을 자세히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타이어 클리어런스란?


타이어 클리어런스란 샥의 '크라운'과 '타이어' 윗부분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메이커와 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타이어 폭이 커지면

타이어의 지름 또한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타이어 지름이 커지면서 타이어 클리어런스

즉, 크라운과 타이어 사이의 거리가 트래블 이하로 작아질 수 있습니다.

만약 버텀아웃(Bottom Out, 트래블이 다 먹는것)되면

타이어가 크라운 아래에 와서 닿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순간적으로 매우 강한 앞 브레이크를 가한 것과 마찬가지가 되어,

심하게 엔도(Endo, 앞으로 뒤집어짐)가 되면서 라이더는 앞으로 세게 내동댕이쳐지고

말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마니또 X-Vert 시리즈는 트래블이 105mm이므로,

타이어 클리어런스는 최소 105mm 이상이어야 합니다.

(매뉴얼에는 최소 108mm가 되어야 한다고 나와 있으며,

최고 타이어 사이즈는 2.2인치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직접 X-Vert와 마빅 X223림에 흥아 Schwalbe Fat Albert 2.35를 장착해 보았습니다.

자로 여러번 재어본 결과, 타이어 클리어런스가 102mm 정도 밖에 채 확보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경우는 이 타이어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흔히 X-Vert는 댐핑이 좋아서 버텀아웃이 잘 되지 않는다고 하죠.

하지만 만약 버텀아웃이 된다면, 그것은 매우 빠른 속도 또는 점프,

드롭과 같은 극한의 상황일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타이어가 크라운에 박혀서 앞바퀴가 급정지가 된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여러분들도 메뉴얼에서 최대 타이어 사이즈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대부분 메뉴얼의 첫머리에 있을 것입니다) 아니면 직접 자를 가지고 크라운과 타이어 사이의 '수직' 거리를 여러번 정확히 재어 보십시오.

이 거리가 포크의 최대 트래블보다 더 길어야만 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작은 사이즈의 타이어로 바꾸도록 하십시오.

굳이 광폭의 타이어를 고집한다면, 샥을 바꾸는 방법도 있습니다.

실제로 광폭을 쓰기 위해 샥을 바꾸는 사람들도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샥들의

최대 타이어 사이즈를 몇 개 첨부합니다.


락샥 사일로 2.7,

박서, 듀크, 쥬디 2.4,

마니또 블랙 2.4,

마니또 X-Vert 2.2  ...


얼마전 XC 레이싱용인 락샥 시드 서스펜션에

2.35인치 타이어를 사용하는 분을 보았는데, 정말 아찔할 정도였습니다.

광폭을 쓰시는 분이라면 나름대로 격렬하게 타실 터이고,

특히 몸무게가 무겁다면 더욱 위험합니다.

마지막으로, 메뉴얼에 명시된 내용을 다시 한 번 강조드립니다.

타이어 클리어런스를 지키지 않으면 '심각한 부상 또는

사망'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타이어-타이어의 특징


산악자전거 타이어의 특징

타이어의 중요성은 산악자전거를 타면 탈 수록 느끼는 것이다.

처음에는 '타이어가 바뀐다고 타는 실력이 바뀌나?'라는 생각으로

산악자전거를 타곤 하지만, 여러가지 상황에서 자전거를 타 본 사람들은

타이어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도로가 많은 곳, 비가 오는 날, 진흙이 많은 곳, 딱딱한 땅, 흙이 많은 땅,

돌이 많은 길 등 모든 지형에 만족할 수 있는 타이어는 아직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은 자신이 많이 타는 지형에 맞는 타이어를 고르거나,

몇 가지 타이어를 가지고 있다가 그 지형에 맞는 타이어로 바꾸어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IRC MYTHOS SXC 2.1 앞/뒤

장점 : 큰 트레드를 사용하기 보다는 작은 것을 여러 개 사용하여

       건조한 곳부터 습기가 있는 곳까지 두루 좋은 느낌을 갖게 한다.

단점 : 진흙에 사용하기 좋지 않고, 점프한 후에 착지하는 느낌도 좋지 않다.

특징 : 약간 부드러운 화합물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단단한 것보다는 오래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탈착하기 쉽게 제작되어 펑크가 났거나 새것으로 갈아 끼울 때

       문제가 없을 것이다.


MAXXIS INSTINCT 2.1 앞

장점 : 굵고 간격이 넓은 트레드를 사용하여 이물질이 타이어에 잘 끼지 않는다.

       코너링이 좋은데, 다소 부드러운 흙에서 코너링할 때 잡아주는 느낌이 좋다.

단점 : 딱딱한 땅에서 코너링은 조금 예상하기 힘들다.

특징 : 조금 못생긴 모양을 하고 있고, 다운힐용으로 사용하기에 좋다.

       또한 경사가 급한 산악길에서 브레이크의 반응이 좋고,

       고속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ONZA PORCUPINE 1.9 앞 또는 뒤

장점 : 앞보다는 뒷바퀴에 사용하는 것이 좋고, 광범위한 지형에 괜찮은 반응을 보이며,

       언덕 오르기에 아주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Maxxis Instinct를 앞에 사용하면 부드러운 지형에서 코너링 등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단점 : 너무 빠르게 닳아 버리는 경향이 있다. 처음 1~2주 동안은 아주 훌륭한 편이다.


RITCHEY Z-MAX SC 2.1 앞/뒤

장점 : 모든 지형에서 역할을 잘 하는 무난한 형태의 타이어다.

       또한 포장된 곳이나 딱딱한 땅에서 저항이 적다.

단점 : 급한 내리막길이나 코너링에서 좀더 강력한 힘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

특징 : 강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으며, 무게도 비교적 가벼운 편이다.


SPECIALIZED CACTUS CONTROL/MASTER 2.2 앞/뒤

장점 : 앞바퀴는 안정된 코너링과 충분한 브레이크 성능을 보인다.

       뒷바퀴는 언덕 오르는데 훌륭한 역할을 한다.

단점 : 뒷바퀴가 조금 쉽게 닳아 버린다.

       공기를 많이 넣기 때문에 부드러운 흙이나 진흙에서는 조금 주체하기 힘들다.

특징 : 상대적으로 많은 공기를 넣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찝혀서 발생하는 펑크를 줄였고, 모래와 돌이 많은 길에서

       바퀴가 빠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TIOGA FACTORY DH 2.1 앞/뒤

장점 : 거칠게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에게 알맞는 타이어이다.

       코너링에서 밀리는 것이 적고, 찝혀서 생기는 펑크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브레이크의 안정감도 뛰어나다.

단점 : 포장된 길에서는 타지 않는 것이 좋다.

특징 : 다운힐 용으로 나왔지만 2.1의 두께는 조금 얇은 편이라 거친 지형에서

       자전거를 탈 때 사용하기 좋은 타이어이다.

       트레블이 긴 자전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WTB ENDURO RAPTOR 54/52 앞/뒤

장점 : 편안한 느낌을 주는 타이어이다. 브레이크 성능이 뛰어나고,

       오래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단점 : 싱글트랙의 변화가 많은 길에서 바깥 쪽의 트레드가 잡아주는 힘이 조금 약하다.



■ 타이어-튜브 주입구의 바람 넣는 방식


자기 자전거의 정확한 튜브형식은 알아둬야 한다.

고급자전거와 일반 국산자전거의 바람 넣는 방식이 틀리다.


1. Presta valve

제일 좋다고 한다.

생긴 건 가장 가늘고 길어서 자세히 보면

'앗, 뾰족하다'라고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가늘고 길다.

같은 사이즈의 튜브 중에서  가격이 제일 비싸다.

부품이 필요 없어 튜브 갈 때 편하다. 원래는 고급 싸이클에서 쓰였는데

지금은 고급 MTB에도 쓰인다.

유럽출신 자전거들은 거의 이 형식이다.


2. Shrader valve

자동차, 2륜 모터바이크에 두루 쓰이는 형식.

이 타입이 편한 건 알다시피 자동차에 바람 넣을 수 있는 기계는

모두 호환이라 미국에서 자전거에도 흔히 쓰인다.

Presta보다 더 간단하다. 짧고 굵어 보인다.

튜브 가격도 저렴하고 자동차와도 호환이 되니 바람 넣기도 편하다.

미국쪽 MTB에서  많이 쓴다.


위 두가지, presta/shrader valve는 자전거에 달아놔도 거의 부담이 없는 소형의 펌프들이 많이 있다.

고급부터 보급형, 2단짜리 소형까지 있다.

그리고 이런 휴대용 펌프들은 이 두 가지 형식을 다 지원 하는 게 대부분이다.

이른바 switchable 타잎.


3. 우리나라에서 흔히 쓰이는 방식(이른바 엽기적 체 타입 밸브)

우리나라의 보급형을 지나 지방에 가면 꽤 비싼 고급 MTB에도

바람 넣기 편하게 개조했다고 하면서 이런 방식의 튜브로 바꿔서 판다.

워낙 우리나라에서 지지받고 흔히 쓰이고 또 튜브가격도 싸서 편한 면도 있는데

불편한 점은


가.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타입이라 휴대용 펌프가 없다는 점.

이 점은 정말 불편해서 KEY에서 무주로 eco-tour갈 때 동네 자전거가게에서 쓰는

빗자루만한 쇠펌프를 들고 가야 된다.

개인이 들고 다닐 수는 없는 노릇.(필자도 집에서 이 펌프를 쓰긴 한다)


나. 부품이 세개..

튜브 갈 때 여간 귀찮은 게 아니다.

한 개의 부품도 빠지면 수리불능이 되는지라 여간  신경 쓰이지 않는다.

이런 방식을 wood valve라고 하는데 어디 문헌에서 나온 건지는 확인은 못해봤다.


총평


볼 때 튜브가 평크 나서 갈 때는 위의 1/2번 타입의 튜브로 바꾸는 것이 좋다고 본다.

그리고 지금은 어지간한 동네자전거가게도 다 이런 튜브를 팔고 있고

가격도 별 차이가 없다.(3번과) 특히 2번은 부품도 전혀 없어 편하고

자동차와 호환이라 바람 넣을 수 있는 가능성이 좀더 커지고 휴대용 펌프도

거의 100% 지원이 되서 편하다.

물론 자전거 매니아들은 presta를 지지하는 사람이 더 많다. 예쁘니까...


1. 우리나라에서 제일 흔한 방식은  'Dunlop'방식이다.

(혹은 wood type 도 맞다고 함)

아마 타이어를 제일 처음 제안한 회사가 Dunlop 이었을 거다.

이 Dunlop 방식의 타이어라 해도 휴대용 공기펌프를 사용가능한 방법이 생겼다.

자전거 가게 가면 'presta <-> dunlop conver' 라는 조그마한 황동 밸브를 판다.

두개 5천원 정도.

요거 하나 들고 다니면 프레스타 공기펌프를 가지고 일반dunlop 방식에도

가뿐히 바람 넣을 수 있다.

또 일반 dunlop방식의 공기펌프(자전거 가게에 흔히 비치되어 있는 무쇠덩어리 공기펌프)를

가지고 프레스타 방식 튜브에도 이 밸브를 쓸 수 있다는 점이다. 

한쪽은 던롭, 한쪽은 프레스타에 맞게 디자인 되어 있다.


3.  미국식 shrader에 대한 생각

미국식은 참 유니버설한 기계적 사고에 철저한 나라이다.

물건을 평가하는데 '더 좋다'라는 것 보단 '더 쓰기 편한' 것이 스탠다드의 조건이다.

shrader 방식은 의외로 간편하다.

presta처럼 꼭지를 돌릴 필요도 없고 그냥 주입구를 갔다 대면 끝이다.

고장날 부품도 없는 상태고. 자동차나 모터바이크와 공용이므로(우리나라 차의 100%)

강점이 있다.

미국브랜드의 MTB에서 흔히 이 shrader 방식을 흔히 볼 수 있다.

이걸 특별히 presta로 바꿀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베스트 900 팁: 바이크 포지션 

1. 팔; 팔꿈치를 약간 굽히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긴장을 완화 시킨다. 팔은 몸에 가까이 붙혀 에어로 다이나믹한 자세를 만든다. 

2.  상체와 어깨; 될수 있는한 움직이지 말라.  세이브된 에너지로 페달를 스핀하는데 사용하라. 높은 기어로 바꾸어 주기적으로 안장에서 일어나 경직된 엉덩이와 허리 근육을 풀어 주어라. 

3.  머리와 목; 지쳤을때 일수록 머리를 아래로 숙이지 말고 바로 들러 전방을 주시하라. 주기적으로 머리를 좌우로 흔들어 목 근육을 스트레치하여 풀어준다. 

4. 손; 손가락에 마비현상이 오는것과 상체가 뻣뻣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손의 위치를 자주 변경하라.  내리막과 고속 주행할때는 핸들 드랍 부분을 잡고, 크루즈 할때는 브래이크 후드 부분을 잡아라.  긴 오르막이서는 핸들바 탑을 잡고, 똑 바로 안장에 앉으며, 가슴을 열어서 호흡이 쉽도록한다. 안장에서 일어 설때는 브래이크 후드를 가볍게 잡고 페달링을 함에 따라 약간씩 바이크를 좌우로 흔들어 줄수 있다.

5. 핸들바; 핸들바 폭은 어깨폭과 같아야 한다. 핸들드랍의 직선부분은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하거나 약각 아래로 내러 가도록 한다. 

6. 브레이크 레바; 브레이크 레바 설치는 브레이크 후드를 잡을때 편안함과, 브레이크를 쉽게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보통, 브레이크 레바 끝이 핸들드랍 직선 부분의 연장선과 만나는 위치가 좋다.  

7. 스템 높이; 스템이 충분이 높을때, 자연히 핸들 드랍부분을 잡도록 유도하게 된다. 스템높이는 보통 안장 높이 보다 약 1 인치 아래가 좋다. 스템을 낮추면 에어로 다이나믹한 자세을 만드는데는 좋으나, 불편할 수 있다. 

8. 탑튜브 와 스템 길이; 탑튜브에 스템길이를 더한 길이는 자신의 몸의 유연성과 체형에 의해 결정된다.  정확한 공식은 없으나 팔을 약간 구부린 상태로 브레이크 후드를 잡아 눈으로 핸들바 그리고 앞바퀴 허브가 일직선상에 보이는것이 좋다.  그러나 라이딩 함으로서 스템길이를 더 늘려 에어로 다이나믹 자세를 취하고자 할것이다.  

9.  등; 등은 반듯이 펴는것이 좋다 (구부리지 말고). 라이딩시 엉덩이 윗 부분을 감아서 앞으로 숙여지게 한다.  등을 바로 펴기 위해서는 자신의 배가 탑튜브를 터치한다는 생각을 하면, 등을 구브리지 않고 바로 펴는데 도움이 된다.  

10. 안장 높이; 페달이 다운스크록 정점에 있을때 무릎이 약간 구부러지도록 한다.  페달링 할때 엉덩이가 좌우로 흔들려서는 않된다 (안장을 더 낮추어야).  싸이클 슈즈을 신은채로 안장에 올라갔을때 다운스트록 정점에 있는 페달과 싸이클 슈즈 뒷굽과의(즉 싸이클 슈즈를 페달 바로 위로 가져 갔을때) 간격이 약 5밀리가 되게한다. 만약 발 뒷굽부분의 신발 창이 앞부분의 그것에 비해 얇은 경우 안장을 2~3밀리 더 올려준다.  또한 키에 비해 발길이가 길면, 2~3밀리 더 올려준다.  안장 높이를 조절할때는 한번에 2밀리 이상 하지 말라. 

11. 안장 기울기; 안장은 통상 수평이 되어야 한다.  에어로 다이나믹한 자세를 취하기 위해 안장 앞부분에 앉게되면 불편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안장코를 약간 아래로 내려 줄 수 있다.  

12. 안장의 전방/후방 위치;  최근에는 힐클라이밍시 파워를 더 생산해 내기 위해서 안장을 뒤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안장 중앙에 편하게 앉아, 페달을 3시 방향에 위치 시킨다. 무릎전단에서 부터 실추를 떨어 뜨렸을때, 실추가 크랭크암 끝을 터치하는것이 중립적인 위치이다.  힐클라이머나 타임트라이얼리스트는 실추가 크랭크암 끝으로 부터 1~2센티 후방에 오게하여 큰 기어를 회전시킬때 용이 하게 한다.  트랙이나 크리테리움 선수들은 실추가 크랭크암 끝단 앞으로 지나가게 하여 다리 회전스피드를 높이도록 한다.  

13.  프레임; 맨발로 발을 6인치 정도 벌린 상태로 서서, 바닦에서 부터 사타구니 까지의 길이 (inseam)를 잰다.  inseam X 0.65가 대략적인 자신의 바이크 프레임 사이즈이다.  안장 높이가 잘 조절되었을때, 알맞은 프레임 이라면 4~5인치 정도의 싯 포스트가 노출되어 보여야 한다.  

14. 안장에서 엉덩이 위치; 안장위에서의 엉덩이 전/후방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근육을 사용하게 된다.  엉덩이를 앞으로 이동하면, 허벅지 앞 근육인 quadriceps을 더 사용하게 되고, 뒤로 이동하였을 겨우는 hamstrings와 glutes 근육을 사용하게 한다. 

15.  발;  클릿을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자신의 발중 가장 폭이 넓은 부분이 페달축 약간 앞으로 오게 하거나 뒤로 오게한다.  라이딩 하면서 클릿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장 편한 위치를 찾는것이 중요하다.  

16. 크랭크암 길이;  긴 크랭크암을 사용하는 경향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파워를 더 생산해 낼수 있지만, 페달링 스피드는 떨어 진다.  inseam(안쪽 가랑이의 길이)이 29" 이하면 165밀리, 29-32"면 170 밀리, 33-34"면 172.5밀리, 34"이상이면 175미리 크랭크암을 사용하라. 

전문가 되기위해서 좋은 자격증 취득하려는분들이 많은거 같아여. 자격증 자료들 무료로 받아보세요


100개가 넘는 자격증 관련 링크모음 올려드려요...

나날이 발전하는 우리 카페를 너무 보기좋습니다

저도 우리 카페를 위해서 일조를 해야죠..^^ 앞으로도 좋은 자료들 있으면 제일먼저 찾아서 올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아래 자격증관련 무료 자료신청 링크모음 입니다..

아래 필요한 자격증 무료자료 한번에 여러개 신청가능하데요..


- 심리상담사 - 병원,학교,유치원등 필요 인력 턱없이 부족 취업유망자격증!

무료자료신청


- 주택관리사 - 건설교통부 주관 - 법령으로 2010년 의무고용채용제 시행

무료자료신청


- 사회복지사 - 무시험취득+100%취업 - 관련자료 무상제공!!

무료자료신청


- 유기농관리사 - 녹생성장/친환경/건강식생활에 따른 유망직종 자격증

무료자료신청


- 공인중개사 - 공인중개사 매월시험정보 및 예상문제 무료제공

무료자료신청


- 경비지도사 - 민간경비업체,국가중요시설,금융기관 취업

무료자료신청


- 농산물품질관리사 - 농산물품질검수를 통해 안전한 농산물 전문가!

무료자료신청


- 베이비시터 - 육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제2의 부모 역할!

- 직업상담사 -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직업상담 인력부족! 전문가양성!

- 도로교통사고감정사 - 교통사고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사고원인을 규명!

- 대입,고입검정고시 - 대입,고입검정고시 합격비법 노트 무료제공

- PIA사설정보관리사 - 각종사건,사고 탐정 민간 조사 전문가
- 보육교사 - 보육교사자격증 무시험 자격증 취득기회 - 무료자료신청

- 연예인관리사 - 한류시대의 전문적인 연예인매니저 양성 자격증!

- 결혼상담사 - 결혼상담사 - 자격 취득과 동시에 웨딩업체와 연계 취업보장

- 유아교육학과 - 등교없이 최단기간 유아교육학과 학사 취득

무료자료신청

- 4대보험관리사 - 4대보험통합징수 법제화로 인력부족 고수입자격증

무료자료신청

- 초벌번역가모집 - 취업,프리랜서,재택근무,창업가능 초벌번역가 모집

무료자료신청

- 속기사 자격증 - 한글자막방송요원 및 최단기 국가 속기사 취득 안내
- 식생활교육지도사 - 남용되는 건강식품 안전관리! 건강식품관리 전문가!
- 소비자전문상담사 - 소비문화가 발전할 수록 주목되는 최고의 자격증
- 아동심리상담사 - 지속적인 심리상담을 통해 아이의 오감을 치료한다!
- 저작권관리사 - 저작권행정, 교육, 구직시장 상위1%! 신직업군 급부상!!
- 행정사자격시험 - 공무원만 가능했던 행정사 자격시험이 누구나 응시가능
- 가정복지상담사 - 가족상담복지서비스 및 생활지도관리 업무
- 미술심리상담지도사 - 그림표현을 통해 효과적인 심리진단,치료 업무
- 경호지도사 - 나도 이제 연예인이나 정치인의 경호원이 될수있다!!
- 토종식물해설사 - 야외 체험활동의 안내자로 식물의 이해증진,흥미유도!
- 한자지도사 - 한자 학습지도능력 배양과 올바른 가지관 형성등 유도!
- 사회보험사 - 근로자들의 권리,혜택을 챙겨주는 전문컨설턴트
- 반려(애완)동물관리사 - 반려동물 가구 500만 / 1조2000억 시장!
- 방과후교육교사 - 많은 학교에서 창의사고력 수업을 채택! 인기직종!
- 유아교육지도사 - 강남 엄마들이 선택한 유아교육의 유아교육전문가!
- 아동학사 - 부부 맞벌이 필수시대 아동학사 인력 턱없이 부족!!
- 유기농업기능사 - 자격증 취득후 취업이 되도록 업체 20여곳 연계 취업
- CS강사양성과정 - 전반적인 서비스기획업무를 총괄하는 전문 컨설턴트
- 반려동물장례관리사 - 반려동물의 매장,안치등 절차를 전문수행
- 신재생에너지 - 저탄소 녹색성장 분야 신설! 최고의 유망자격증
- 동화구연지도사 - 동화를 수업매체로 어린이 감성,EQ,IQ 향상 지도사
- 부부심리상담사 - 한국 이혼율 OECD 가입국 중 1위 최고의 유망자격증
- 가족문화지도사 - OECD 국가 중 자살률과 이혼률 최고! 유망자격증
- 방과후아동지도사 - 현직 방과후교사들이 말하는 최고의 자격증
- 산지식물자원관리사 - 생태공원,식물원등에서 산지식물 전문가로 활동
- 가정관리사 - 주거환경,세탁,노인관리등 맞춤형 가사서비스 제공자
- 간병사 자격증 - 병원,요양소등 환자의 보호자를 대신하여 간병하는 역할
- 전통시장관리사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환경분석,안전,위생,유통 업무
- 직무스트레스관리사 - 직무스트레스 측정/관리 퇴직후 경력개발까지
- 천연염색사 - 천연염색의 과학적인 연구와 노력! 다양한 색을 창조 개발
- 도청탐색사 - 도감청 및 개인프라이버시 침해 심각, 도감청탐색 전문인력!
- PSG특수경호사 - 의뢰인에게 가해지려는 일체의 행위를 방지 경호사
- 경호사격마스타 - 경호,경비업체 등 취업,프리랜서 전문직으로 활동
- 화재감식평가기사 - 과학적,전문적 화재조사 및 감식 인력 절대부족
- 보드게임지도사 - 보드게임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로 성장을 돕는 역할
- 종이접기지도사 - 종이접기를 메인 테마로 한 차별화된 수입프로그램
- 콜크공예지도사 - 친환경 웰빙 점토를 이용 미적감각 길러주는 역할
- 콜크클레이지도사 - 두뇌회전력,감성표현력 길러주는 자연친화적 교육
- 예쁜손글씨POP교육교사 - 방과후교육의 예쁜손글씨 교육 방행을 제시!
- 스마트교육지도사 - 2015년 전국 초,중,고 디지털교과서 전면도입!
- 아이패드교육지도사 - 아이패드를 통한 학습자중심 개인별,맞춤형교육
- 클레이공예지도사 - 악세사리와인형,아기자기한 생활소품까지 내손으로!
- 방과후생태탐구지도사 - 아이들의 호기심 충족 1위! 체험과학의 1인자
- 멘사두뇌게임지도사 - 창의성,인성,지성 겸비 글로벌 리더 교육전문가
- 생명과학지도사 - 생명과학 체험교육을 지도하여 인성교육 책임지도
- 독서논술지도사 - 다양한 방법의 독서교육! 글로벌 리더 양성할 지도자!
- 방과후지도사 - 방과후 교사자격증 최단기간 취득 최고의 취업율 보장
- 멘사셀렉트게임지도사 - 창의와 인성이 겸비된 리더로! 교육전문가!
- 쿠키앤클레이지도사 - 가장듣고싶은 방과후 프로그램 쿠키앤클레이!
- 창의사고력지도사 - 자격증취득으로 우수한 취업율! 홈스쿨창업도 ok!
- 교육마술지도사 - 사교육비절감위해 방과후학교 신규강사 충원계획
- 영재놀이지도사 - 영,유아들 사이에서 영재성 개발,발달시키는 전문인!!
- 냅킨아트공예지도사 - 냅킨을 오리고 붙여서 장식이 가능한 공예과정
- 동화요리클레이지도사 - 독서를 통한 요리,클레이 활동! 독후활동 지도
- 스마트활용능력 1급,2급 - 범국민SNS시대 스펙 쌓고 생활의 편리함까지!
- 아동스피치지도사 - 자신감없는 사람도 강의만 들으면 전문 강사로!
- 우드아트공예지도사 - 초,중학교 실용공예수업 붐,강사의 인기자격증
- 아동요리지도사 - 다채로운 아동요리 체험학습! 성공취업에 도전 하세요
- 토탈공예지도사 - 냅킨아트,우드아트,콜크아트등 커리큘럼 종합공예

- 조경직공무원 - 녹색성장의 국가 정책에 따른 핵심 필수 인력

무료자료신청

- 소방간부후보생 - 소방의 핵심 인재로 소방조식내에서 승진이 보장

무료자료신청

- 외무영사직공무원 - 3등서기관의 지위를 부여받는 외교관

무료자료신청

- 농업연구사 - 농업진흥청 산하 농업과학기술원 또는 시험장에서 근무

무료자료신청

- 임업직공무원 - 조림및 육림,우량 종묘공급 산림자원관한 업무

무료자료신청

- 농업직공무원 - 농산물 유통,식량증산등 농업정책에 부합되는 행정담당

무료자료신청

- 방송통신기술직 - 방송통신위원회,해양수산부등 모든 기관으로 발령

무료자료신청

- 환경직공무원 - 각종 환경오염으로부터 우리 국토를 보전하는 임무

무료자료신청

- 화공직공무원 - 건축물의 재난방지시설의 점검및 수질등 업무

무료자료신청

- 기계직공무원 - 차량등록 및 기계설비의 유지보수에 관한업무

무료자료신청

- 전산직공무원 - 시청,교육청등의 전산실,정보통계과 등에서 근무

무료자료신청

- 재경직공무원 - 국가의 전반적인 경제정책을 조율하는 중요한일 담당

무료자료신청

- 법원사무직공무원 - 재판상 부수적인 사무를 독립하여 수행 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회계직공무원 - 국가회계제도 선진화 3개년 추진계획의 핵심인력!!

무료자료신청

- 관세직공무원 - 국제무역의 실무진이며 글로벌 시대의 인기 직업군

무료자료신청

- 직업상담직공무원 - 일자리 창출 핵심부서인 고용센터에서 직업상담!

무료자료신청

- 9급통계직공무원 - 통계청 국가 통계활동의 전반을 기획,통계등 업무

무료자료신청

- 감사직공무원 - 기관의 사무와 공무원의 직무 감찰, 행정운영 향상 도모

무료자료신청

- 전기직공무원 - 국가에서 관리하는 건물 시설물의 시공과관리,감독업무

무료자료신청

- 사서직공무원 - 공공도서관 사서 / 초,중학교 사서교사로써 높은 대우!!

무료자료신청

- 출입국관리직공무원 -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승인및 허가등의 심사관리

무료자료신청

- 선관위공무원 - 선거,국민투표,정당에 관한 사무를 통합관리하는 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철도경찰직공무원 - 질서유지 및 각종사건을 처리하는 철도경찰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등기사무직공무원 - 각종 등기부 등제, 변경, 삭제, 말소 등의 업무!!

무료자료신청

- 법원행정직공무원 - 법원사무,등기사무,속기등 법원에 관련 된 업무

무료자료신청

- 간호직공무원 - 간호직 공무원으로서 간호관련 공무원직수행

무료자료신청

- 농촌지도사 - 농촌지도사 임용시 7급공무원의 보수와 6급공무원의 대우

무료자료신청

- 9급보호관찰직 - 법무부 보호관찰공무원 1.127명 증원 추진

무료자료신청

- 9급마약수사직 - 마약사건의 접수,처리 및 마약범죄 수사 업무

무료자료신청

- 9급건축직공무원 - 행정안전부 및 교육청! 안전하고 든든한 9급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9급군무원 - 9급 공무원 시험중 출제난이도가 가장 낮은 시험!!

무료자료신청

- 9급토목직공무원 - 토목관련 관리 감독 업무 전문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9급기능직공무원 - 우정 사업본부 각,시도 우체국 대규모 채용예정

무료자료신청

- 9급검찰직공무원 - 검찰수사업무 및 사무업무 - 무료자료신청

무료자료신청

- 9급소방공무원 - 각 시도 별로 2월 ~12월 사이에 각각 별도로 시행

무료자료신청

- 9급세무직공무원 - 세금의 금액을 결정및 관리하는데 관련 업무수행!

무료자료신청

- 9급교정직공무원 - 공무원중 최다증원예정 - 무료자료신청

무료자료신청

- 9급경찰공무원 - 경찰직공무원으로서 일반경찰과 별도인력증원

무료자료신청

- 9급교육행정직 - 교육청이나 국.공립 초.중.고등학교 행정업무!!

무료자료신청

- 9급보건직공무원 - 보건소,보건복지센타,시.구청, 의료원 취업가능

무료자료신청

- 9급일반행정직 - 9급 국가행정직 / 지방행정직 공무원 취업!!

무료자료신청

- 9급기능직공무원 - 기존 10급기능직이 9급기능직으로 승격! 9급공무원

무료자료신청

 
  

 
 
 
 

출처 : 웅천지웰
글쓴이 : 마음이 원글보기
메모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oyous11&logNo=50178460828

 

 

 



'농사를 짓다보면 관리도 힘들고, 소득도 시원치 않다'라는 말이 많은데요. 최근 농업의 6차 산업화 등 우리 농업, 농촌에도 변화의 새바람이 불어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구조 개선과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방안은 무엇일까요? 바로 농가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정책 운용이 가능하도록 농업 경영체 단위에서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한 제도가 바로 '농업경영체 등록' 제도입니다.


농업경영체 등록은 각 농업경영체 마다 인적정보, 농지정보, 농, 축산물 등의 생산품목 등의 정보를 일정 절차에 따라 등록하고, 정부는 이러한 정보를 정책 자료로써 활용하여 농가유형별 차별화된 정책지원을 가능케 합니다.


 


■ 농업 구조개선과 소득 문제 해결을 위한 움직임 : 농업경영체 등록


 


이렇듯 농업경영체 등록 제도는 농가유형별 차별화된 정책지원을 하기 위해 경영체 단위로 실질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이렇게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국가 농림 사업과 직불제도를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책운용이 가능한 것이죠.


하지만 지난 2008년 농업경영체 등록이 시행되고 5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아직 농업경영체 등록에 대해 모르거나, 등록 시 이점에 대해 모르시는 농업인들이 많습니다.


농업경영체 등록제도의 신청대상은 1,000㎡ 이상의 농지를 직접 경작하거나, 연간 농산물 판매액이 120만 원 이상인 경우,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경우의 세 가지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 농가단위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농업경영체 등록을 하게 되면 ▲ 정부의 농림사업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 혜택을 받을 수 있고 ▲ 소득안정직불제 혜택 수혜 ▲ 각종 농림사업 신청 시 정보 등록으로 과정 간소화 등의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 비료 구입 시 부가세 10%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혜택에 제한이 가해지므로 농가로서도 등록을 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과거에는 농가가 작성한 정보를 기준으로 일괄적인 경영체 등록이 이뤄졌지만 2010년을 기점으로 철저한 현장조사 후 경영체 등록이 이뤄지고 있으니, 혹시나 허위로 등록을 꾀해서는 안 될 것 같네요.


추가적으로 중요한 점은 경영체 등록 이후, 농지의 규모나 가축 및 농산물 생산 정보, 인적 정보가 변동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것인데요. 경영체 등록 이후 변동이 되는 사항이 있다면 2주 이내로 '변경신청'을 해야 합니다. 변경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위와 마찬가지로 여러 혜택을 받는 것이 제한 될 수 있다고 하니 특히 주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농업경영체 등록과 변경 신청에 대한 공식 정보 및 신청서 양식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홈페이지(http://www.naqs.go.kr/)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 콜센터(1644-8778)에서도 문의가 가능합니다.


 


■ 농업경영체 등록 & 직불금 이제 편하게 신청하세요


 


이렇듯 농업의 구조개선과 소득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농업경영체 등록제도'를 더욱 많은 농가에서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오는 2014년 부로 경영체 신규 등록 및 변경등록과 직불금 신청서식을 하나로 통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농업인 편의를 제고하고, 직불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농업경영체 신규 · 변경등록과 쌀소득등보전직불금, 밭농업직불금, 조건불리지역 직불금의 신청서식과 집행절차가 일원화 된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출처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이에 따라 직불금을 받고자하는 농업인 및 농업법인은 내년 2월부터 6월 15일까지 농업경영체 등록 및 직불금 통합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는 내년도 신청기간 동안 마을 별로 찾아가 농업인의 신청서 작성을 돕고 접수를 받는 ‘방문접수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방문접수 서비스 대상 마을이 아니거나 직접 제출을 원할 경우 거주지 주소 관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지원 · 사무소나 농지소재지 관할 읍 · 면 · 동사무소에 직접 신청서를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농식품부는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항목을 기존 60개에서 93개로 확대 개편하여 향후 스마트 농정 추진에 필요한 기초통계로 활용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일제갱신도 함께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보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농업경영체에 대한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네요. 농업경영정보는 법령에 의한 농업인의 개인정보 이용 및 제공 등에 대한 동의를 바탕으로 농업경영체의 육성 및 지원 목적으로만 활용되며, 다른 목적으로는 활용되지 않으니 정보의 남용에 대한 걱정은 하지않으셔도 됩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업경영정보와 주요 직불금 집행·관리 절차와 시스템을 통합함으로써 농업인 편의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행정 효율화를 도모하고 직불금 부당수령 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직접 농업, 축산업에 종사하는 분들께는 이러한 정보 수집과 등록이 번거로운 일이 될지 모릅니다. 하지만 농업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개선하고, 체계적인 관리와 파악으로 농업의 구조를 개선하고 맞춤형 지원이 이뤄진다면 장기적으로 정부와 농가 모두에게 큰 이익이 될 것입니다. 이번 일원화 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되어 농가 소득안정과 구조개선에 다시금 불을 붙여주길 기대합니다. 




출처 : 새농이의 농축산식품 이야기
글쓴이 : 새농이 원글보기
메모 :

http://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utupmyboy&logNo=50180719716

'취미상식정보 > 일반상식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야구용어 총 정리  (0) 2013.07.26
전통예절♡일반상식 자료입니다   (0) 2012.03.26
일반 상식자료 백과  (0) 2012.03.26
선거의 4대원칙  (0) 2012.03.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