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가 깨끗하면 건강이 보인다 (건강한 삶)

 

 


21세기 들어 혈액이 건강의 키워드로 새삼 부각되고 있다. 어혈과 혈액건강학 서적의 범람과 생식·채식 바람이 그 증거. 혈액이 온몸의 신진대사를 주관하니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맑고 건강한 피를 가질 수 있을까? 피를 맑게 하는 생활요법.
생명의 원천, 피가 탁해지고 있다. 맑고 건강하게 온몸을 누벼야 할 피가 마치 사고로 꽉 막힌 도로로 변하고 있다. 왜 피가 탁해지는 것일까?


피가 맑아야 건강하다


피는 생명의 원천이다. 피는 우리 몸 속의 구석구석을 누비며 생명을 지탱하는 데 필요한 제반의 일을 담당한다. 우리가 호흡한 산소를 폐에서 각 조직이나 세포에 실어 나르는 것도 , 위나 장 등 소화관에서 영양분을 갖다 적재적소에 배치시키는 일도 혈액의 역할이다. 또 조직과 세포에서 쓰임이 끝난 산소와 영양분 찌꺼기를 배설하는 기관에 다시 보내는 역할도 혈액이 하는 일이다. 당연히 건강한 피가 잘 흘러야 이 모든 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반대로 피가 건강하지 않으면 몸 곳곳에 탈이 생긴다. 마치 강물이 오염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다. 강물이 오염되면 그 강물에 사는 물고기가 정상적으로 생명을 유지하지 못하고 함께 오염된다. 강가의 흙과 나무도 다 병들어 버린다.


우리 몸도 마찬가지다. 건강하지 못한 혈액이 제 역할을 다 충실히 하기란 기대하기 어렵다. 혈액이 탁해지면 강물 속 물고기가 죽어나가듯 혈액을 구성하고 있는 적혈구, 백혈구 등도 손상을 입게 된다.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백혈구가 손상되면 면역기능이 저하된다.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가 손상되면 혈전이 유발된다. 또 산소나 영양소의 공급, 노폐물의 배설 등의 역할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렇다면 어떤 피가 건강한 피일까? 흔히 우리는 건강하지 못한 피를 '탁한 피'라 한다.

각 세포에 전해주고 남은 영양분, 제대로 배설되지 못한 노폐물 등이 피 속에 그대로 있어 탁한 상태가 되고, 이것이 몸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반대로 건강한 피는 '좋은 피', 또는 '맑은 피'가 된다.


맑은 피를 더럽히는 주범, 지방

태어날 때 사람은 누구나 맑고 깨끗한 피를 갖고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맑고 깨끗한 피를 그대로 유지하지 못한다. 피가 탁해지는 가장 큰 원인은 쓸모 없이 넘쳐나는 영양분. 그 중에서도 나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의 지방이 문제다.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칼로리식을 한다. 기름에 볶고 튀긴 음식, 고기류 등은 대표적인 고칼로리음식. 이들 음식을 자주, 많이 먹으면서 쓸데없이 혈액을 활보하는 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만 늘어나게 된다.


당분의 과잉 섭취도 문제다. 당은 우리 몸 속에서 포도당이 되는데, 이 포도당은 유일한 에너지이기 때문에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다. 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면 혈액 중 당 농도(혈당)가 너무 짙어진다. 혈당이 높은 혈액은 마치 손으로 설탕을 만졌을 때처럼 끈적끈적하다.


탁한 피, 방치하면 큰일난다

피가 탁해진 상태에서 혈관마저 낡게 되면 큰 병이 된다. 탁한 혈액은 혈관에 노폐물을 침전시켜 동맥경화 상태로 만든다. 동맥경화가 진행된 혈관은 울퉁불퉁 파손된 도로와 같다. 가뜩이나 탁한 혈액이 울퉁불퉁한 혈관에서 잘 흐르지 못하는 건 당연한 이치다. 울퉁불퉁한 혈관을 흐르는 탁한 피는 그 순환이 원할하지 못해 흐름을 멈추거나 한곳에 뭉쳐 혈전을 만든다. 이런 일이 뇌혈관에서 발생했을 때 생기는 병이 뇌경색이다. 또 노년의 복병 치매도 생길 수 있다. 심장에도 무리가 간다. 흔히 관상동맥경화로 알려진 심근경색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


? 피가 탁해지면서 나타나는 증상


1. 손발이 저리다

2. 항상 피곤하다

3. 머리가 자주 아프다

4. 빈혈은 아닌데, 이상하게 어지럽다

5. 생리통, 생리불순, 기미가 생긴다

6. 몸의 특정한 부위에 고정된 통증이 있다

 

피가 탁해지는 것을 막아주는 생활요법

피는 어느 한순간 탁해지는 것이 아니다. 때문에 최대한 피를 맑게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액을 탁하게 하는 주범은 음식이다. 때문에 음식을 먹을 때 조금만 신경을 쓰면 혈액이 탁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과식을 피한다

과식을 한다는 건 몸 속으로 들어오는 탄수화물이나 지방의 양이 많아진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몸 속에 들어온 탄수화물이나 지방은 혈액으로 유입된다. 평소보다 더 많은, 그리고 몸이 필요로 하는 양보다 더 많은 탄수화물과 지방은 혈액 속을 떠다니며 혈액을 탁하게 한다.


콜레스테롤·지방이 많이 함유된 식품 섭취를 줄인다

혈관에 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많은 것을 흔히 고지혈증이라 부른다.

고지혈증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혈액 속의 지방(기름)이 너무 많다는 의미다. 기름기는 맑아야 할 혈액을 질척이게 한다. 지방이 많아 질척이는 혈액을 방지하는 첫 번째는 콜레스테롤·지방이 함유된 식품 섭취를 줄이는 것이다. 특히 삼겹살, 차돌박이 등 지방을 많이 함유한 고기 부위의 섭취는 반드시 제한해야 한다.


식이섬유 섭취를 늘린다

식이섬유는 장의 지방 흡수를 방해해 바로 배설되도록 도와준다.

때문에 평소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된 식품을 즐겨 먹으면 몸 속으로 흡수되는 지방의 양이 적어 혈액을 맑게 유지할 수 있다. 지방이 많은 식품을 섭취할 때는 식이섬유도 함께 섭취해 몸 속으로 지방이 축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단 음식과 술은 최소한으로

당분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을 먹으면 우리 몸에 들어가 포도당으로 변하게 된다.

과잉 섭취된 포도당은 혈액을 끈적끈적하게 만든다. 그렇다고 단 음식이 모두 나쁜 것은 아니다. 당분은 유일한 뇌 에너지. 때문에 필요한 만큼 적당량만 섭취하도록 한다. 알코올 성분은 우리 몸에 있는 단백질 성분을 지방으로 바꾸는 성질이 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지방은 혈액을 탁하게 하는 주범이다. 그 이유는 혈액 중에 지방이 들어오면 적혈구가 세포막에 붙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적혈구끼리 서로 맞붙게 되면서 적혈구 응집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 결과 피가 탁해지는 것이다.


혈액이 잘 돌고, 노폐물이 잘 배출되면 혈액을 맑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해 알아본다.

                        


● 하루 한 번 반신욕을 하자

평소 하루 한 번 반신욕을 하면 피로를 회복하면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혈액순환이 촉진되면 혈전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어 피를 맑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반신욕을 하는 요령은 명치까지 물에 잠기게 한 후 20분 정도 행하면 된다. 이때 물의 온도는 38~40℃가 적당하다. 반신욕을 하기 힘들다면 족탕을 하는 것도 괜찮다. 족탕도 반식욕과 마찬가지로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준다. 무릎 아래쪽까지 물에 잠기게 한 후 20분 정도 행하면 된다.


● 깊은 잠을 자도록 한다

사람이 잠을 자는 동안에는 백혈구가 왕성한 활동을 하면서 몸 안에 있는 혈전 유발 물질이나 곰팡이 종류 균, 세균들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잠을 푹 잘 자는 것은 피를 맑게 하는 천연의 치료제이다. 잠을 잘 때는 많은 시간을 자는 것보다 깊은 잠을 자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깊은 잠을 잘 수 있는 시간대는 밤 1시에서 3시 사이. 이 시간대에는 반드시 잠을 자는 것이 잠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비결이다.


● 스트레스를 해소하라

흔히 과도한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라고 한다. 혈액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 몸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 호르몬은 혈중의 포도당이나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혈관 내벽에 혈소판을 침착시켜 동맥경화가 일어나기 쉽게 하거나 혈전 형성을 촉진하게 된다. 실제로 검사를 해보면 하루종일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던 이의 혈액은 나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때문에 하루종일 탁하다. 때문에 맑은 혈액을 위해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것도 중요한 문제다. 취미생활을 하거나 운동을 하거나 여행을 떠나는 등 자신만의 스트레스 탈출 대책을 세우도록 한다.


● 가벼운 운동을 늘 하자

운동이 건강을 지키는 데 있어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혈액 정화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이 수축되거나 확장되면서 자연적으로 체온이 올라가게 된다. 체온이 올라가게 되면 지방과 당류를 비롯한 혈액 내의 잉여물과 노폐물의 연소가 촉진되면서 노폐물이 없어지므로 더러워진 피가 깨끗해지게 된다. 따라서 평소 운동을 꾸준히 하면 피가 깨끗해지고 그 결과 각종 병도 생기지 않게 된다. 혈액을 맑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운동은 수영, 달리기, 빨리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 운동이다.


● 걷기를 생활화한다

걷기의 효과는 이루 말할 수 없이 많다. 혈압과 혈당치를 낮추고, 심폐기능을 높인다. 또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도 있다. 운동으로 많이 걸어야 한다고 하면 부담스러울 수 있으니 생활 속에서 자주 걸어준다.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타기 보다 계단으로 다니고, 택시보다는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면 좋다. 이런 생활 걷기가 익숙해지면 조금씩 그 시간이나 거리를 늘려 나가는 것이 좋다.

 

                                               

                         

● 담배는 피우지 않는다

담배는 몸에 나쁘다. 특히 혈액에는 치명적이다. 담배 연기가 내뿜는 일산화탄소는 혈액속의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운반할 수 없게 만든다. 일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는 힘이 산소의 250배나 되기 때문이다. 결국 산소가 결합해야 하는 헤모글로빈에 일산화탄소가 자리를 차지하고, 몸 구석구석으로 운반된다. 각 세포들은 산소 대신 일산화탄소를 공급받고, 그 결과 우리 몸의 신진대사에 문제가 생긴다. 산소 대신 일산화탄소로 가득 찬 혈액이 맑을 리 만무. 깨끗한 혈액을 위해서 담배는 반드시 끊어야 한다.


● 변비를 예방한다

변비는 몸에 여러 가지 이상을 초래한다. 변비가 지속되면 혈압이 오르고, 콜레스테롤의 배출 또한 원활하지 않아 깨끗한 혈액의 적이다. 대부분의 여성들을 고생시키는 변비는 대장의 기능이 쇠퇴해 발생하는 기능성 변비. 이는 섬유질이나 장에 좋은 균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고, 수분 보충과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주면 개선 가능하다. 변비 해소에 좋은 식품으로는 해조류, 대두, 녹황색 채소, 요구르트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혈액을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데도 효과적이다.


피가 탁한 상태라면 하루라도 빨리 피를 맑게 만들어주어야 한다. 이때 음식과 기공요법은 탁한 피를 맑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탁한 피를 맑게 하는 음식과 기공요법에 대해 알아본다.


혈액을 맑게 하는 건강식품

혈액을 탁하게 만드는 음식이지만 혈액을 맑게 하는 데도 특효가 있다. 혈관 속에 정체되어 있는 나쁜 콜레스테롤과 지방을 줄이고, 혈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 혈액을 맑게 하는 데 음식만한 것이 없다. 혈액을 맑게 하는 음식에 대해 알아본다.


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소 중에서 철분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비타민B2. 동맥경화를 촉진하는 원인으로 과산화지질이 있는데, 비타민B2는 과산화지질을 분해하는 작용을 한다. 이로 인해 동맥경화나 세포의 노화가 억제되는 것이다. 더욱이 지질의 대사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으며, 혈액 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데도 도움된다. 또한 혈액 중 불필요한 포도당을 조절함으로써 혈당치를 낮추는 작용도 한다.

 

▶ 이만큼 드세요

쇠고기나 돼지고기의 간이라면 얇게 저민 것 3∼4개만으로 충분하다. 적어도 한 달에 2∼4회 정도는 먹어주는 것이 좋다.


레몬, 귤, 오렌지, 그레이프 프루츠 등 감귤류는 모두 비타민C, 이노시톨 등이 풍부한 건강식품이다. 비타민C는 활성산소의 산화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이노시톨은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촉진하고 간장에 지방이 쌓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을 준다.

 

이만큼 드세요

하루에 주스 한 컵 정도가 적당하다. 과육을 직접 먹는 경우 그레이프 프루츠 반 개 혹은 오렌지 한 개 정도가 적당하다.


땅콩이나 아몬드, 호두 등 견과류에는 황산화 비타민인 비타민E와 β-카로틴이 들어 있어 활성산소에 의해 세포나 혈관에 침착해 있는 콜레스테롤이 산화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동맥경화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나쁜 콜레스테롤을 줄여 깨끗한 혈액과 건강하고 탄력 있는 혈관을 만드는 데도 큰 도움을 준다.

 

이만큼 드세요

지방분이 많기 때문에 한번에 많이 먹는 것은 안 좋다. 땅콩의 경우 20∼30개 정도, 아몬드라면 5∼8개 정도가 적당하다.


에 포함된 항산화 물질 중 세사미놀과 세사민은 강력한 황산화 작용으로 깨끗한 혈액이나 건강한 혈관을 유지하는 데 도움된다. 특히 혈관벽을 두껍게 만드는 원인 물질인 나쁜 콜레스테롤을 줄이는 데 특효가 있다.

 

이만큼 드세요

열량이 높기 때문에 많이 섭취하는 건 금물. 하루에 1큰술 정도 분량이 적당하다.


녹차에 포함되어 있는 카테킨은 항산화 물질의 일종으로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혈전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 또 녹차의 카페인은 지방을 연소시켜 다이어트를 하는 데도 도움된다.

 

이만큼 드세요

카테킨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녹차를 10잔 정도 마시는 것이 좋다고 한다. 이때 진하게 마시는 것은 금물. 녹차에 들어 있는 탄닌 성분을 많이 섭취하면 변비가 생길 위험이 있다.


당근·토마토·호박·시금치·피망 등의 녹황색 채소에는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다. 대표적인 영양 성분은 비타민C, β-카로틴, 비타민E. 이들 성분은 뛰어난 항산화 성분으로 깨끗한 혈액, 탄력 있고 생생한 혈관을 유지하는 데 도움된다. 또 피망, 토마토 등에 포함된 피라진 성분은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때문에 혈전이 원인인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등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이만큼 드세요

깨끗한 혈액을 위해서는 하루 300g 정도의 녹황색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이때 하나의 채소만 편식하기보다는 녹황색 채소를 모두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레시틴, 사포닌, 이소플라본 등 대두에 함유된 성분이 혈액을 깨끗이 하는 데 도움된다. 레시틴·사포닌 등이 혈관에 나쁜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것을 막아준다. 사포닌은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를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이소플라본은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함으로써 혈액 속에 불필요한 중성지방이 혈관에 침착되는 것을 막는다.

 

이만큼 드세요

된장이나 두부, 두유, 콩가루 등 대두를 함유한 음식은 하루 한 번 이상 먹는 것이 좋다. 자주 된장이나 두부 등으로 반찬을 하고, 하루에 한 잔 정도의 두유를 마시도록 한다.


등푸른 생선에 포함되어 있는 EPA와 DHA는 n-3계 지방산으로 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를 줄여준다. 또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여주고, 혈전을 녹이는 작용도 있다. 이들 작용은 혈액을 깨끗이 하고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만큼 드세요

EPA나 DHA는 1∼2g 정도로 충분하다. 한번에 많이 섭취할 필요 없으므로 일주일에 서너 번 정도만 섭취하도록 한다.


딸기, 블루베리, 로즈베리 등의 딸기류에 들어 있는 색소 성분과 비타민C 등의 항산작용으로 혈액을 맑게 해준다. 딸기류 중 특히 혈액에 좋은 것은 블루베리와 블랙거렌트. 이들에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인토시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활성산소의 산화를 방지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이만큼 드세요

과일 속 당분은 중성지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 섭취해야 한다. 딸기의 경우 하루 5∼6개 정도면 적당하다.


마늘 냄새의 근원인 알리신은 혈소판에 작용해 혈액이 뭉쳐 혈전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스콜지닌 성분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에 도움을 준다. 이 밖에 나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어 혈액을 맑게 한다.

 

이만큼 드세요

갑자기 마늘을 많이 먹게 되면 설사를 할 위험이 있다. 때문에 처음부터 너무 무리하는 건 금물. 대신 하루 1∼2쪽이라도 장기간 먹도록 한다.


곶감·풋콩·황마 등 섬유질 식품은 나쁜 콜레스테롤의 배설을 돕고, 지방이 몸 속에 흡수되는 것을 막아 혈액을 맑게 한다.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식품으로는 호밀가루·곶감·풋콩·황마·우엉·오트밀·말린 살구·깨·무말랭이 등이 대표적이다.

 

이만큼 드세요

섬유질의 하루 권장 섭취량은 20∼25g. 이를 하루 세끼 식사로 나누어 섭취하도록 한다.


양파는 탁한 혈액이나 손상된 혈관을 회복시키는 데 효과적인 야채. 양파의 퀘르세틴 성분은 황산화 작용으로 동맥경화를 방지하는 효능이 있다. 또 매운맛을 내는 유화 프로필 성분은 혈액 속의 포도당 대사를 촉진해 혈당치를 낮춰준다.

 

이만큼 드세요

혈액을 맑게 하기 위해서는 하루 50g 정도의 양파를 먹어야 한다. 이는 중간 크기 양파의 4분의 1 정도에 해당한다. 이때 유화 프로필 성분은 가열을 하면 파괴되므로 생것으로 섭취하도록 한다.


오징어, 낙지, 굴, 게, 모시조개, 참치 등의 어패류에 있는 타우린 성분은 나쁜 콜레스테롤과 혈당 수치를 낮춰 혈액 건강에 큰 도움을 준다. 특히 심근 활동을 조절하는 작용이 있어 부정맥이나 심부전 등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다.

 

이만큼 드세요

콜레스테롤 걱정 때문에 섭취를 기피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타우린이 있으므로 걱정할 필요 없다. 1∼2주일에 한 번 정도 반찬을 해먹도록 한다.


올리브유의 불포화지방산은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준다. 또 다른 불포화지방산과 다르게 좋은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는 없다. 비타민E, 폴리페놀 성분의 항산화 작용으로 활성산소의 피해로부터 혈액과 혈관을 건강하게 지켜준다.

 

이만큼 드세요

몸에 좋다고 해도 기름은 기름, 너무 많이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조리용 기름을 올리브유로 대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은행잎 추출액 플라보노이드와 징코라이드 성분은 항산화 작용을 한다. 징코라이드는 은행잎 특유의 성분으로 치매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 테포닌 성분은 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혈소판의 응고를 억제, 혈전이 생기지 않게 한다.

 

이만큼 드세요

하루 120㎖ 정도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 효과를 보기 위해선 적어도 3개월 정도는 먹어야 한다.


청국장 의 나토키나제 성분은 혈전을 녹이는 작용을 한다. 혈전은 혈액 속에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이나 당이 증가하는 것이 원인. 나토키나제는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등 혈관이 혈전으로 막혔을 때 병원에서 사용하는 혈전 용해제와 같은 작용을 한다.

 

이만큼 드세요

매일 50∼100g 정도 먹는 것이 적당하다. 단 병원에서 혈액 관련 약을 먹고 있는 이라면 의사와 상담을 통해 양을 결정해야 한다.


현미·보리혈액을 맑게 해주는 섬유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현미에는 백미의 3∼4배에 달하는 섬유질이 포함되어 있고, 비타민E를 비롯한 셀레늄, 페놀, 스테롤 등의 항산화 성분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또 보리에 있는 비타민B2는 산화를 억제하는 효소작용을 돕고, B1은 당질의 대사에 관여, 혈액을 맑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만큼 드세요

흰쌀밥 대신 현미나 보리를 섞은 잡곡밥을 지어먹도록 한다. 소화에 문제가 없다면 아예 현미밥을 해먹는 것도 좋다.

   뉴에이지 명곡선

출처 : 키위 사랑
글쓴이 : 키위사랑 원글보기
메모 :

돈으로 살 수 없는 삶의 지혜들

 

핸드크림에 설탕 섞으면 효과 최고 !!

정말 간단하게 손의 피부를 지킬수있는 방법 하나, 핸드크림과 함께 설탕을 준비하세요.

핸드크림을 한번 쓸 분량만큼 짜고 거기에 설탕 반 스푼을 뿌려서 섞으세요.

설탕과 크림을 골고루 섞은후 전체에 부드럽게 발라주면되요. 몰라보게 손이 고와진답니다.

 

* 테이프는 냉동실에 잠깐!!

아이가 듣는 동요테이프나 영어테이프는 반복해서 듣다보면 늘어지기 쉬워요.

이럴땐 주방에서 쓰는 비닐봉지에 테이프를 넣고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은 후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꼭 묶어요. 이걸 냉동실에 2시간정도 넣었다 꺼내보세요. 다시 원상태로 돌아온답니다.

 

*코막힘엔 배와 양파즙이 효과 만점!!

코가 막혀 힘들때 모과나 배, 꿀등의 뜨거운 차에 양파즙을 타서 마셔보세요. 효과가 그만이예요.

또 뜨거운 물수건을 코와 이마 사이에 올려놓고 막힌쪽이 위를 향하도록 옆으로 눕혀도 코가

뚫린답니다. 독한약을 먹이거나 주사를 맞히기전 아이에게 해줘보세요. 훨씬 나아질거예요.

 

*야채는 숯과 함께 보관해야 신선함이 오래~~

야채는 냉장고 속에 오래두면 썩게 되요. 이때 숯을 이용하면 효과적이예요.

끓는물에 숯을 데쳐 소독한다음 햇볕에 말렸다가 야채와 함께 통에 담아 보관해보세요.

잘라놓은 야채도 썩지않고 오래가요. 시들해진 야채를 설탕과 식초물에 10~15분관 담갔다 꺼내도 o.k

 

*기미 없애주는 검정깨 화장수

출산후에 생긴 기미에 검정깨 화장수를 만들어 사용해보세요. 청주 작은것 1병을 준비하고

검정깨 1컵 정도를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빼고 병에 반정도 담아 서늘한 곳에 보관해두었다가

20일정도 지난뒤 꺼내요. 세안한뒤에 화장솜에 적셔 기미가 난 부분에 올려두면 효과만점

*달걀과 녹차로 구급 설사약을 만들어 보세요.

갑작스럽게 설사가 나는데 금방 약품 구하기 힘들때 있죠? 이럴때는 진하게 탄 녹차를 마시면

효과를 볼수 있어요. 이때 날달걀을 녹차에 넣어 마시면 효과가 2배! 달걀을 녹차에 넣고 저으면

흰색 가스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설사를 중지시키는 작용을 하는거예요.

 

*낡은 주전자 재활용해 콩나물 키우는 방법

버리기 아까운 낡은 주전자를 이용해 콩나물을 키워보세요. 촌스러운 양은 주전자도 콩나물을

길러 베란다에 놓으면 멋진 인테리어 소품이 되요. 콩을 불려서 주전자에 1/2정도 담으세요.

매일 새물로 갈아주면 신기하게도 콩나물이 자란답니다. 

 

*지성피부, 코팩할때 참숯이 최고!!

지성피부나 코에 블랙헤드가 많은 사람들은 참숯이 효과가 있어요. 얼굴에 스팀타월을 한 후

꿀 한숟가락에 숯가루 1티스푼정도를 섞어 팩을 하고 랩으로 씌어두세요. 20분뒤 미지근한

물로 깨끗이 씻어내면되요. 일주일에 한번정도 숯팩을 하면 피지가 말끔히 제거되요.

 

*주름살에 효과좋은 꿀마늘

알이 굵은 마늘을 골라 껍질을 까서 깨끗하게 씻어두세요. 그리고 마늘에 천연꿀을 골고루

섞은뒤 밀봉해서 저장해두세요. 두달정도 지난후 꺼내보면 마늘에서 물이 나와 맑은 액체가

생겼을 거예요. 그물을 자기전에 크림바르듯이 발라주면 주름살 제거에 효과가 그만이랍니다.

 

*도금악세사리 보관할때는 비닐봉지~

도금 악세사리는 오래 쓰다 보면 벗겨지는 단점이 있어요. 제품을 살때 넣어 보관하면 잘 벗겨

지지않아요. 공기와 접촉이 적을수록 도금이 더 오래가기 때문이죠. 은제품이 변질되었을땐

부드러운 헝겁에 치약을 묻혀 닦은 후 깨끗한 물에 잘 헹구고 드라이어로 말리면 깨끗해져요.

 

*모공 줄이는데는 율피가루 맛사지가 좋아요.

모공이 큰 사람들은 팩을 할 때도 걱정이 많죠. 율피가루와 우유를 같이 맛사지를 하면 모공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예요. 또 가루를 이용해 팩을 하기때문에 모공이 넓어질 이유가 없어 안전하죠.

한방  율피가루는 약재상이나 화장품 가게에서 살 수 있답니다.

 



*튀김하고 남은 기름 다시 쓰려면 양파 이용

튀김하고 남은 기름은 버리기도 아깝고 다시 쓰자니 음식 냄새가 나서 망설인적 있으시죠.

음식 냄새가 밴 기름을 다시 깨끗하게 사용하는 방법이 있어요. 양파를 조그맣게 잘라서

사용했던 기름에 넣어두면 양파가 음식 냄새를 잡아줘요.

 

*피부에 박힌 가시 빼는 법

피부에 가시가 깊이 박혔을때 부추를 짓이겨 3, 4회정도 환부에 갈아 붙여주면 가시가 뾰족이

솟아올라 쉽게 뺄수 있어요. 흔히 바늘등 날카로운 기구를 사용해서 가시를 빼내는 경우가있잖아요.

이때 아픔을 덜느끼게 하려면 얼음조각을 올려놓았다가 신경이 마비된상태에서 빼내는것이 좋아요.

 

*열이 날 때는 무즙을 마셔보세요.

몸에 열이 날때는 주로 시중에 판매되는 약을 복용하는데, 이때 간단한 민간요법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있답니다. 우선 무를 강판에 갈아 즙을 내요. 여기다 더운물을 붓고 소금으로 간을해서

마신후 푹 자고 나면 열이 내리고 몸도 가뿐해지는걸 느낄 수 있을거예요.

 

*잡티 없애주는 다시마 냉팩

잡티로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다시마가 최고랍니다.

세안한 얼굴에 다시마가루를 고루 펴 바른후 가제를 덮고 다시 한번 덧발라 팩을 해보세요.

40분정도 지나 꾸덕꾸덕 마를 때 가제를 떼어내고 온타월, 냉타월로 번갈아가며 닦아내면

되요. 섬유질이 풍부한 다시마가 피부점막을 자극하고 피부 분비를 억제해 잡티를 없애줘요.

 

*모기에 물렸을때 효과만점! 녹차 모기약

녹차를 이용해 모기약을 만들어 발라보세요. 가려움도 금세 가시고, 부기도 잘 가라앉아

효과가 그만이랍니다. 따뜻한 녹차를 모기물린 곳에 발라주거나 녹차 티백을 올려놓으세요.

녹차가루나 녹찻잎을 물에 적셔 올려놓아도 좋아요.

 

*아이 땀띠에는 오이즙이 효과적

피부가 연약한 아기들은 여름에 특히 땀띠가많이 나서 고생이예요. 아기 땀띠를 연한 소금물로

닦아주면 좋다는건 엄마들이 다 아는방법이죠. 오이를 이용해도 효과가 만점이랍니다.

오이를 갈아 즙을 내서 땀띠 난 부분에 살살 펴 발라주세요.땀띠가 들어가는 효과가 정말 빨라요.

 

*변비와 다이어트에 효과 만점! 다시마 옥수수물

다시마와 적당량의 옥수수알을 핸드블랜더에 넣고 곱게 간뒤 물에 넣고 끓이세요. 물이 다

끓었으면 체에 밭쳐 찌꺼기는 걸러내고 물만 따라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수시로 마시면 되요.

다시물만 끓인 것보다 맛도 훨씬 고소하고, 변비와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좋아요.

 

*머리를 헹굴때 맥주를 넣으면 비듬 걱정 끝!

머리를 감고 난 뒤 마시다 남은 맥주나 청주를 물에 타서 헹구면 머릿결이 훨씬 부드러워지고

비듬을 없애는데도 도움이 되요. 뿐만 아니라 식기나 유리를 닦을때 사용해도 아주 잘 닦여요.

 

*와이셔츠 깃이 찌든 때는 샴푸가 최고!

와이셔츠 깃과 소매 부분에 낀 때가 잘 안벗겨질 때는 샴푸를 이용해보세요. 따뜻한 물에

때를 불렸다가 샴푸를 적당히 짜서 살살 비벼빨면 쉽게 빠져요.

출처 : 키위 사랑
글쓴이 : 키위사랑 원글보기
메모 :

 

출처 http://haco.tistory.com/5398#recentTrackback

출처 : 키위 사랑
글쓴이 : 키위사랑 원글보기
메모 :



바쁜 시간을 쪼개어 운동을 하고 있는데, 몸매에도 스테미너에도 별 변화가 없다면? 

어쩌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결정적인 실수를 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준비운동을 걸러 금세 몸이 지치게 만든다거나, 적당한 자세를 취하지 않아 운동 효과를 떨어뜨리는 경우 등이다. 

별 것 아니라 여기기 쉬운 부분들이 예상외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운동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가장 주요한 실수 세 가지를 지적해본다.


1. 늘 똑같은 루틴의 운동

매일 같은 운동을 같은 강도로만 진행한다면, 당신의 근육은 이에 익숙해져서 특별히 '운동'이라고 여기지 않게 된다. 소모 칼로리도 줄어들고 근육에 가해지는 자극은 감소된다. 특히 근력 운동의 경우에는 다양한 방향, 부위를 움직이도록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 늘 같은 운동기구만 고집하지 말 것. 여러 가지 운동을 번갈아 실시하면 지루함도 줄이고 근육도 강화시킬 수 있다.

2. 동작의 속도에 주의할 것


헬스장에서 지나치게 빨리 움직이는 사람들이 있다. 강도 높은 운동을 하기 위해서겠지만, 효과는 다소 의심스럽다. 제대로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적당히 시간을 들여 동작을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덤벨을 한 번 들 때 최소 6초를 소모하는 것이 적당하다. 2초간 덤벨을 들어올리고, 4초간 내리는 식으로 리듬을 정하자. 천천히 동작을 취하며 근육의 움직임에 집중하는 것이 칼로리 소모에도 도움을 준다.

3. 운동 부족만큼 위험한 운동 중독

무조건 운동을 많이 한다고 몸이 강화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적당한 휴식으로 몸을 쉬게 하지 않으면, 부상 등으로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지름길이 되기도 한다. 고강도의 운동을 하면, 그만큼 더 오랜 휴식이 주어져야 한다. 열심히 운동을 한 다음날은 아예 쉬거나 가벼운 운동만 할 것을 추천한다. 같은 근력 운동은 이틀 연속 하지 않는 편이 낫다.


출처: 3 reasons your workouts aren't working
http://shine.yahoo.com/channel/health/3-reasons-your-workouts-arent-working-376716/

출처 : 키위 사랑
글쓴이 : 키위사랑 원글보기
메모 :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올해따라 집안에는 화분의 흙에서 일시에 부화했는지 예전에 보이지 않던

조그만 날벌래들이 기승을 부립니다. 눈앞에 아른거리다 사라지고 화초 사이를 날아다니는 날벌래를 살충제를 뿌려잡을까 하는

 고민도 했지만 화초에 해로워 손으로 잡으려고 시도하다 화분만 엎지르고 나서 포기하고서

이어 생각해낸것이 청소기를 이용해 흡입해 잡는 방법인데 이것도 한두마리 잡을때는 효과가 있는데

많은 날벌래를 잡기는 적합해 보이지 않습니다. 진동과 바람 때문인지 날파리들이 화분속으로 숨어 나오질 않습니다.

 

포기하고 며칠이 지난 후 눈에 자주띄던 날벌래들이 보이지 않기에 창밖으로 날아갔나보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휴일 날 그 원인을 알게되었습니다. 

몇년전부터 관상용으로 기르고 있던 끈끈이 주걱에 날벌래들을  달라붙어 있었습니다.

날벌래가 붙은 잎은 지저분하여 많이 잘라내고 찍은 사진이지만  

 날벌래들을 잡아먹은 끈끈이 주걱이 영양보충을 해서인지 싱싱하게 잘자라는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효과 만점입니다.

    

  

이름이 '알바'인 끈끈이 주걱 잎 주위의 돋아나있는 솜털같은 곳에서 끈끈한 액이 맺혀 이슬같이 아름답게 보입니다.

 

 

 

 

 

잎에 날벌래가 유인되어 죽은 모습..너무 많이 달라붙어 지저분해서 잘라내었는데 

자르기전에 사진을 찍어두지 못해 아쉽습니다. 

 

 

 

 끈끈이형은 잎끝이나 엽면에 점성이 강한 끈끈이액이 선세포에 의해 분비되어 선모 끝에 투명하고 둥근 물 방울의 형태로 맺혀 있으며 빛에 의해

반짝여 곤충을 유인하여 달라붙게 하는 방식의 덫기작을 하는 수동형을 말한다. 잡은 곤충을 선모와 잎줄기로 감싸는 굴곡운동을 하는 끈끈이주걱속이 이에 해당하며, 잎의 표면에 많은 선세포가 있어 잎의 위쪽 표면을 끈끈이액으로 덮고 있으며 포충시 잎의 가장자리가 살짝 말려오르는 벌레잡이꽃속이 이에 해당되고, 이밖에 비블리스, 드로소필룸, 트리피오필룸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선모나 잎의 움직임은 거의 없으나 벌레는 끈끈이액에 뒤범벅이 되어 포충된다. 끈끈이형은 일반적으로 선세포에 의해 끈끈이액을 분비하여 선모끝에 모으고 이를 이용하여 벌레를 유인하거나 달라붙게 하고 포충시 먹이의 움직임에 따라 더 많은 끈끈이액이 분비되어 먹이는 보통 그들의 복부에 있는 호흡구멍이 끈끈이액에 막혀 질식하게 된다. 그리고 소화액을 분비하는 선세포에 의해 분해산물을 흡수한다.                                                                                                                                       출처-다음 신지식.

   

 

 

한쪽 화분에는 한그루만 심었었고 또다른 화분에는 여러포기를 심었었는데

한포기만 심은곳이 확실히 크기 차이가 나는군요.

 

 

 

 날벌래들을 유인해 영양보충?을 하고있는 식충식물..

 

 

옆에 새촉들이 싹을 틔우고 있어 조금 더 크면 분가를 시켜줘야 겠습니다.

 

 

 

 올해는 꽃대를 3개나 올린 모라넨시스의 아름다운 모습...끈끈이 주걱 만큼은 못하지만 날벌레를 잡는답니다.

 

 

 

 

잎에서 새순을 틔워 번식을 하고있는 모라넨시스(좌)와 에세리아나(우)  

 

 

 

죽은 줄 알고 있었는데 날씨가 따뜻해지자 천방지축으로 싹을 틔우며 올라가는 비나타 의 모습

 

 

겨울내내 지칠줄 모르게 꽃을 피웠던 센더소니 

오래된 싹들이 누렇게 변해버린 자리에 새로 올라오는 파릇한 잎들이 싱그럽죠?

작년 가을에 넓은 화분으로 옮겼는데 이것도 작아 또 옮겨심어야할것 같습니다.

관상용으로도 손색없고 날벌래도 잡아주니 집에 몇포기 정도 키워보는것도 괜찮을것 같지않나요.

 

   

 

 

 

출처 : 거꾸로 보는 세상
글쓴이 : hyun 원글보기
메모 :

 정부 공공기관 사이트모음

 

감사원 www.bai.go.kr/ 건설교통부 www.moct.go.kr
검찰청 www.sppo.go.kr 경찰청 www.police.go.kr
공정거래위원회 www.ftc.go.kr 과학기술부 www.most.go.kr
관세청 www.customs.go.kr 교육인적자원부 www.moe.go.kr
국가보훈처 www.pvaa.go.kr 국가정보원 www.nis.go.kr
국무총리실 www.opm.go.kr 국민경제자문위원회 www.neac.go.kr
국민고충처리위원회 www.ombudsman.go.kr 국방부 www.mnd.go.kr
국세청 www.nta.go.kr 국정홍보처 www.allim.go.kr
금융감독위원회 www.fsc.go.kr 기상청 www.kma.go.kr
기획예산처 www.mpb.go.kr 노동부 www.molab.go.kr
농림부 www.maf.go.kr 농촌진흥청 www.rda.go.kr
대통령경호실 www.pss.go.kr 문화관광부 www.mct.go.kr
문화재청 www.ocp.go.kr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www.acdpu.go.kr
법무부 www.moj.go.kr 법제처 www.moleg.go.kr
병무청 www.mma.go.kr 보건복지부 www.mohw.go.kr
비상기획위원회 www.epc.go.kr 산림청 www.foa.go.kr
산업자원부 www.mocie.go.kr 식품의약품안전청 www.kfda.go.kr
여성부 www.moge.go.kr 외교통상부 www.mofat.go.kr
재정경제부 www.mofe.go.kr 정보통신부 www.mic.go.kr
조달청 www.sarok.go.kr 중소기업청 www.smba.go.kr
중소기업특별위원회 www.pcsme.go.kr 중앙인사위원회 www.csc.go.kr
철도청 www.korail.go.kr 청보년보호위 www.youth.go.kr
청와대 www.cwd.go.kr 통계청 www.nso.go.kr
통일부 www.unikorea.go.kr 특허청 www.kipo.go.kr
해양경찰청 www.nmpa.go.kr 해양수산부 www.momaf.go.kr
행정자치부 www.mogaha.go.kr 환경부 www.me.go.kr

+ 산하기관
한국산업단지공단 www.kicox.or.kr/ 한국종합화학공업(주) www.kgchem.co.kr/
한국산업기술평가원 www.itep.re.kr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www.kotra.or.kr
한국수출보험공사 www.keic.or.kr 한국전력공사 www.kepco.co.kr
대한광업진흥공사 www.kores.or.kr 한국석유공사 www.knoc.co.kr
대한석탄공사 www.kocoal.or.kr 한전산업개발(주) www.kepid.co.kr
한전KDN(주) www.kdn.com 한전기공(주) www.kps.co.kr
한국종합화학공업(주) www.kgchem.co.kr 한국지역난방공사 www.kdhc.co.kr
(주)파워콤 www.powercomm.com 한국전력기술(주) www.kopec.co.kr
한전원자력연료(주) www.knfc.co.kr 대한송유관공사 www.dopco.co.kr
한국가스공사 www.kogas.or.kr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www.cipb.or.kr
에너지관리공단 www.kemco.or.kr 한국가스안전공사 www.kgs.or.kr
한국전기안전공사 www.kesco.or.kr 한국석유품질검사소 kpqi.or.kr
+ 단체 . 협회
한국전자거래협회 www.kcals.or.kr/ 한국빌딩경영협회 www.kbma.or.kr
한국전자상거래학회 www.koreaec.org 한국전자거래진흥원 www.keb.or.kr
유통물류정보 www1.kcci.or.kr/logistics 유통정보센터 www.eankorea.or.kr
서울시 상권정보 www.bizinfo4u.or.kr 한국기술거래소 www.kttc.or.kr/index.asp
한국공학한림원 naek.or.kr 부산경남자동차테크노센터 pkatec.pusan.ac.kr
부품산업테크노센터 tech.chosun.ac.kr 한국대학생벤쳐창업연구회 www.kvc.or.kr
송도테크노파크 www.step.or.kr 경북테크노파크 www.ktp.or.kr
충남테크노파크 www.ctp.or.kr 안산테크노파크 www.antp.org
대구테크노파크 www.angelclub.or.kr 광주.전남테크노파크 www.kctp.or.kr
한국산업기술학회 www.kiit.or.kr 한국귀금속보석디자인협회 www.kjda.com
한국생산성본부 www.kpc.or.kr 한국표준협회 www.ksa.or.kr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www.kesi.or.kr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www.designdb.com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www.vidak.or.kr 대한인간공학회 esk.or.kr
한국품질관리기사협회 kqa.co.kr 한국품질재단한국품질인증센터 www.ksaqa.or.kr
한국전기용품안전협회 www.esak.or.kr 한국포장협회 www.kopa.or.kr
한국품질환경인정협회 kab.or.kr 한국색채학회 ailab.korea.ac.kr
한국기계산업진흥회 www.koami.or.kr 기계공제조합 www.mic.or.kr
한국공작기계공업협회 www.komma.org 한국가스석유기기협회 www.koreagas.or.kr
한국건설기계공업협회 www.kocema.org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www.kesi.or.kr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www.aerospace.or.kr 한국자동차공업협회 www.kama.or.kr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 www.kaica.or.kr 한국수입자동차협회 www.kaida.co.kr
한국조선공업협회 www.koshipa.or.kr 한국철강협회 www.kosa.or.kr
한국비철금속협회 www.nonferrous.or.kr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www.kpia.or.kr
한국냉동공조공업협회 www.ref.or.kr 한국공작기계학회 society.kordic.re.kr
유체기계공업학회 www.kfma.or.kr 한국소성가공학회 www.kstp.or.kr
민군겸용기술센터 www.dutc.re.kr 한국섬유산업연합회 www.kofoti.or.kr
한국전자산업진흥회 www.eiak.org 한국화섬협회 www.kcfa.or.kr
한국멀티미디어협회 www.multimedia.or.kr 한국시뮬레이션학회 society.kordic.re.kr/
~simul/subindex.htm
한국의류산업협회 www.kaia.or.kr 한국정밀화학공업진흥회 www.kscia.or.kr
한국전기공업진흥회 www.koema.or.kr 한국광산업진흥회 www.kapid.org
한국계측기기연구조합 www.kmira.or.kr 한국반도체산업협회 ksia.or.kr
한국디스프레이연구조합 www.edirak.or.kr 전자부품·재료설계인력교육센터 www.emdec.com
대한방직협회 www.swak.org 한국제지공업연합회 www.paper.or.kr
한국프로피버스협회 www.profibus.co.kr 한국무역협회 www.kita.or.kr
대한상사중재원 www.kcab.or.kr/ 한국무역대리점협회 www.aftak.or.kr
한국무역학회 www.ktra.org/ 한국외국기업협회 www.forca.org/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 www.textra.or.kr 한국무역연수원 wta.kita.or.kr/
한국통상정보학회 www.cybertrade.or.kr 한국산업기술협력재단 www.kjc.or.kr
한국화교경제인협회 www.kcba.net 국제산업협력재단 www.fiick.or.kr/
한국자원공학회 www.kime.org 대한석유협회 www.petroleum.or.kr
한국난방시공협회 www.oil-gas-boiler.co.kr 한국가스기술공업(주) www.gastech.co.kr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www.seg.or.kr 한국가스석유기기협회 www.koreagas.or.kr
한국LP가스공업협회 www.lpgas.or.kr 한국가스기술사회 www.kgp.or.kr
기초전력공학공동연구소 eesri.snu.ac.kr 대한전기협회 www.electricity.or.kr
한국전기공사협회 www.keca.or.kr 전기공사공제조합 ecfccenter.co.kr
한국원자력문화재단 www.okaea.or.kr 한국에너지협의회 www.koef.or.kr
한국석재공업협동조합 www.kostone.or.kr 한국가스학회 www.kigas.or.kr
+ 연구기관
산업기술시험원 www.ktl.re.kr 산학경영기술연구원 www.uri.or.kr
전자파장해공동연구소 eri.re.kr 한국색채연구소 www.kcri.or.kr
한국포장개발연구원 www.kpd.re.kr 자동차부품연구원 www.katech.re.kr
한국중소조선기술연구원 www.rims.re.kr 한국섬유기술연구소 www.kotiti.re.kr
한국정보기술연구원 www.kitri.re.kr 한국섬유개발연구원 www.textile.or.kr
한국조명기술연구소 www.kilt.re.kr 염색기술연구소 www.dyetec.or.kr
국제패션디자인연구원 www.kookjefashion.com 한국신발.피혁연구소 www.kiflt.re.kr
전자부품연구원 www.keti.re.kr 한국전기연구원 www.keri.re.kr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ww.kitech.re.kr 국제무역경영연구원 www.itbi.org/
한국자원연구소 www.kigam.re.kr 한국과학재단 www.kosef.re.kr
에너지경제연구원 www.keei.re.kr 한국석유품질검사소 kpqi.or.kr
한국화학연구소 www.krict.re.kr 한국원자력연구소 www.kaeri.re.kr
한국전기연구소 rose.keri.re.kr/index.htm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www.kier.re.kr
+ 유관기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www.kisdi.re.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ww.etri.re.kr
한국전산원 www.nca.or.kr 대한상공회의소 www1.kcci.or.kr
소비자보호원 www.cpb.or.kr 종합물류정보전산망 www.cvo.or.kr
민군겸용기술센터 www.dutc.re.kr 종합무역정보서비스(KOTIS) www.kotis.net
외국인투자지원센터(KISC) www.kisc.org 외국인투자 옴부즈만사무소 www.oio.or.kr
종합기업서비스정보망 www.innonet.net/ 산업정보망 iin.co.kr/
통신기술협회 http://www.tta.or.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 http://www.kisdi.re.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ITFIND http://itfind.or.kr
정보통신연구진흥원 http://www.iita.re.kr/ 한국정보보호센터 http://www.kisa.or.kr/
한국전파진흥협회 http://www.rapa.or.kr/ 한국정보통신 진흥협회 http://www.kait.or.kr/
한국전산원 http://www.nca.or.kr/ 한국S/W지원센터 http://www.software.or.kr/
한국데이터베이스 진흥센터 http://www.dpc.or.kr/ 한국정보문화센터 http://www.icc.or.kr/
한국정보산업연합회 http://www.fkii.or.kr/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http://www.sw.or.kr/
한국통신산업협회 http://www.tiak.or.kr/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 http://www.koraa.or.kr/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http://www.ktoa.or.kr/ 소프트웨어공제조합 http://www.ksfc.or.kr/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http://www.icu.ac.kr/    
+ 외청
기상청 http://www.kma.go.kr/    
+ 소속기관
국립중앙과학관 http://www.science.go.kr/ 서울과학관 http://www.science.go.kr/
seoul/html
+ 출연기관
한국과학기술원 http://www.kaist.ac.kr/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http://www.kins.re.kr/
한국원자력연구소 http://www.kaeri.re.kr/ 한국과학재단 http://www.kosef.re.kr/
광주과학기술원 http://www.kjist.ac.kr/ 한국과학기술평가원 http://www.kistep.re.kr/
+ 관련단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http://www.kofst.or.kr/ 한국과학문화재단 http://www.ksf.or.kr/
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 http://www.tasto.or.kr/ 한국과학기술한림원 http://www.kast.or.kr/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http://kita.technet.or.kr/ 한국기술사회 http://www.kpea.or.kr/
한국엔지니어링진흥협회 http://www.kesa.or.kr/    
+ 유관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ttp://www.kist.re.kr/ 한국표준과학연구원 http://www.kriss.re.kr/
한국기계연구원 http://www.kimm.re.kr/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ttp://www.kier.re.k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www.kigam.re.kr/ 한국전기연구원 http://www.keri.re.kr/
한국화학연구원 http://www.krict.re.kr/ 한국항공우주연구원 http://www.kari.re.kr/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ttp://www.kribb.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http://www.kisti.re.kr/
과학기술정책연구원 http://www.stepi.re.kr/ 한국천문연구원 http://hanul.issa.re.kr/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http://comp.kbsi.re.kr/ 엔지니어링공제조합 http://www.efc.co.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한국인삼연초연구원 http://www.kgtri.re.kr/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http://www.pacst.go.kr/ 한국해양연구원 http://www.kordi.re.kr/
+ 연합이사회
인문사회연구회 http://www.kchsri.re.kr/ 경제사회연구회 http://www.kcesri.re.kr/
기초기술연구회 http://www.krcf.re.kr/ 공공기술연구회 http://www.korp.re.kr/
산업기술연구회 http://www.koci.re.kr/  

 

+ 경제사회연구원 --▷http://www.kcesri.re.kr/
한국개발연구원 http://www.kdi.re.kr/ 한국조세연구원 http://www.kipf.re.kr/
대외경제정책연구원 http://www.kiep.go.kr/ 산업연구원 http://www.kiet.re.kr/
에너지경제연구원 http://www.keei.re.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 http://www.kisdi.re.k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www.kihasa.re.kr/ 한국노동연구원 http://www.kli.re.kr/
한국해양수산개발원 http://www.kmi.re.kr/ 교통개발연구원 http://www.koti.re.k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krei.re.kr/
국토연구원 http://www.krihs.re.kr/ 과학기술정책연구원 http://www.stepi.re.kr/
+ 인문사회연구회 --▷http://www.kchsri.re.kr/
통일연구원 http://www.kinu.or.kr/ 한국형사정책연구원 http://www.kic.re.kr/
한국행정연구원 http://www.kipa.re.kr/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www.kice.re.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http://www.krivet.re.kr/ 한국법제연구원 http://www.klri.re.kr/
한국여성개발원 http://www.kwdi.re.kr/ 한국청소년개발원 http://www.youthnet.re.kr/
한국교육개발원 http://www.kedi.re.kr/    
+ 기초기술연구회 --▷http://www.krcf.re.kr/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ttp://www.kist.re.kr/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http://www.kbsi.re.kr/
한국천문연구원 http://www.kao.re.kr/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ttp://www.kribb.re.kr/
+ 산업기술연구회 --▷http://www.koci.re.kr/
한국한의학연구원 http://www.kiom.re.kr/ 한국생산기술연구원 http://www.kitech.re.kr/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한국식품개발연구원 http://www.kfri.re.kr/
한국기계연구원 http://www.kimm.re.kr/ 한국전기연구원 http://www.keri.re.kr/
한국화학연구원 http://www.krict.re.kr/    
+ 공공기술연구회 --▷http://www.korp.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http://www.kisti.re.kr/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ttp://www.kict.re.kr/
한국철도기술연구원 http://www.krri.re.kr/ 한국표준과학연구원 http://www.kriss.re.kr/
한국해양연구원 http://www.kordi.re.k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www.kigam.re.kr/
한국항공우주연구원 http://www.kari.re.kr/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ttp://www.kier.re.kr/
삼성경제연구소 seriecon.seri.org 한국개발연구원 www.kdi.re.kr
대외경제정책연구원 www.kiep.go.kr 산업연구원청 www.kiet.re.kr
LG경제연구원 www.lgeri.com 과학기술정책연구원 www.stepi.re.kr
국가경영전략연구원 www.nsi.or.kr 대신경제연구소 www.deri.co.kr
대우경제연구소 www.dweri.re.kr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dasan.snu.ac.kr/~ecores
신한종합연구소 www.sri.re.kr 포스코경영연구소 www.posri.re.kr
하나경제연구소회 www.hanari.re.kr 한국경제연구원 wwww.keri.org
경제사회정책e-아카데미 www.kespa.or.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www.kisti.re.kr
한국교육개발원 www.kedi.re.kr 한국금융연구원 www.kif.re.kr
한국조세연구원 www.kipf.re.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www.krivet.re.kr
한국행정연구원 www.kipa.re.kr 현대경제연구원 www.hri.re.kr

 

산업동향 DB (기업금융연구원) db.iin.co.kr
산업환경을 조사하고자 하는 창업예정자, 학생, 기업체, 연구기관, 공공기관 등 많은 분들을 위해 국내품목별 생산통계, 무역통계 및 산업동향 등 제공
산업정보검색어사전 DB ((주)지노스정보) magic.iin.co.kr/ad6.asp
전자, 전기, 기계, 섬유, 철강분야 등의 비슷한말, 참고한 말 등 검색 기능 제공
산업지식인프라 DB kdniin3.iin.co.kr:8091/iinip13
국내외 산업지식 DB, 산업정보원 DB, Q&A 정보원 DB 등 제공
영문 기업정보서비스((주)중앙인터빌 ) eng.interbill.co.kr
국내기업의 일반현황정보, 재무정보, 주가 및 평가정보, 감사보고서를 영문으로 제공
가전/정보통신산업 DB(한국전자산업진흥회) kdniin3.iin.co.kr:8091
전자정책, 전자일반, 가정용기기, 산업용기기, 전자부품 등의 정보 제공
전자산업정보망(한국전자산업진흥회) www.eiak.org
자산업동향, 통계정보, 통상정보, 자금지원정보 등 전자산업 종합정보 제공
센서관련 DB((주)CS산업정보) sensorbank.iin.co.kr
센서제품정보, 기술동향 및 뉴스정보, 이론 및 원리, 산업별 적용사례, 신제품 신기술, 산업별 적용센서 정보 등 제공
전기분야 전문기술인력정보 DB
(한국전기연구소)
www.iin.co.kr/iinip3/main.html
전기분야 전문기술 인력에 대한 정보 제공
전기정보 DB(한국전기공업 협동조합) www.kemc.co.kr:9000/new_db
제조업체 일반현황, 수요기관 현황, 제조업체 통계, 전기정보지 등 제공
중전기기 산업정보 DB(한국전기연구소) www.iin.co.kr/iinip3
전기분야 핵심 기술정보, 중전기기 분야 기술개발과제 정보, 중전기기 관련 무역정보 등 제공
중전기기 통계정보 DB(한국전기공업진흥회) www.sslab.net/~electro/ index.html
중전기기관련 산업통계, 수급통계, 공업규격통계, 성능평가통계, 특허 및 기술도입관련 통계, 연구개발사업 통계 등 제공
산업자동화 제어기술 및 제품 정보 DB
(한국자동화표준시스템연구조합)
kasas.or.kr/autodb/index.htm
자동화제어기술 기본정보, 응용기술정보, 적용사례, 제품 및 업체정보, 관련업계 동향 정보 제공
시험검사·인증 등 적합성 평가활동 정보 DB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dniin3.iin.co.kr/iinip16
국내 교정, 시험, 검사, 인증 등 적합성 평가기관 정보를 평가분야, 평가대상 품목 및 평가제도의 강제성에 따라 분류 제공
제어시스템 기술지원정보 DB profibus.iin.co.kr
제어분야, 제어기술원리, 기술용어, 네트웍장비 설치메뉴얼 / 안내서, 전문기술 영어단문 및 서식, 다양한 기능 Tool 정보 등 제공
신소재산업 DB(한국생산 기술 연구원) kdniin3.iin.co.kr/iinip20
정밀요업(파인세라믹스) 및 고분자재료 분야의 생산제품정보, 전문기술인력 정보, 기술 및 해외동향 정보로 구성
자동차부품정보서비스(자동차부품연구원) www.katech.re.kr
자동차부품기술 정보, 자동차 부품산업 정보 등 제공
전자부품/재료정보 DB
(한국전자 산업 진흥회)
magic.iin.co.kr/elec_ material/html/
default1.asp
전자관련 부품의 생산업체 현황, 업체별 생산부품, 부품별 생산업체 등의 정보 제공
제조업별 원·부자재 DB
(한국데이터베이스 산업 협동조합)
kdniin3.iin.co.kr/iinip19/ qigen.cgi
국내 생산품의 카탈로그, 제조업체 정보, 국산 원부자재 정보 등 제공
전자상거래 종합 DB(한국전자거래표준원) 210.219.56.5/ediec
EC 기술정보, EC 관련 제품 정보, EDI 표준정보, 정책·연구자료, 해외 정보 등 제공
전자거래 상품 분류기준 기초 DB
(한국전자 거래 진흥원)
168.126.28.30/ediec/new/index.asp
사이버몰 현황, EC 산업군별 기업정보 등 제공
사이버수출보험(수출보험공사) cyber.keic.or.kr:8000
신용조사의뢰, 한도신청, 수출통지, 결제통지, 조회 서비스 등 제공
수입정보마당(산업자원부) www.import!!!!!!!.go.kr
산업자원부에서 생산되는 수입관련 각종 통계자료, 정부의 수입정책, 관련제도, 50여개 개별법상에 흩어져 있는 수출입요건 및 절차 종합, 수입업체 정보, 수입원자재 가격 및 수급 정보, 세계시장 동향, 기타 환율, 금리, 증권 등의 일일 경제정보 등 제공
수출입실무가이드 DB(한국무역협회) 203.233.200.157:8080/ trade/Adm
복잡한 수출입 절차를 알기 쉽게 도해하고, 수출입 절차에 따른 실무요령, 법규, Contact Point, 각종 무역관련 서식 기제요령 등을 상호연결하여 제공
수출입지원 및 해외거래알선정보 DB
(한국무역협회)
www.iin.co.kr/main/trade/ ex-import!!!!!!!/
a.html
무역협회, EU, GTPNET, WTC, 외국대사관 거래알선 정보 및 해외전시회 정보, 수출입금융 / 조세지원, 주요국의 수입통관 등의 정보 제공
해외시장정보 DB(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www.kotra.or.kr
해외상품시장정보, 수출마케팅정보, 해외상품속보 등 제공
해외한인업소·기업단체 정보 DB
(해외한인무역협회)
www.iin.co.kr/iinip5/korean/ kr_main.htm
국내인이 외국을 여행하거나 외국과 거래할 때 필요한 은행, 호텔, 변호사 등 한인 업소 등의 정보제공
해외 Cyber Marketting 정보 DB
(한국무역협회)
www.ec21.net/city/oversea
한국 수출상품 인터넷 전시관을 구축하고 품목별 해외 Buyer 정보, 해외시장 개척 Contact Point 정보 등 제공
한국산업기술평가원 www.itep.re.kr
중요기술(로봇, 무선통신기기,단백질제품,광섬유,전지,디지털가전)분야에 대한 시장동향, 발전추세, 기술수준, 개발스케줄 등이 작성된 기술로드맵을 제공함.
한국전자산업진흥회 www.eiak.org
국내외 전자정보 산업동향, 유망 전자기기 부품현황 등 다양한 정보제공
가전/정보통신 산업 DB kdniin3.iin.co.kr:8091
전자정책, 전자일반, 가정용기기, 산업용기기, 전자부품 등의 정보 제공
센서관련DB sensorbank.iin.co.kr
센서제품정보, 기술동향 및 뉴스정보, 이론 및 원리, 신제품 신기술 정보 제공
한국멀티미디어협회 www.multimedia.or.kr
멀티미디어 기술세미나 발표자료 제공
한국광산업협회 www.kapid.org
광 관련 최신뉴스, 시장동향, 관련 기술 제공
한국반도체산업협회 ksia.or.kr
풍부한 반도체 산업동향, 최신 기술동향 제공
한국디스플레이연구조합 www.edirak.or.kr
디스플레이 산업동향, 최신 뉴스, 기술자료, 정책자료 등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 제공
한국프로피스협회 www.profibus.co.kr
프로피버스(profibus, IEC61158, 산업용 통신프로토콜의 하나)에 대한 자세한 소개
제어시스템 기술지원정보 DB profibus.iin.co.kr
제어분야, 제어기술원리, 기술용어 등 정보 제공
한국전기공업진흥회 www.keoma.or.kr
전기산업(회전기기, 정지기기, 전선 및 기타 전기기기와 관련된 부품 및 소재에 관한 기술정보 제공
대한전기협회 www.electricity.or.kr
전기업계 국내외 동향 및 '전기저널'에 대한 정보 검색 기능 제공
한국전기연구원 www.keri.re.kr
전기공업과 전력산업에 관련되는 과학기술등의 정보 제공
중전기기 산업정보 DB www.iin.co.kr/iinip3)
전기분야 핵심기술정보, 중전기기 분야 기술개발 과제 정보 등 제공
한국조명기술연구소 www.kilt.re.kr
조명 관련 특허 및 조명기술 DB 제공
기초전력공학공동연구소 eesri.snu.ac.kr
일본전기학회 연구회 보고자료 및 기술보고 자료 검색 기능, 전력기술 기초연구과제 세부 검색 기능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소 www.kaeri.re.kr
원자력 정보, 전자도서관(원자력 관련 도서 , 연구보고서, 학술지 DB등 제공) 및 원자력 관련 포털 서비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www.okaea.or.kr
원자력 관련 뉴스 각종 정보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ww.etri.re.kr
전자통신 동향분석, 주간기술동향, ETRI 저널 원문 제공 등 연구원에서 발간하는 자료들을 볼 수 있도록 함
정보통신정책연구원 www.kisdi.re.kr
정보통신업계 동향 및 최신 정보통신기술 소개(예, 소프트웨어, 인터넷 컨텐츠, 정보기기 등)
통신기술협회 www.tta.or.kr
정보통신 관련 각종 표준화 정보를 모아 놓았음
IT 종합정보유통망 www.itfind.or.kr
IT 관련 유관이 수집 생성한 정보에 통합 검색을 제공하며, IT 관련 지식정보가 풍부하고, 특히 IT 특허/학술, 보고서, 표준, 통계 정보를 체계적으로 잘 정리하였음.
한국정보보호센터 www.kisa.or.kr
정보보호기술(암호, 전자상거래 정보보호, 시스템 보호, 네트워크 기술), 정보보호 표준 기술 등 제공
정보통신연구진흥원 www.iita.re.kr
연구개발DB, 연구결과물 DB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개발유통정보시스템을 제공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www.kait.or.kr
정보통신 산업통계, 정보통신 관련 산업협의회 사이트 목록 제공
MetaDB www.metadb.net
정보통신분야 검색 포털 사이트
한국전파진흥협회 www.rapa.or.kr
국내외 전파기술정책, 기술동향 제공
한국전산원 www.nca.or.kr
국가정보화 백서, 정보화 동향분석, 전산원에서 발간하는 각종 연구보고서 및 실리콘 밸리 뉴스를 제공
한국전자상거래학회 www.koeraec.org
인터넷/전자상거래 관련 자료 제공
전자상거래 종합 DB 210.219.56.5/ediec
EC 기술정보, EDI 표준정보, 정책 및 연구자료, 해외 정보 제공
전자신문 www.etimes.com/db/industry/index_industry.html)
전자신문에 게재된 산업별 기사를 모아 놓아 곳
한국공작기계공업협회 www.komma.org
공작기계산업, Robot 산업, 공작기계에 관한 전문 정보 제공.
한국기계연구원 www.kimm.re.kr
기계기술문헌(각종 저널, 소장자료, 연구원 보고서 등) 검색기능 제공
자동차부품연구원 www.katech.re.kr
자동차 부품 기술정보, 자동차 부품 산업정보 등 제공
한국철강협회 www.kosa.or.kr
철강기술진보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제공
한국비철금속협회 www.nonferrous.or.kr
비철금속 산업계의 국내외 최신뉴스 및 업계동향 정보 제공
한국중소조선기술연구원 www.rims.re.kr
연구원 연구개발자료, 조선학회 발표 논문 수록
한국조선공업협회 www.koshipa.or.kr
국내외 조선 관련 정보 제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www.kari.re.kr
항공우주 기술/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문헌정보 서비스 실시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www.aerospace.or.kr
항공우주산업에 대한 문헌, 통계정보, 항공우주산업 DB 서비스를 제공.
AEM www.asme.org
기계공학계의 최신동향, 각종 학술대회에서의 주제를 제공하며, 분과학회에서 발표되는 기술저널에 수록된 논문들의 목록 제공
한국정밀화학공업진흥회 www.kscia.or.kr
정밀화학분야 최신뉴스 및 산업동향, 통계 등을 제공하고 관련 webzine 소개
한국화학연구원 www.krict.re.kr
CAS 번호검색 기능 제공
한국제지공업연합회 www.paper.or.kr
종이에 대한 기초지식, 펄프제지공업 소개, 산업정보, 통계 등을 제공
한국자원공학회 www.kime.org
석유, 천연가스, 석탄, 금속, 석골재 자원 등 각종 천연자원에 대한 DB 정보 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www.kigam.re.kr
분말원료용 광물의 활용기술에 대한 자세한 소개
한국섬유개발연구원 www.textile.or.kr
섬유기술백과 정보 제공
한국섬유기술연구소 www.kotiti.re.kr
최신 섬유관련 기술 소개 및 섬유관련 기술 검색 기능 제공
한국화섬협회 www.kcfa.or.kr
국내외 화섬 시장정보 및 신기술 정보 소개
한국소성가공학회 www.kstp.or.kr
한국소성가공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을 검색/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www.kribb.re.kr
바이오나노테크놀러지 소개 및 관련 웹사이트 소개, 소장자료, 연구보고서, 각종 저널 검색기능, 원문제공 서비스
한국해양연구원 www.kordi.re.kr
연구원의 다양한 문헌정보 서비스 및 해외의 해양관련 최신 과학기술동향 정보 제공
신소재산업 DB kdniin3.iin.co.kr/iinip20
정밀요업 및 고분자 재료 분야의 생산제품정보, 전문기술인력 정보, 기술 및 해외동향 정보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www.kier.re.kr
각종 에너지 관련 최신 뉴스, 기술자료 제공
과학기술학회마을 society.kordic.re.kr)
국내외 학회 목록 및 웹사이트 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ww.kitech.re.kr
유럽최신기술정보(1998년 이후), 특히 독일을 중심으로 최신 기술정보의 수집, 분석, 번역 제공 서비스
한국과학재단 www.kosef.re.kr
연구과제, 연구인력, 연구보고서의 색인 및 원문, 국내외 연구실 동향 등 기초과학 관련 전문 연구정보 제공
KAIST 과학기술전자도서관 www.library.kaist.ac.kr)
kaist 소장자료 검색 기능, 논문 등 각종 원문 복사 신청 가능
한국과학기술원 www.kist.re.kr
기술동향, 소장자료, SCI 관련 정보 등 각종 학술지, 연구보고서, 논문 등 원문제공 및 검색, 포털 서비스 기능 제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www.kisti.re.kr
과학기술문헌(헉술지, 석박사학위 논문, 해외과학기술동향 등)정보 검색 및 원문 제공, 해외과학기술동향 정보 제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www.stepi.re.kr
과학기술정책 관련 연구보고서, 정기간행물, 각종 과학기술통계, 소장자료 검색 기능 제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comp.kbsi.re.kr
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도서, 저널 등에 대한 검색과 원문 제공 서비스 및 연구원의 연구보고서, 출장보고서, 개인출판물에 대한 검색서비스 제공
한국표준협회 www.ksa.or.kr
Q, ISO, 경영, TPM, 생산, 물류, PL, 식스시그마, 싱글PPM, 정보표준 등에 관한 정보 제공
산업정보망 inn.co.kr
산업 전반에 걸친 뉴스 및 각종 통계자료, 기술정보 DB를 구축
산업동향DB db.iin.co.kr
국내 품목별 생산통계, 무역통계 및 산업동향 제공
산업정보검색어사전 DB magic.iin.co.kr/ad6.asp

전기, 전자, 기계, 섬유, 철강 분야 드에 사용되는 용어를 DB 화하여 제공

 

 

출처 : 아프로디테의 블로그
글쓴이 : 아프로디테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