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및 중증환자 등록절차

  2005. 8.  출처: 국민건강 보험공단

목 차

Ⅰ. 보장성 강화의 필요성-------------------- 1

Ⅱ. 보장성 강화 추진방향-------------------- 2

Ⅲ. 중증환자 등록------------------------- 3

Ⅳ. 요양기관 관련----------------------------7

※ 첨부자료

▣ 별첨1 본인부담금 경감대상 수술코드

▣ 별첨2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 신청서

▣ 별첨3 중증진료 등록․확인증

 

본 자료는 제도 도입 준비를 위한 설명자료이므로 세부적인 사항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제도 시행 시 문제점에 대한 의견수렴을 하고자 하니

아래의 연락처로 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한 고견을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705-6489~91

대한병원협회

02-503-7534

02-3270-9822~9

02-705-9253

dew77@mohw.go.kr

arachne101@nhic.or.kr

jinny416@hiramail.net

jsh@kha.or.kr

 Ⅰ. 보장성 강화의 필요성

 

낮은 보장성

○ 저부담 ­ 저급여 보험급여체계 운영으로 건강보험 보장성이 선진국 보다 낮음(건강보험 급여율은 약국포함 61.3%)

※ OECD 국가 대부분은 의료비 중 공공재원 비율이 70% 이상

○ 인구의 고령화 및 중증만성질환의 의료수요 증가

 

고액․중증상병에 대한 높은 본인부담

○ 고액진료비로 인한 가계파탄을 방지하고, 건강보험 보장성강화에 대한 국민의 욕구 증대.

암 같은 중증질환자의 보장률은 평균보다 더욱 낮아 절반에 못 미침 (암환자 급여율 47%)

○ 따라서, 고액중증상병인 암환자를 중심으로 건강보험의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 강화 시급.

 

☞ 중증질환의 고액진료비는 빈곤전락의 주요 원인이며, 증가하고 있는 암 발생률 등을 고려할 때 본인부담 경감 시급

※ 시행시기 : 2005. 9. 1부터 

Ⅱ. 보장성 강화 추진방향

  암 등 중증환자 부담 획기적 경감

○ 진료비 부담 경감이 시급한 대상 질환 선정

상병별 우선순위 선정기준에 따라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선정

 

 

- (백혈병, 위암, 폐암, 뇌종양 등 모든 암)

- 중증심장질환 (협심증, 심장기형 등 심장환자로 개심수술 경우)

- 중증뇌혈관질환 (뇌출혈 등 뇌혈관 환자로 개두수술 경우)

 

진료비 부담이 큰 중증환자의 본인부담률 경감, 보장성 강화로 건강보험 보장률을 선진국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향상

  보장성 강화의 내용

○ 「의료적 비급여」에 대해 급여전환

대상 중증상병과 관련되어 보험급여가 적용되지 않는 의약품, 검사 등에 적용 확대

○ 특히 항암제 및 항암제 관련 약제에 대해서는 진료의사의 판단을 최대한 존중하여 개별심사․삭감방식을 지양하고 포괄적으로 급여인정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과도한 부분은 평가로 관리

 

※ 의학전문가가 참여한 적정한 급여인정 시스템을 구축하고, 중증환자 평가체계를 갖추어 적정평가 시행

○ 법정본인부담률 인하

법정본인부담률을 현행 총 진료비의 20%에서 10%로 절반 인하

․ 상병별 본인부담률 인하가 적용되는 기간을 선정하여 집중지원

▶ 암은 신청한 날로부터 입원, 외래 포함하여 5년

심장․뇌질환은 입원하여 수술(개심․개두술)한 경우 최대 30일

 

  의료부분 급여확대․법정본인부담경감․식대의 보험적용 등 단계적 급여확대에 따라 ‘07년에 이르면 암환자 급여율 75%

 

 

? 보건복지부 www.mohw.go.kr

 

 

알림마당→브리핑룸→보도자료→2085번

? 국민건강보험공단 www.nhic.or.kr

 

알림마당→공지사항→34번

 

※ 보장성 강화방안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공청회 자료집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방안수립을 위한 공청회 참조  

 

  Ⅲ. 중증환자 등록

  등록 목적

○ 보장성 강화 목적에 적합한 대상자를 명확히 함으로써 도덕적 해이 방지

○ 신청 환자에 대한 등록증 교부로 의료기관 이용시 편의성 도모

  등록 대상 : 보장성강화 대상 중증환자

○ 암(C00~C97, D00~D09, D32~D33, D37~D48)

○ 심장 및 뇌혈관질환 (해당 수술을 한 경우 - 수술코드 별첨1)

다만, 심장과 뇌혈관질환은 적용기간이 짧은 점을 감안하여 요양기관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심평원에 청구함으로써 등록으로 갈음

※ 첨부된 수술코드는 본인부담금산정특례고시 개정사항에 따라 추가변동 가능성 있음

 

적용시기 : 2005년 9월 1일부터

 

등록절차

신청 구비서류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 신청서(별첨2)

암 : 신청서 작성 후 공단에 제출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자(해당 수술을 한 경우)는 신청서를 요양기관이 보관

․ 심장 및 뇌혈관질환은 공단에 별도의 서류 제출 절차 없음

(요양기관이 수술 동의서 작성 시 환자로부터 신청서를 받아 보관)

신청 방법

<방법 1>

환자 또는 보호자가 ‘요양기관의 확인란’이 기재된 신청서를 요양기관으로부터 발급받아 직접 공단 각 지사에 신청

<방법 2>

요양기관에서 일괄접수 후 신청서를 모아 공단 각 지사에 제출

(초기에는 효율성 도모를 위하여 공단직원이 방문하여 회수)

<방법 3>

요양기관이 공단 EDI 전산망을 통해서 전산등록․신청 대행

(‘05. 10. 1이후부터 가능)

<방법 4>

공단 직원이 요양기관에 직접 나가 접수(공간제공 등 요양기관 협조 필요 - 컴퓨터단말기, 프린터, LAN 설치 장소제공 등)

 

요양기관은 위 방법 중에서 어느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하되, 중증환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하실 것을 협조요청

요양기관은 어떤 방법을 택할 것인지를 8월 23일까지 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해 주시며, 통보된 결과는 복지부, 공단, 심평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국민에게 제공하여 각 병원별로 환자들이 어떻게 하면 되는지를 홍보할 예정임

등록 및 번호부여

등록번호 예시

□□ - □□ - □□□□□□ ☞ 구분코드 : 암(01)

 

구분

 

발행년도

 

일련번호

 

등록증 입력 내용

․ 중증진료등록번호, 신청일자, 건강보험증번호, 수진자명, 유효기간, 발행일자,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직인 등

   

등록․적용시기

○ 적용시기 : 2005년 9월 1일부터

○ 유예기간

— 입원 : 1달간(9.1-9.30) 신청 유예기간 적용

▶ 유예기간 중에는 암 확진된 환자이면 등록하지 않았더라도 2005. 9. 1부터 적용되나, 유예기간 만료인 2005년 10월 1일 이후에는 등록 신청자에게 적용

— 외래 : 3달간(9.1-11.30) 신청 유예기간 적용

▶ 유예기간 중에는 암 확진된 환자이면 등록하지 않았더라도 2005. 9. 1부터 적용되나, 유예기간 만료인 2005년 12월 1일 이후에는 등록 신청자에게 적용

○ 사전등록 : 2005년 8월 22일 부터

— 신청 집중에 따른 혼란방지를 위하여 ‘05. 8. 22일부터 사전 신청은 가능하나 적용은 ’05. 9. 1부터 경감함.

․ 요양기관은 암환자 등록신청을 유도하여 미신청으로 인한 불이익 방지

— 보도자료 등을 통한 대국민 홍보 예정

 

Ⅳ . 요양기관 관련

 

협조요청 사항

○ 본인부담금 경감에 따른 진료비 계산 프로그램 조정

○ 대상 암환자 등록을 위한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 신청서’ 발급 (별첨2)

— 요양기관은 동 서식을 비치하여 암환자에게 신청서 발행

○ 중증환자에 대한 등록 신청 적극 홍보 및 환자 편의제공

— 등록절차에 대한 요양기관 의견을 공단에 통보

 

방법1

방법2

방법3

방법4

환자 또는 보호자가 공단으로 직접신청

요양기관 일괄접수 후 공단 제출

(초기 공단직원 방문수거)

요양기관이 공단 EDI 전산망을 통한 신청 대행

공단직원이 요양기관에 나가서 접수

(요양기관 공간협조)

※ 공단 지사를 통한 의견조회 실시예정

 

적용기간

암 : 암으로 확진되어 공단에 등록 신청한 날로부터 5년

공단의 등록이 완료되면 대상자 명단과 적용시점을 요양기관에 통보

인터넷을 통한 등록여부 조회(‘05. 9. 1부터)

EDI접수 및 처리결과 통보(‘05.10. 1부터)

심장질환 및 뇌혈관질환 : 개심술 및 개두술 수술한 경우로써 입원기간 최대 30일

적용기간 : 수술을 포함한 입원기간 최대 30일

․ 30일의 기간산정은 진료비 발생이 가장 많은 구간을 적용토록 함.

재수술 시 : 재 수술로부터 30일 추가 경감

․ 재 수술일로부터 최대 30일을 초과 할 수 없음

(예시 1차수술 9/1, 재 수술 9/11 경우 → 9.11부터 30일을 초과할 수 없음)

 

진료비 청구방법

○ 해당 중증환자에 대해서는 법정본인부담률 인하 적용

현행 20%(CT, MRI는 30%~50%)의 법정본인부담률을 10%로 인하

○ 해당 중증상병으로 진료를 받은 경우에 한하여 적용

— 해당 중중상병과 전혀 관련 없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음

○ 요양급여비용 청구명세서의 특정기호 및 특정내역란 기재

— 특정기호 : 암(V193), 개두술(V191), 개심술(V192)

— 특정내역

․ 개두술 및 개심술의 경우 수술일자 기재청구(MS006)

암 상병의 경우 암환자 등록번호(MT014), 병기(stage)분류(MS007) 및 항암제 투여 cycle(JS012) 기재청구

※ 요양급여비용 청구명세서 서식 개정 시 추후 확정하여 고시 예정

분리청구 : 적용시점(‘05. 9. 1) 전․후 진료분 및 암과 무관한 상병

   

수진자에게 등록증(카드형태)이 발급되기 전에는 “중증진료 등록․확인증”(별첨3)으로 대체활용 가능함.

포괄적 급여인정 및 평가의 구체적인 방법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추후 안내

   

◈ 본인부담금 경감대상 수술코드

 

구분

대상

심장질환

심장질환자로 아래와 같은 수술을 받은 경우

가. 동맥관 우회로 조성술

(OA641, OA642, OA647, O1641, O1642, O1647, O1643, O1644, O1645, O1646)

나. 판막협착증 개심수술(O1730, O1740, O1750, O1760, O1770)

다. 심장판막 성형술(O1781, O1782, O1783)

라. 인공판막 치환술 및 재치환술

(O1791, O1792, O1793, O1794, O1795, O1796, 1797, O1798)

마. 좌심실류 절제술(O1823), 좌심실용적 축소성형술(O1824),

좌심실 유출로성형술(O1825)

바. 관상동맥 내막 절제술(O1830)

사. 발살바동 동맥류 파열수술(O1840)

아. 동맥류 절제술(O2031, O2032, O2033, O2034, O2035, O2036, O2037, O2038, O2039)

자. 선천성심질환 수술(O1671, O1672, O1680, O1710, O1721, O1800, O1810, O1878, O1879)

차 기타 개심술(O1705, O1722, O1960, O1970)

카. 혈전제거술(O1950, O2053, O2054, O2055, O2056, O2057, O2058, O2059)

타. 부정맥수술(O2006, O2007)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자로 아래와 같은 수술을 받은 경우

가. 두개강내 혈종제거술(S4621)

나. 뇌내 혈종제거술(S4622)

다. 뇌동맥류수술(S4640)

라. 두개강내 혈관문합법(S4661, S4662)

마. 뇌엽절제술(S4780)

바. 뇌 기저부 수술(S4801, S4802, S4803)

사. 중추신경계정위수술/혈종제거(S4755)

아. 뇌동정맥기형적출술(S4651, S4652)

자. 거미막하 출혈의 후유증(I69.0)에 실시한 단락술 또는 측로조성술(S4711, S4712, S4713)

※ 위의 코드는 의견조회 중인 것으로 공식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며, 추후 확정 고시할 예정 임.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 신청서(□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 해당란에 ☑표기

중증진료등록번호

※ 공단기재사항

 

 

접수일자

※ 공단기재사항

 

 

건강보험증번호

 

 

가입자(세대주)

 

 

수 진 자

 

주민등록번호

(수진자)

 

주 소

 

전화번호

( )

 

 

요양기관 확인란(‘암’인 경우에만 기재)

 

진료과목

 

병록번호

 

암진단확인일

. .

상병기호

(진단명)

※ 상병기호 반드시 기재

 

( )

최 종

진 단

방 법

□ ① 검사 □ Sono □ CT □ MRI □ 기타( )

□ ② 조직검사 없는 진단적 수술

□ ③ 특수 생화학적 또는 면역학적검사

□ ④ 세포학적 또는 혈액학적 검사

□ ⑤ 전이부위의 조직학적 검사

□ ⑥ 원발부위의 조직학적 생검

□ ⑦ 기타( ) ※ 중복 체크 가능

위의 기록한 사항이 사실임을 확약함

20 년 월 일

요양기관명(기호

담당의사(면허번호): (서명 또는 인)

 

 

 

 

상기와 같이 건강보험 중증진료 등록을 신청합니다.

신청일 20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전화번호 ( )

수진자와의 관계 ( )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귀하

 

 

 

◈ 등록된 수진자에 대하여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료비 중 본인부담금이 절반으로 경감되는 등의 혜택이 주어집니다.

 

 

 

중증진료 등록․확인증

중증진료등록번호

 

건강보험증번호

 

유효기간

 

 

 

수진자성명

 

신청일자

 

등록증수령주소

 

 

위와 같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합니다.

 

200 년 월 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직인)

 

 

수진자에게 등록증(카드형태)이 발급되기 전에는 본 확인증으로 대체활용 가능함.

접수지사

 

지사전화번호

 

 

보건복지부 링크 ;

http://www.mw.go.kr/sotong/cy/scy0101ls.jsp?PAR_MENU_ID=12&MENU_ID=12040501

 

전문가 되기위해서 좋은 자격증 취득하려는분들이 많은거 같아여. 자격증 자료들 무료로 받아보세요


100개가 넘는 자격증 관련 링크모음 올려드려요...

나날이 발전하는 우리 카페를 너무 보기좋습니다

저도 우리 카페를 위해서 일조를 해야죠..^^ 앞으로도 좋은 자료들 있으면 제일먼저 찾아서 올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아래 자격증관련 무료 자료신청 링크모음 입니다..

아래 필요한 자격증 무료자료 한번에 여러개 신청가능하데요..


- 심리상담사 - 병원,학교,유치원등 필요 인력 턱없이 부족 취업유망자격증!

무료자료신청


- 주택관리사 - 건설교통부 주관 - 법령으로 2010년 의무고용채용제 시행

무료자료신청


- 사회복지사 - 무시험취득+100%취업 - 관련자료 무상제공!!

무료자료신청


- 유기농관리사 - 녹생성장/친환경/건강식생활에 따른 유망직종 자격증

무료자료신청


- 공인중개사 - 공인중개사 매월시험정보 및 예상문제 무료제공

무료자료신청


- 경비지도사 - 민간경비업체,국가중요시설,금융기관 취업

무료자료신청


- 농산물품질관리사 - 농산물품질검수를 통해 안전한 농산물 전문가!

무료자료신청


- 베이비시터 - 육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제2의 부모 역할!

- 직업상담사 -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직업상담 인력부족! 전문가양성!

- 도로교통사고감정사 - 교통사고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사고원인을 규명!

- 대입,고입검정고시 - 대입,고입검정고시 합격비법 노트 무료제공

- PIA사설정보관리사 - 각종사건,사고 탐정 민간 조사 전문가
- 보육교사 - 보육교사자격증 무시험 자격증 취득기회 - 무료자료신청

- 연예인관리사 - 한류시대의 전문적인 연예인매니저 양성 자격증!

- 결혼상담사 - 결혼상담사 - 자격 취득과 동시에 웨딩업체와 연계 취업보장

- 유아교육학과 - 등교없이 최단기간 유아교육학과 학사 취득

무료자료신청

- 4대보험관리사 - 4대보험통합징수 법제화로 인력부족 고수입자격증

무료자료신청

- 초벌번역가모집 - 취업,프리랜서,재택근무,창업가능 초벌번역가 모집

무료자료신청

- 속기사 자격증 - 한글자막방송요원 및 최단기 국가 속기사 취득 안내
- 식생활교육지도사 - 남용되는 건강식품 안전관리! 건강식품관리 전문가!
- 소비자전문상담사 - 소비문화가 발전할 수록 주목되는 최고의 자격증
- 아동심리상담사 - 지속적인 심리상담을 통해 아이의 오감을 치료한다!
- 저작권관리사 - 저작권행정, 교육, 구직시장 상위1%! 신직업군 급부상!!
- 행정사자격시험 - 공무원만 가능했던 행정사 자격시험이 누구나 응시가능
- 가정복지상담사 - 가족상담복지서비스 및 생활지도관리 업무
- 미술심리상담지도사 - 그림표현을 통해 효과적인 심리진단,치료 업무
- 경호지도사 - 나도 이제 연예인이나 정치인의 경호원이 될수있다!!
- 토종식물해설사 - 야외 체험활동의 안내자로 식물의 이해증진,흥미유도!
- 한자지도사 - 한자 학습지도능력 배양과 올바른 가지관 형성등 유도!
- 사회보험사 - 근로자들의 권리,혜택을 챙겨주는 전문컨설턴트
- 반려(애완)동물관리사 - 반려동물 가구 500만 / 1조2000억 시장!
- 방과후교육교사 - 많은 학교에서 창의사고력 수업을 채택! 인기직종!
- 유아교육지도사 - 강남 엄마들이 선택한 유아교육의 유아교육전문가!
- 아동학사 - 부부 맞벌이 필수시대 아동학사 인력 턱없이 부족!!
- 유기농업기능사 - 자격증 취득후 취업이 되도록 업체 20여곳 연계 취업
- CS강사양성과정 - 전반적인 서비스기획업무를 총괄하는 전문 컨설턴트
- 반려동물장례관리사 - 반려동물의 매장,안치등 절차를 전문수행
- 신재생에너지 - 저탄소 녹색성장 분야 신설! 최고의 유망자격증
- 동화구연지도사 - 동화를 수업매체로 어린이 감성,EQ,IQ 향상 지도사
- 부부심리상담사 - 한국 이혼율 OECD 가입국 중 1위 최고의 유망자격증
- 가족문화지도사 - OECD 국가 중 자살률과 이혼률 최고! 유망자격증
- 방과후아동지도사 - 현직 방과후교사들이 말하는 최고의 자격증
- 산지식물자원관리사 - 생태공원,식물원등에서 산지식물 전문가로 활동
- 가정관리사 - 주거환경,세탁,노인관리등 맞춤형 가사서비스 제공자
- 간병사 자격증 - 병원,요양소등 환자의 보호자를 대신하여 간병하는 역할
- 전통시장관리사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환경분석,안전,위생,유통 업무
- 직무스트레스관리사 - 직무스트레스 측정/관리 퇴직후 경력개발까지
- 천연염색사 - 천연염색의 과학적인 연구와 노력! 다양한 색을 창조 개발
- 도청탐색사 - 도감청 및 개인프라이버시 침해 심각, 도감청탐색 전문인력!
- PSG특수경호사 - 의뢰인에게 가해지려는 일체의 행위를 방지 경호사
- 경호사격마스타 - 경호,경비업체 등 취업,프리랜서 전문직으로 활동
- 화재감식평가기사 - 과학적,전문적 화재조사 및 감식 인력 절대부족
- 보드게임지도사 - 보드게임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로 성장을 돕는 역할
- 종이접기지도사 - 종이접기를 메인 테마로 한 차별화된 수입프로그램
- 콜크공예지도사 - 친환경 웰빙 점토를 이용 미적감각 길러주는 역할
- 콜크클레이지도사 - 두뇌회전력,감성표현력 길러주는 자연친화적 교육
- 예쁜손글씨POP교육교사 - 방과후교육의 예쁜손글씨 교육 방행을 제시!
- 스마트교육지도사 - 2015년 전국 초,중,고 디지털교과서 전면도입!
- 아이패드교육지도사 - 아이패드를 통한 학습자중심 개인별,맞춤형교육
- 클레이공예지도사 - 악세사리와인형,아기자기한 생활소품까지 내손으로!
- 방과후생태탐구지도사 - 아이들의 호기심 충족 1위! 체험과학의 1인자
- 멘사두뇌게임지도사 - 창의성,인성,지성 겸비 글로벌 리더 교육전문가
- 생명과학지도사 - 생명과학 체험교육을 지도하여 인성교육 책임지도
- 독서논술지도사 - 다양한 방법의 독서교육! 글로벌 리더 양성할 지도자!
- 방과후지도사 - 방과후 교사자격증 최단기간 취득 최고의 취업율 보장
- 멘사셀렉트게임지도사 - 창의와 인성이 겸비된 리더로! 교육전문가!
- 쿠키앤클레이지도사 - 가장듣고싶은 방과후 프로그램 쿠키앤클레이!
- 창의사고력지도사 - 자격증취득으로 우수한 취업율! 홈스쿨창업도 ok!
- 교육마술지도사 - 사교육비절감위해 방과후학교 신규강사 충원계획
- 영재놀이지도사 - 영,유아들 사이에서 영재성 개발,발달시키는 전문인!!
- 냅킨아트공예지도사 - 냅킨을 오리고 붙여서 장식이 가능한 공예과정
- 동화요리클레이지도사 - 독서를 통한 요리,클레이 활동! 독후활동 지도
- 스마트활용능력 1급,2급 - 범국민SNS시대 스펙 쌓고 생활의 편리함까지!
- 아동스피치지도사 - 자신감없는 사람도 강의만 들으면 전문 강사로!
- 우드아트공예지도사 - 초,중학교 실용공예수업 붐,강사의 인기자격증
- 아동요리지도사 - 다채로운 아동요리 체험학습! 성공취업에 도전 하세요
- 토탈공예지도사 - 냅킨아트,우드아트,콜크아트등 커리큘럼 종합공예

- 조경직공무원 - 녹색성장의 국가 정책에 따른 핵심 필수 인력

무료자료신청

- 소방간부후보생 - 소방의 핵심 인재로 소방조식내에서 승진이 보장

무료자료신청

- 외무영사직공무원 - 3등서기관의 지위를 부여받는 외교관

무료자료신청

- 농업연구사 - 농업진흥청 산하 농업과학기술원 또는 시험장에서 근무

무료자료신청

- 임업직공무원 - 조림및 육림,우량 종묘공급 산림자원관한 업무

무료자료신청

- 농업직공무원 - 농산물 유통,식량증산등 농업정책에 부합되는 행정담당

무료자료신청

- 방송통신기술직 - 방송통신위원회,해양수산부등 모든 기관으로 발령

무료자료신청

- 환경직공무원 - 각종 환경오염으로부터 우리 국토를 보전하는 임무

무료자료신청

- 화공직공무원 - 건축물의 재난방지시설의 점검및 수질등 업무

무료자료신청

- 기계직공무원 - 차량등록 및 기계설비의 유지보수에 관한업무

무료자료신청

- 전산직공무원 - 시청,교육청등의 전산실,정보통계과 등에서 근무

무료자료신청

- 재경직공무원 - 국가의 전반적인 경제정책을 조율하는 중요한일 담당

무료자료신청

- 법원사무직공무원 - 재판상 부수적인 사무를 독립하여 수행 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회계직공무원 - 국가회계제도 선진화 3개년 추진계획의 핵심인력!!

무료자료신청

- 관세직공무원 - 국제무역의 실무진이며 글로벌 시대의 인기 직업군

무료자료신청

- 직업상담직공무원 - 일자리 창출 핵심부서인 고용센터에서 직업상담!

무료자료신청

- 9급통계직공무원 - 통계청 국가 통계활동의 전반을 기획,통계등 업무

무료자료신청

- 감사직공무원 - 기관의 사무와 공무원의 직무 감찰, 행정운영 향상 도모

무료자료신청

- 전기직공무원 - 국가에서 관리하는 건물 시설물의 시공과관리,감독업무

무료자료신청

- 사서직공무원 - 공공도서관 사서 / 초,중학교 사서교사로써 높은 대우!!

무료자료신청

- 출입국관리직공무원 -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승인및 허가등의 심사관리

무료자료신청

- 선관위공무원 - 선거,국민투표,정당에 관한 사무를 통합관리하는 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철도경찰직공무원 - 질서유지 및 각종사건을 처리하는 철도경찰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등기사무직공무원 - 각종 등기부 등제, 변경, 삭제, 말소 등의 업무!!

무료자료신청

- 법원행정직공무원 - 법원사무,등기사무,속기등 법원에 관련 된 업무

무료자료신청

- 간호직공무원 - 간호직 공무원으로서 간호관련 공무원직수행

무료자료신청

- 농촌지도사 - 농촌지도사 임용시 7급공무원의 보수와 6급공무원의 대우

무료자료신청

- 9급보호관찰직 - 법무부 보호관찰공무원 1.127명 증원 추진

무료자료신청

- 9급마약수사직 - 마약사건의 접수,처리 및 마약범죄 수사 업무

무료자료신청

- 9급건축직공무원 - 행정안전부 및 교육청! 안전하고 든든한 9급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9급군무원 - 9급 공무원 시험중 출제난이도가 가장 낮은 시험!!

무료자료신청

- 9급토목직공무원 - 토목관련 관리 감독 업무 전문공무원

무료자료신청

- 9급기능직공무원 - 우정 사업본부 각,시도 우체국 대규모 채용예정

무료자료신청

- 9급검찰직공무원 - 검찰수사업무 및 사무업무 - 무료자료신청

무료자료신청

- 9급소방공무원 - 각 시도 별로 2월 ~12월 사이에 각각 별도로 시행

무료자료신청

- 9급세무직공무원 - 세금의 금액을 결정및 관리하는데 관련 업무수행!

무료자료신청

- 9급교정직공무원 - 공무원중 최다증원예정 - 무료자료신청

무료자료신청

- 9급경찰공무원 - 경찰직공무원으로서 일반경찰과 별도인력증원

무료자료신청

- 9급교육행정직 - 교육청이나 국.공립 초.중.고등학교 행정업무!!

무료자료신청

- 9급보건직공무원 - 보건소,보건복지센타,시.구청, 의료원 취업가능

무료자료신청

- 9급일반행정직 - 9급 국가행정직 / 지방행정직 공무원 취업!!

무료자료신청

- 9급기능직공무원 - 기존 10급기능직이 9급기능직으로 승격! 9급공무원

무료자료신청

 
  

 
 
 
 

출처 : 웅천지웰
글쓴이 : 마음이 원글보기
메모 :

 

 

 



'농사를 짓다보면 관리도 힘들고, 소득도 시원치 않다'라는 말이 많은데요. 최근 농업의 6차 산업화 등 우리 농업, 농촌에도 변화의 새바람이 불어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구조 개선과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방안은 무엇일까요? 바로 농가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정책 운용이 가능하도록 농업 경영체 단위에서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한 제도가 바로 '농업경영체 등록' 제도입니다.


농업경영체 등록은 각 농업경영체 마다 인적정보, 농지정보, 농, 축산물 등의 생산품목 등의 정보를 일정 절차에 따라 등록하고, 정부는 이러한 정보를 정책 자료로써 활용하여 농가유형별 차별화된 정책지원을 가능케 합니다.


 


■ 농업 구조개선과 소득 문제 해결을 위한 움직임 : 농업경영체 등록


 


이렇듯 농업경영체 등록 제도는 농가유형별 차별화된 정책지원을 하기 위해 경영체 단위로 실질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이렇게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국가 농림 사업과 직불제도를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책운용이 가능한 것이죠.


하지만 지난 2008년 농업경영체 등록이 시행되고 5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아직 농업경영체 등록에 대해 모르거나, 등록 시 이점에 대해 모르시는 농업인들이 많습니다.


농업경영체 등록제도의 신청대상은 1,000㎡ 이상의 농지를 직접 경작하거나, 연간 농산물 판매액이 120만 원 이상인 경우,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경우의 세 가지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 농가단위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농업경영체 등록을 하게 되면 ▲ 정부의 농림사업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 혜택을 받을 수 있고 ▲ 소득안정직불제 혜택 수혜 ▲ 각종 농림사업 신청 시 정보 등록으로 과정 간소화 등의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 비료 구입 시 부가세 10%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혜택에 제한이 가해지므로 농가로서도 등록을 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과거에는 농가가 작성한 정보를 기준으로 일괄적인 경영체 등록이 이뤄졌지만 2010년을 기점으로 철저한 현장조사 후 경영체 등록이 이뤄지고 있으니, 혹시나 허위로 등록을 꾀해서는 안 될 것 같네요.


추가적으로 중요한 점은 경영체 등록 이후, 농지의 규모나 가축 및 농산물 생산 정보, 인적 정보가 변동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것인데요. 경영체 등록 이후 변동이 되는 사항이 있다면 2주 이내로 '변경신청'을 해야 합니다. 변경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위와 마찬가지로 여러 혜택을 받는 것이 제한 될 수 있다고 하니 특히 주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농업경영체 등록과 변경 신청에 대한 공식 정보 및 신청서 양식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홈페이지(http://www.naqs.go.kr/)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 콜센터(1644-8778)에서도 문의가 가능합니다.


 


■ 농업경영체 등록 & 직불금 이제 편하게 신청하세요


 


이렇듯 농업의 구조개선과 소득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농업경영체 등록제도'를 더욱 많은 농가에서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오는 2014년 부로 경영체 신규 등록 및 변경등록과 직불금 신청서식을 하나로 통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농업인 편의를 제고하고, 직불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농업경영체 신규 · 변경등록과 쌀소득등보전직불금, 밭농업직불금, 조건불리지역 직불금의 신청서식과 집행절차가 일원화 된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출처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이에 따라 직불금을 받고자하는 농업인 및 농업법인은 내년 2월부터 6월 15일까지 농업경영체 등록 및 직불금 통합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는 내년도 신청기간 동안 마을 별로 찾아가 농업인의 신청서 작성을 돕고 접수를 받는 ‘방문접수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방문접수 서비스 대상 마을이 아니거나 직접 제출을 원할 경우 거주지 주소 관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지원 · 사무소나 농지소재지 관할 읍 · 면 · 동사무소에 직접 신청서를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농식품부는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항목을 기존 60개에서 93개로 확대 개편하여 향후 스마트 농정 추진에 필요한 기초통계로 활용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일제갱신도 함께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보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농업경영체에 대한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네요. 농업경영정보는 법령에 의한 농업인의 개인정보 이용 및 제공 등에 대한 동의를 바탕으로 농업경영체의 육성 및 지원 목적으로만 활용되며, 다른 목적으로는 활용되지 않으니 정보의 남용에 대한 걱정은 하지않으셔도 됩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업경영정보와 주요 직불금 집행·관리 절차와 시스템을 통합함으로써 농업인 편의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행정 효율화를 도모하고 직불금 부당수령 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직접 농업, 축산업에 종사하는 분들께는 이러한 정보 수집과 등록이 번거로운 일이 될지 모릅니다. 하지만 농업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개선하고, 체계적인 관리와 파악으로 농업의 구조를 개선하고 맞춤형 지원이 이뤄진다면 장기적으로 정부와 농가 모두에게 큰 이익이 될 것입니다. 이번 일원화 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되어 농가 소득안정과 구조개선에 다시금 불을 붙여주길 기대합니다. 




출처 : 새농이의 농축산식품 이야기
글쓴이 : 새농이 원글보기
메모 :

차량 운행을 하다보면 가장 신경쓰이는 것 中 하나가 잡소리죠.

구조적인 잡소리는 방음작업으로 어느 정도 해결되겠지만, 하체에서 올라오는 잡소리는 증말 짜증납니다.

특히, 서스작업이라도 했다하면 지긋지긋한 잡소리...ㅜ.ㅠ;;

제 주위에도 서스작업 후 잡소리로 순정으로 돌리는 분들도 몇분 계셨구요.

사설이 길었네요. 그럼 하체 잡소리의 원인부터 알아볼까요.

 

서스작업 차량의 하체잡소리 원인 중 가장 많은 유형은 작업미스입니다.

순정이 아닌 사제 종발이나 일체형 작업을 안해본 업체에서 작업시 많이 발생하죠.

또 튜닝샾이라고 해도 경험이 없으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도 그렇것이 일체형의 경우 메이커별로 제품특성이 있어 작업이 약간씩 차이가 납니다.

이 점을 간과하고 작업시 당장은 아니라 하더라도 후일 잡소리가 올라옵니다.

저도 그 동안 종발이, 일체형을 거치며 몇번의 실수를 경험했습니다.

"내가 경력이 몇년인데!!!"  "순정하고 똑같이 장착했다"라는 얘기 참 많이 들었습니다^^

모두 맞으면서 틀린 얘기입니다. 그 경력이란게 순정작업 경력을 말하는것이니 튜닝제품은 별도겠죠.

또 튜닝제품을 순정하고 똑같이 장착하면 당연히 제품특성이 틀리니 장착미스입니다.

장착부분에 관한 글은 정리 중이니 기회되면 다시 올리겠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 순정상태이던 서스작업된 상태이던 하체 잡소리의 원인 중 1위는 "활대링크"입니다.

"활대링크"란 어떤 녀석일까???

"활대링크"는 스테빌라이저와 쇽업쇼바(댐퍼)를 연결하는 부속이다.

특히, 서스차량, 또는 튜닝 스테빌라이져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 이 링크에 많은 하중을 부여하여 파손의 위험이 커진다.

몇년 전 실제로 목격한 하체 풀튜닝 튜스카니의 경우 활대링크 볼베어링 부위가 통째로 빠진 차량도 목격했다.

사진을 보면서 자세히 알아보자.

 

 

[사진설명- 로체용 프론트. 최근 현기차 차량에 많이 쓰이는 형상이다.]

   

활대링크는 형상은 차종마다 조금씩 상이하다. 본인 차량의 활대링크를 확인하려면 스테빌라이져와 댐퍼를 연결하는 링크를 찾아보면 된다. 카센타에 입고 후 리프트에 띄울 일이 있으면 찬찬히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사진설명= bmw 5시리즈 활대링크 모습이다. 부싱은 삭았고, 볼베어링은 이탈된 모습이다.]

 

[사진설명-엑센트 후륜 활대링크 모습. 유격이 생긴게 보이시죠. 사진제공-네이버블로그 후아유님]

 

 

[사진설명-로체 활대링크 교체후. 이 작업으로 동호회 동생의 잡소리가 잡혔습니다^^]

 

결론적으로 보통 하체에서 잡소리가 올라오면 점검포인트는

 1. 장착미스 (서스작업차량) - 서스작업 후 얼마 안된 차량은 특히 의심할 만 하겠죠.

 2. 활대링크(가장 저렴하기도 함)

 3. 로워암(노아다이)

 4. 웜기어(오무기어)

이런 순서로 점검하시면 대부분 잡을 수 있습니다.

 

그럼 여러분 차량의 최상의 컨디션을 기원하며 무더위에 애마 아껴주세요^^

출처 : CAR&DIY
글쓴이 : 스틱은체 원글보기
메모 :

얼마전부터 기술연구원 선생님 뉴 카렌스에서 이상한 소음이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전적으로 정비 관리를 저에게 맡기시는터라~ 꼼꼼히 봐 드린다고 했는데~

선생님께서 소음에 완전 둔감하셔서...그냥 타고 다니시다~

오늘 수리를 의뢰 하셨네요~

시승을 해보니..앞쪽에서 뚝~두두둑~더덩더덩~표현이면 맞을것 같네요~

혹시 로체,NF,뉴카렌스,HD등등 차량에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이네요~

시멘트길을 달려보면 확실하게 들리죠~

 

 현재 학교에 계신 교수님차량과 선생님 차량등을 주차장 to 주차장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활대 링크쪽에 유격이 발생하여 나는 소음입니다.~

볼이 쉽게 움직이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신품을 구입하여 교환 합니다. 재고가 한쪽 밖에 없어서 어제 작업을 한쪽 하고 오늘 다시 한쪽 작업을 했습니다.

 탈부착이 용의한 편이고 혹시 하체에서 더덩더덩~ 소리가 들리신다면 제일 처음 교환 해보시면 됩니다.~

가격도 저렴한 편이니까요~ 혹시 쇼버를 바꾸네~ 로어암을 바꾸네~ 하시면 그전에 활대만 교환 해달라고 하세요~

 탈착 후 사진입니다. 참 멍청하게도 어제 작업을 못한 운전석만 짹으로 들어 올려 작업을 하려했더니...

스테빌라이져가 눌려~ 장착이 되지 않네요~ 쇼버와 스테빌라이져 간격이 좁아보이시죠~

어제 한쪽 작업후~ 반대쪽은 탈착해 두었거든요~ㅡ,ㅡ 바보 바보~

리프트를 사용하여 작업을 마무리 합니다.~

장착후 하체 소음은 쏵 사라졌습니다.

요즘 차량들...특히 우물정자 멤버를 사용하는 차량들은 로어암 부싱이 꾀 튼튼한편이며~

운전습관에 따라 틀리겠지만 쇼버도 잘 터지지 않습니다. 쇼버 마운트도 예전과는 달리

스러스트베어링이 들어가는 방식으로 마운트 소음은 거의 나지 않는 편이라~

간단한 작업 후기 였습니다.

출처 : 차박사는??? 중고자동차 마니아
글쓴이 : 차박사 원글보기
메모 :

자동차 보험을 가입할 때 내용은 잘 모르지만, 각 종 보험회사가 추천 해주는 대로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 막상 사고가 나설 때 보험 적용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 당황스럽기도 하다. 이럴 때 내가 가입한 자동차 보험 담보에 대해서 한번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여름철 더운 날씨로 인하여 사고 빈번히 일어난다. 그래서, 내가 가입한 담보 중에 자기신체사고의 기본 보장내용을 알아볼까? 한다.

 

자기신체사고는 피보험자가 피보험자자동차의 사고로 상해를 입었을꼉우 차대차과실경합사고는 실제손해액을, 단독사고의 경우에는 실제 치료비를 본인이 선택한 가입금액 한도내에서 보상하며, 사망시 차대차과실경합사고는 실제손해액을 단독사고는 보험가입금액을 보상해 드립니다.

자기신체사고 VS 자동차상해 비교표

 

사망

가입

금액

자기신체사고

15백만원,3천만원,5천만원,1억원(부상3000)중에서 하나를 선택

자동차상해

사망/후유장해:15,3,5,7,1,2,3,5*부상:15,2,3,5

 

부상 및

후유

장해

    

부 상

후유장해

1

자기신체사고

자동차상해

자기신체사고

자동차상해

2

1,500 한도

-2천만 한도

-급별한도 없음

-실제치료비지급

-자기과실분도 보상 (과실상계하지 않음)

가입금액 내 자기싡체사고 후유장해등급별 지급기준

대인보상 후유장해 지급기준과 동일

, 과실상계하지 않는 부분이 대인보상과차이

3

  800 한도

4

  750 한도

5

  700 한도

6

  500 한도

7

  400 한도

8

  250 한도

9

  180 한도

10

  140 한도

11

  120 한도

12

  100 한도

13

   60 한도

14

   40 한도

15

   20 한도

자동차상해 약관

*자기신체사고보다 충실한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보험가입금액 한도 내에서 대입배상∥ 약관상 지급기준에 따라 산출한 금액(15, 3,5,7, 1, 2, 3, 5억 선택)을 과실상계없이 지급하여 드립니다.

쌍방과실사고인 경우에는 사고 상대방의 과실책임분에 대한 청권은 보험회사에서 대신 처리해준다.

) 4급부상으로 인해 치료비 800만원 및 간접손해(위자료, 휴업손해, 상실수익액등) 700만원 등 총 1,500만원의 손해가 발생 경우

(비용 및 공제액은 없는 것으로 간주)

-자기신체사고 가입시 : 4급한도 금액인 700만원 보상(직접손해만 보상)

-자동차 상해 가입시 : 2천만원 한도내에서 1,500만원 전액 보상

                             (간접손해포함)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j486486&logNo=90149501521

낚시로 잡은 고기 피빼는 법(선도유지)



오늘은 낚시로 잡은 고기 회로 드시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으로 피빼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주 5일제 확대에 힘입어 낚시와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부쩍 늘어나고 있습니다. 예전 같았으면
아는 선배나 지인과 함께 출조가서 배우는 형식이 많았는데 요즘은 워낙 인터넷 정보들이 잘 되있으니
깐 혼자 독학으로 낚시를 배우는 분들도 많은거 같아요. 몇몇 독자분께선 제 블로그를 보고 낚시를 시작
했고 지금도 제 글을 보며 배우는 중이다라고 얘기 할 정도인데 그만큼 낚시의 보급화는 가속화되며 옛
날처럼 일부 마니아만 즐기는 레포츠에서 가족과 연인 지향적인 레포츠로써 위상이 높아만 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늘상 고기를 낚아 회를 뜨는 분들이야 더 이상 새로울게 없는 내용이지만, 초보 입장에선 고기를 낚아도 올바른 처리법을
알지 못하여 싱싱한 횟감을 망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가족이나 연인끼리 낚시를 간다면 오늘 내용에 대해서 꼭 알아두셔야
할텐데요. 이왕이면 "직접 고기를 낚아 내 손으로 직접 회를 떠주는 것" 이라면 얼마나 멋지겠습니까? ^^
우리 아빠, 우리 남편, 우리 자기가 직접 낚아서 그 자리에서 펄떡거리는 생선을 조금의 망설임 없이 손질하고 회까지 떠서 초고추장에 찍어서

"자! 아~~~~ 해봐"

얼마나 좋습니까. ^^ㅋㅋㅋ
낚시는 고기를 낚는것만이 낚시가 아니라 잡은 고기로 싱싱한 자연산 회를 만들어 나와 우리 가족들에게 먹였을 때  
그것이 바로 낚시의 완성이 아니겠어요. (캬~~ 오늘 글빨 선다 ㅋㅋㅋ)
오늘은 낚시로 잡은 고기를 회뜨실 때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하는 내용으로 고기 피빼는 법과 조만간 올려드릴 고기 회뜨는 법을 잘 익혀
놓으셨다가 꼭~!  가족과 여자친구 앞에서 선보이기시 바랍니다.

 ◐ 낚시로 잡은 고기, 피빼는 이유?

 낚시로 잡힌 고기는 산소량이 부족하거나 스트레스가 쌓이면 죽게 되는데 사후 직후 경직이 일어나면 근육이 딱딱해 집니다.
 이때 피를 빼놓지 않았을 경우 그 피는 근육으로 스며들어 횟감을 망치게 됩니다.
 생선의 혈액 중엔 인체에 해로운 성분도 있습니다만(특히 붕장어의 혈액은 독소가 강해 일정량을 복용하게 될 경우 위험합니다.)
 살에서 엄청난 비린내를 유발시키므로 살아 있을때 반드시 피를 빼야만 횟감의 선도가 유지되며 이것을 회로 썰어 드실 수가 있습니다.


1. 아가미를 찌른다.
고기 피를 빼기 위해선 반드시 살아 있는 고기여야만 합니다.
이미 죽은 고기는 피가 이미 근육으로 스며들고 응고되어 있으므로 이미 늦습니다.
참고로 낚시하는 동안 잡은 고기를 살려내려면 살림망 혹은 꿰미에 끼어서 바다에 띄워놓는 방법이 있고, 살림통에 물을 가득 붓고
기포기를 틀어 놓는 방법이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파도가 잔잔한 날이 좋으며, 파도가 강할때 살림망을 띄워놓게 되면 그속에서 고기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또 날카로운 지느러미에 의해 어체가 상하게 되므로 후자의 경우 파도가 칠때만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먼저 아가미를 칼로 찔러야 하는데 고기의 반항이 심하면 손으로 눈을 가려주시면 얌전해지구요. 아니면 칼등을 이용해 정수리를
강하게 내리쳐서 기절 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리고나서 아가미 깊숙히 칼집을 넣은 후 배 방향쪽으로 칼을 긋는데 노란 화살표 부위에
심장이 있습니다. 그러니깐 아가미 한 가운데까지 찔러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2. 물을 틀거나 물칸에 넣어 피를 뺀다. 그리고 내장까지 제거해준다.
그리고 호수가 있다면 아가미에 집어넣고 물을 틀면 되고, 아니면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틀어 피가 완전히 빠져나가도록 해주시는데
만약 갯바위나 방파제라면 바닷물을 이용하시구요. 물칸에다 잠시 놔주셔도 되며, 부력망에 넣고 바닷물에 담궈버리시면 거기서
몸부림 치다 피가 빠져나갑니다. 걸리는 시간은 약 1~2분이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고기가 크다면 위의 사진처럼 꼬리쪽에도 칼집을
내주세요. 잘 빠집니다. 

그리고 가능한 현장에서 내장까지 제거를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노래미나 고등어 심지어 일부 돔들은 여름철에 고래회충 감염이 되어 있어 살아 있을때 피빼고 내장을 제거하면
상관없지만 사후직후 수시간을 방치해두면 내장에 기생해 있던 기생충이 근육으로 파고들어 회를 드실때 감염될 수 있다는 점!
아무튼 오늘의 핵심은 "가장 팔팔하게 살아 있을때 단번에 즉살해서 피를 빼는 것" 입니다. 그래야만 회맛이 쫄깃하고 맛있습니다.
똑같이 살아 있더라도 겨우 숨이 붙어 있는 고기는 횟감은 되지만 스트레스로 인해 근육이 풀어져 쫄깃한 맛이 덜합니다.


3. 아이스박스에 각얼음을 넣는다.
이제 집까지 싱싱하게 선도를 유지시키며 운반하는 일만 남았는데요.
살림통에 물을 붓고 살려서 가져와도 되지만 이 경우 기포기 성능이 좋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경우 겨우 숨이 붙어서 오니
회맛이 다소 덜 쫄깃거리구요. 그래서 지금처럼 아이스박스에 각얼음을 두개 정도 깔구요.(공간이 안나오면 하나는 세우고, 하나는 깔고)
각얼음은 낚시점에서 개당 천원밖에 안하니 맛있는 횟감을 위해 이천원 투자는 하나도 아깝지 않지요. 이게 싯가로 얼마짜리 회인데 ㅎㅎ


4. 살림망을 깔고 그 위에 잡은 고기를 얹는다.
이 방법은 이날 같이 출조했던 '맨땅의헤딩'님께서 알려주신건데요. ㅎㅎ
살림망있죠? 이것을 얼음위에 깔고 그 위에 잡은 고기를 올리시면 됩니다.
만약 살림망이 없다면 두꺼운 신문지에다 고기를 돌돌 마는것도 좋겠고, 헝겁이나 수건이 있다면 얼음위에 깔고 그 위에 얹어도 됩니다.


중요한건 고기가 얼음이나 물에 직접 닿게 되면 그 횟감은 망한다는 것입니다.
제 생각엔 위의 사진처럼 살림망위에 얹는게 가장 나이스해 보여요. 그리고 뚜껑을 닫으면 두개의 각얼음에서 내뿜는 냉기가
살림망을 통과해 아주 근사한 냉장효과를 낼테니깐요. 저는 집이 서울이라 남해권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6시간 이상 걸립니다.
그 시간 동안은 아주 안전하다고 할 수 있구요. 집에와서 열어보면 냉기 가득하고 얼음도 거의 녹아있지 않습니다.

이 상태에서 집에와서 회를 뜨면 이건 거의 활어회나 다름이 없습니다.
물론 수시간이 경과된 상태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활어회가 아닌 싱싱회가 됩니다. 그리고 포를 떠서 키친타올에 감싼뒤
이것을 냉장고에 보관하여 하루나 이틀 뒤에 썰어 드시면 그것이 바로 선어회가 됩니다.
활어회보단 육질이 쪼금 물러져도 쫀득하며 감칠맛이 활어회보다 배 이상입니다.


피를 제대로 빼지 못한 횟감
이것은 일전에 잡았던 45cm급 감성돔인데 한쪽 포만 떠 놓은 것입니다.
보시다시피 근육이 붉죠? 이건 제때 피를 못빼서 횟감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입니다.
피가 근육으로 촘촘히 베어 들어갔기에 이것을 요리해서 드실려면 물로 한번 행궈줘야 합니다. 근데 아시겠지만 물로 행구면
그 순간 횟감으로써 생명은 끝입니다. 반대로 물에 행구지 않고 썰어드시면 비린내 작렬로 입맛을 배립니다.
그러니 이건 냉동실로 직행! 약 20일 정도 냉동된 것을 꺼내서 촬영해봤구요.
전 이걸 가지고 나중에 요리를 해서 선보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냉동실로 집어넣구요~



피를 제대로 빼낸 횟감
피를 제대로 빼면 이렇게 잡티 하나 없는 순백의 살점을 보이게 됩니다.
낚시로 잡은 고기 피를 빼야 하는 이유,  왜 중요한지 아시겠죠? ^^
생선회에 대해 관심이 많으시다면 "생선회 이야기"에서 더 많은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이야기는 여기까지 할께요. ^^

출처 : http://slds2.tistory.com

생선회 구별방법 노하우

앞으로 생선회에 대한 포스팅을 조금 하게 될텐데요. 오늘은 생선회를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제가 생선회 구별방법과 관련하여 아는 지식을 총 동원하여 설명을 드리겠
지만 그 전에 자료조사를 해봤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하면서 느낀점은 생선회를 구별함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게 바로 '선명한 사진'과 '설명'
인데요. 이 부분에 대해선 조금 아쉽더라구요.
그래서 이번 시간엔 회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물론 생선회 초보분들도 알기 쉽게 사진과 함께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오늘 포스팅을 유심히 보신다면 다음에 횟집가서 지인들 앞에서 아는 척
도 할 수 있을줄 믿습니다. ^^;

 *카테고리 관련 글*

 ☞ 사시미와 스시 때문에 일본을 못따라가는 한국
 잘못먹으면 큰일나는 여름철 생선회와 고래회충 예방법
 우리가 잘못알고 있는 수산물 명칭들
 최고의 생선회!!! - 낚시꾼이 손꼽는 가장 맛있는 생선회는?



 








생선회 구별방법 노하우



조피볼락(우럭)과 넙치(광어)의 대량양식이 이뤄졌던 80년대 중반부터 우리 국민들에게 생선회는 또하나의 주목받는
외식산업으로 성장을 해온건 사실입니다. 그것은 소득수준의 향상뿐 아니라 생선회가 건강에 좋은 웰빙식품이라는
인식이 있어서 생선회 소비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고기류에 비해 아직까지도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이유는 "생선회는 비싸다"라는 인식과 함께 "생선회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그렇게 심도깊은 "미각"을 느끼면서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는 일본처럼 혀끝으로 고소한 맛을 느끼는 "붉은살 생선" 선호도가 아닌 쫄깃하게
씹힘성이 좋은 "흰살 생선문화"를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생선회 문화가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복잡한 유통과정"
을 통해 소비자에겐 늘 부담스러운 가격으로 제공이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여기에 일부 업소들이 각종 편법(원산지, 어종, 무게 속임)을 써오기도 하고 있으며 지금도 규모가 있는 수산물 시장에선 이러한 일들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여기에 속지 않으려면 "아는것이 힘" 입니다만 생선회와 관련한 전문적인 정보가 부실하다는 점도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생선회 관련 내용중 일부로 "생선회를 구별하는 방법"을 소개하면서 각각의 어종들이 가지는 특색을 알아 놓으셨다가
맛을 음미하신다면 생선회를 즐기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생선회 이름 알고 먹자

모듬회에서 나오는 생선회 명칭 알고 드시나요?
아마도 나오는 횟감의 종류를 모르고 드시거나 메뉴판을 보고 모듬회를 시키긴 했지만 딱히 생선회 종류를 구별하지 않고 드시는 분들이
태반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의아했던건 우리나라 국민들이 지금 내가 구입하고 있는 쇠고기의 등급은 몇 등급인지, 
고기의 부위는 어떤건지에 대해선 관심이 많은데 비해 생선회의 종류나 부위에 대해선 육고기만큼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그래서 그런지 요새 왠만하면 정육점에서 원산지와 부위를 속여 팔거나 하진 않은거 같습니다. 물론 지금도 어디선가 속여파는 곳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과연 수산물만큼일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요새는 수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예전보다는 많이 나아졌다지만 그래도 이래저래 불신이 있는건 사실입니다.
우리나라가 생선회 식문화를 한층 더 끌어 올리려면 국민들의 관심도 필요하겠고 그만큼 수산물 정보도 많아져야 한다고 봅니다.




이렇게 모듬회가 나오게되면 각각의 어종을 알아두셨다가 드실 때 맛을 음미하신다면 큰 차이는 아니더라도 각각의 어종이 가지는
고유의 맛을 느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 생선회 구별방법에선 우리 국민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생선회를 중심으로
설명을 드릴께요.
위의 사진에서 생선회는 좌우대칭으로 코디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어종별 명칭 참고하세요.

 1번 : 점성어(홍민어)뱃살
 2번 : 도미(참돔)숙회인데 일반적으로 도미 마스까와라고 불립니다.
 3번 : 넙치(광어)
 4번 : 농어
 5번 : 넙치(광어) 지느러미살인데 일반적으로 엔가와 혹은 엔삐라로 불립니다. (가급적 한국말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6번 : 연어
 7번 : 전복
 8번 : 황새치
 9번 : 조피볼락(우럭)



우럭회(좌), 광어회(우)

조피볼락과 넙치
흔히 우럭과 광어라 불리며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대표적인 국민횟감입니다.
동네횟집에서 모듬회를 시키더라도 우럭, 광어가 가장 많은데요. 이것을 구별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
일단 이 둘은 대표적인 흰살생선이면서 우럭은 검은 표피가 붙어있는게 특징이고 광어는 희고 윤기가 있는 살점위에
희미하게 연분홍색 혈합육이 빗살무늬처럼 그어져 있습니다.
광어의 연분홍 살점은 아주 연해서 희끄무리한 편이며
크면 클 수록 그 색깔은 도미처럼 진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보통 횟집에서 먹는 광어는 1Kg전후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 위의 사진처럼 연한 분홍색을 띄고 있습니다. 이렇게 우럭과 광어회의 특징 잘 알아두셨다가 각각의 맛의 차이가 어떠한지
음미해보시기 바랍니다.



2번 도미 숙회(좌), 1번 점성어 뱃살(우)

도미와 점성어
도미는 "돔"의 준말로 참돔과 감성돔, 돌돔등 농어목 도미과에 해당되는 어종을 모두 지칭하지만 우리가 횟집에서 "도미"라고
메뉴에 써붙인 것은 거의 대부분 "양식 참돔"을 말합니다. 좌측은 도미 숙회로 껍질채 썰어서 뜨거운 물을 붓거나 토치로 살짝 익혀서 낸것이고,
우측의 점성어 뱃살은 99% 중국산 양식으로 단가가 낮고 말라카이트그린등의 유해한 성분이 있어서 저급 생선회에 속합니다.
점성어의 표준명은 홍민어인데 이것을 "민어"로 속이거나 "도미회"로 둔갑해서 팔리기도 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위의 사진에서 도미를 숙회(마스까와)로 처리하지 않고 그냥 냈다면 과연 회의 때깔만으로 구분이 가능할까요?
일반손님들은 구분을 절대 할 수 없습니다.



칼로 긁은 자국(녹색)과 힘줄(붉은색)

사실 점성어의 적색 혈합육은 참돔에 비해 진해서 판별이 가능할만도 한데도 어려운 이유는 조리사가 칼로 혈합육을 긁어서
연하게 만드는 잔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사진에서 녹색 화살표를 보시면 칼로 긁어서 혈합육을 일부 제거한 흔적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테크닉(?)구사로 인해 사실상 도미회와 점성어회의 구분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세히보면 하얀 힘줄(적색 화살표)이 보이시죠?
이러한 힘줄이 도미보다 뚜렷하기 때문에 이것으로 구분이 어느정도 되고 있으며 회를 집어 양손으로 잡아 당겨보면 도미는 쉽게 찢어지는데
비해 점성어는 고무줄과 같은 탄력을 지녀서 쉽게 찢어지지 않습니다.
씹힘에 있어서도 이 둘은 구분이 되는데 참돔은 입에 넣고 몇 번 씹으면
목구멍으로 스르륵 넘어가지만 점성어는 약간 질기기 때문에 질겅거리는 식감으로 입안에서 맴도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낚시로 잡은 참숭어(밀치)회

심지어 숭어를 도미라고 속이는 업체도 발각되었는데 숭어의 적색육은 앞서 소개한 도미와 점성어보다 더 빨갛고 진하기 때문에
충분히 육안으로 구별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숭어나 점성어를 도미로 둔갑해서 파는 이유는 단가의 차이 때문인데 양식 참돔 한마리 가격으로 숭어나 점성어를 더 많이 살 수 있고
또 워낙 크기 때문에 살점도 훨씬 많이 나와  업소에선 몇 배의 이득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A업소의 광어회(좌), B업소의 광어회(우)

넙치(광어)회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생선회가 바로 광어인데요. 전체 생선회 선호도 중 광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53.1%,
우럭은 16.9%로 조사되었습니다. 그 다음이 참돔(도미) 9.3%인데 그만큼 광어는 한국인의 대표횟감으로 손색이 없는 아주 대중적인 횟감입니다.
이 광어회는 어떻게 써느냐에 따라 달라보여서 혼동이 갈 수 있는데요, 사진에서 보다시피 희고 윤기가 흐르는 살점위에 아주 엷은
분홍빛이 흐른다는게 광어회의 특징입니다. 그리고 B업소처럼 두툼하게 썰어낸 경우 저렇게 단면에 흰 심줄이 보이는데 이것이
씹힘성을 좋게하는 근간이 됩니다. 대체적으로 우럭의 씹힘성이 광어보단 한수 위지만 이 둘다 크기가 크면 클 수록 지방층이 두터워져
씹을수록 고소하고 찰진 맛을 느끼게 되구요. 광어는 부위별로도 맛이 다르고 성장상태에 따라 다르며 개우럭(50cm이상의 큰 우럭)을 
구하는것 보다 대광어(60cm이상 큰 광어)를 구하는게 좀 더 쉬운편이여서 미식가들에게도 선호받는 어종입니다.



A업소의 농어회(좌측), B사의 농어회(우측)

농어회
위의 사진만 놓고본다면 이것이 같은 농어인지 분간하시기 힘들것입니다.
하지만 농어의 특징만 알아두신다면 다른 회들과 구별이 쉬운 편인데요, 우선 농어회를 육안으로 봤을때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 함은
살점을 자세히 보면 검은 실핏줄이 미세하게 퍼져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A업소의 농어회는 등살이며, B업소의 농어회사진 중 맨아랫 살점은 광어회니 참고하시고 위의 3개의 살점은 농어를 두껍게 썰었을때의
모양인데 희고 윤기가 나는 광어와는달리 탁하고 불투명한 흰살위에 거뭇거뭇한게 특징입니다.



낚시로 잡은 50cm급 자연산 농어(노란선 표시)

하지만 자연산 농어의 경우 검은 실핏줄은 없으며 희고 윤기가 난다는 점에서 양식 농어와 구별됩니다.
자연산 농어를 드실땐 이러한 특징을 잘 알아두시구요. 다만 아무리 자연산 농어라도 수조에서 오랫동안 있을 경우 스트레스를 받아
소위 살점에 '피멍'이 든다하여 검은 실핏줄이 엄청나게 많이 퍼지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이런경우는 자연산 농어라 하더라도 그 맛과 의미는 많이 퇴색이 될 수도 있으니 이런 경우 차라리 온전한 상태의 양식 농어가 나은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곳은 제가 갠적으로 좋아하는 횟집에서 나온 서비스 회 인데요.
1번은 광어, 2번은 농어등살, 3번은 광어 지느러미살입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1번의 광어회는 위에서 소개한 광어와 때깔이 약간 다른데 연한 분홍색 혈합육이 마치 도미처럼 선명하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수조를 보니 대광어까진 아니지만 꽤 큰 광어를 사용하더라구요. 광어는 크면 클 수록 혈합육이 선명해져서 나중엔 도미와 착각할 수도
있을 정도니깐요. 2번은 농어의 등살부위인데 아주 두툼하고 거뭇거뭇한게 한눈에 봐도 적잖은 사이즈임을 알 수 있습니다.
3번은 광어 지느러미살인데 아래 사진을 보고 설명드릴께요.



A업소의 광어 지느러미살, B업소의 광어지느러미살

광어 지느러미살은 일어명으로 엔가와 혹은 엔삐라(방언)로 불리는데 가장 운동량이 많은 지느러미에 붙은 근육이라 쫄깃하면서도
지방이 많아 가장 고소한 맛을 내는 부위입니다. 이것이 느끼하다며 싫어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요.
우리가 광어회를 먹을때 보통은 A업소처럼 나올겁니다. 광어 지느러미(엔가와)만을 세로로 썰어내서 길게 뽑아낸것입니다.
그런데 B업소의 경우 가로로 썰어내서 광어살(파란색)과 지느러미(붉은색)를 함께 먹을 수 있도록 한것입니다.
마치 삼겹살의 살코기와 지방이 함께 조화를 이룬것 처럼요. 이렇게 썰어내면 지느러미살이 너무 느끼해하시는 분들에겐 좋아 보이며,
반대로 지느러미살 고유의 맛을 느끼고자 하는데는 단점으로 작용이 되겠죠. 이것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취향에 따른것이니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광어회를 좀 더 고소하게 맛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모듬회를 준비했습니다. 이것을 전부 알아맞추면 당신은 생선회 고수 ^^*

 1번 : 참돔 뱃살 (아주 고소합니다.)
 2번 : 참돔 등살 (아주 담백합니다.)
 3번 : 광어 지느러미살과 함께 썰어낸 광어회 (깔끔하고 고소한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습니다.)
 4번 : 광어회 (깔끔하고 담백합니다.)
 5번 : 참돔 등살 숙회 (껍질의 쫄깃함이 살아있어 씹힘성이 좋습니다.)
 6번 : 참돔 뱃살 숙회 (등살과 뱃살의 차이는 껍질의 색으로 구분 가능합니다. 쫄깃하면서 고소합니다.)
 7번 : 사진에 표시하진 않았지만 전복위에 있는 붉은살 4점은 참치대뱃살(오도로)입니다. 정말 혓바닥이 행복해합니다. ㅎㅎ


마치며..
이것으로 생선회를 구별하는 방법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비록 사진상에서 조명이 어둡거나 색이 있어 100% 회 고유의 때깔을
표현하는데엔 한계가 있었지만 제 사진과 설명으로 어느정도 이해를 하셨다면 그것으로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우리가 대부분 먹는 모듬회는 우럭, 광어, 도미, 농어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적어도 이 네가지는 정확하게 판별을 하셔서 각각의
어종에 대한 고유의 맛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더 나아가 뱃살이냐 등살이냐까지 구분을 해주면 금상첨화겠지만요 ^^; 
생선회도 알고 먹어야 맛있는 법!  생선회 구별방법 꼭 기억해두셨다가 횟집가서 유심히 보시면 재밌는 식사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출처 : http://slds2.tistory.com/

감성돔 회뜨는방법(회뜨는법)

오늘 감성돔으로 회뜨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저도 회뜨는 법을 터득한지 얼만 안된 초보입니다.
그냥 혼자서 독학하다 보니 일식에 종사하는 분들이 보기엔 여러가지로 엉망인데요. 오늘 소개해 드릴 회뜨는
방법은 아주 나이스하진 않지만 낚시로 잡은 고기를 스스로 회를 쳐서 먹을 수 있는 수준은 될 것이라 생각하고
올려보도록 할테니 처음 회뜨기를 시도하시는 분들에게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카테고리 관련 글*

 낚시로 잡은 고기 피빼는 법(선도유지)
 참치부위와 참치종류, 알고 먹자
 동네횟집 봄 도다리의 불편한 진실
 ☞ 제철맞은 보리숭어와 가짜숭어, 뭐가 다를까?
 명품으로 탄생시킨 굴비, 진품과 짝퉁 구별법

 


 







낚시로 잡은 고기 회뜨는방법(회뜨는법)



오늘 회뜨는 방법은 어디까지나 방법론적인 내용일 뿐 이것을 봤다고 회가 금새 떠지진 않을겁니다. 
낚시로 잡은 생선을 회뜨는덴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 정도의 안내서구요. 아무래도 이런건 사진으로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동영상을 보는건데 제가 다음에 고기를 잡으면 동영상을 찍어서 올려보도록 하겠구요. 오늘은 회뜨는 방법에 대해 요청하시는
독자님도 계시고 해서 급한대로 사진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아마 이것을 본다고 해도 경험이 적으면 뼈를 잘못발라 살이 로스가 되는 실수를
많이 하게 될 것입니다. 또 생선회뜨기란 그런 시행착오를 여러번 거쳐야만 자기것으로 습득이 될 테니깐요.
여러가지 회뜨는(오로시) 방법이 있지만 오늘은 감성돔으로 회뜨는 방법을 대략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오늘 회뜨는 방법은 지난 시간에 했었던 낚시로 잡은 고기 피빼는 법(선도유지) 의 연장선인데요. 낚시로 잡은 고기는 가급적 현장에서
피와 내장을 제거하는게 좋구요. 그렇게 가져온 것을 가지고 하였습니다.
먼저 비늘치기를 이용해 비늘을 벗겨줍니다. 낚시하시는 분들은 비늘치기 정도는 구비해 놓는게 좋아요.
작은 우럭이나 노래미는 칼로 긁어도 상관없지만 이렇게 큰 고기를 칼로 긁으면 칼날이 상할 수 있으니 가급적 비늘치기를 이용하구요.
긁다보면 비늘이 여기저기로 튀는데 이땐 물을 틀어주면서 하게되면 비늘이 튀는걸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칼집을 넣어야 할 부분은 특별히 신경써서 비늘을 쳐주세요. 나중에 비늘이 제대로 안쳐졌을 경우 칼이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날 수 있으니 비늘은 좀 꼼꼼하게 벗겨줍니다.


 

이제 몸통과 대가리를 분리해야 하는데 칼을 보심 알겠지만 오늘 감성돔 회를 칠 칼이 아주 부실합니다.
낚시방에서 2만원 주고 산 막칼인데요. 이것도 칼을 간지 좀 됐던거 같아요. 오늘 장비가 매우 부실하지만 열심히 떠보겠습니다.
다음엔 돈이 좀 들더라도 사시미칼 두가지 정도는 갖춰보도록 할께요. 열심히 벌어서요. ㅠㅠ


 

결국 칼이 안들어 집에 있는 식칼로 바꿨습니다만 거기서 거기로군요.. ㅠㅠ
암튼 설명을 드리자면 저 노란색 영역이 가마블록입니다. 참치회 드실때 가마살 알죠? 바로 저 가슴 지느러미가 속해 있는
삼각형 모양의 블록인데 여기 살이 쫀쫀하니 아주 맛납니다. 나중에 대가리와 함께 분리되면 소금 뿌려 구워 먹는데 맛이 아주 좋습니다.
일단 여기선 사진에서 보신대로 칼집을 넣는데 저렇게 칼을 수직으로 세워서 썰기 보단 살짝 뉘어서 칼집을 내면 저 부분에 붙어 있던
살의 손실을 약간이나마 줄일 수 있습니다. 사진처럼 저 상태 그대로 칼을 밀어 넣어서 대가리를 분리해 내시구요.


 

꼬리쪽부터 칼집을 내는데 너무 깊숙하게 찌르지 마시고 일단 자리만 잡아주는 형태로 내주시구요.
혹자는 저 생선을 반대로 뒤집어서 머리방향에서 꼬리쪽으로 칼집을 낸다고 하는데 그것도 상관없습니다.
어떤 방향이든 편한대로 하는게 좋습니다.


 

사실 제대로 오로시(살과 뼈를 분리해내는 작업)를 하려면 저 노란선 부분부터 칼집을 내서 조금이라도 살의 손실을 줄여야 합니다만
초보로선 지느러미와 인접한 곳부터 오로시를 들어가는게 쉽지 않을꺼예요. 그러니 그것은 회뜨는게 익숙해지면 차차 하시도록 하구요
지금은 약간의 텀을 두고 칼집을 넣었습니다.


 

칼집을 넣고 나서 뼈와 살을 분리해 낼때 주의 사항은 칼을 수평에 가깝게 뉘이되 칼날 부분은 살짝 아랫방향으로 틀어서
가운데 척추뼈를 문지르면서 슥슥~ 긁어줘야 합니다.


 

이때 칼을 세워서도 안되고 너무 뉘이게 되면 저렇게 살점이 로스가 되요.(파란색 표시) 그러니 칼을 수평으로 뉘여면서 칼날방향은 살짝
아래로 향해(노란색 표시) 척추뼈를 충분히 느끼면서 거의 오린다고 하죠. 살을 오리는 기분으로 하는데 하시다보면 칼날이 뼈에 닿으면서
따다다닥~ 하고 마찰음이 날텐데 그렇게 하면 살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지금 칼이 들어온 곳까지 오로시 작업을 했다면 더 이상 칼이 안들어 갈 것입니다.
내장을 감싼 갈비 부분이니 칼로 내리쳐서 뼈를 분지른다 생각하고 잘라버리세요.


 

갈비뼈 부분을 힘으로 끊어 버리듯 해서 포를 분리시킵니다.
반대편도 똑같은 방법으로 분리해 내시구요.


 

이제 갈비뼈를 발라야 하는데 뼈가 있는 근처(노란선)를 살짝 그어주신 후
칼을 뉘여서 갈빗대를 발라줍니다.


 

이런식으로 갈비를 제거하시구요.
사진은 제가 실수로 갈비를 포함해서 살이 많이 떨어져 나갔어요. 양해를 ㅠㅠ
맨날 작은것만 뜨다가 큰 고기를 떠본건 첨이라 좀 어색합니다. ㅋㅋ


 

이제 껍질을 벗겨야 하는데 지금 보시는 사진은 등살과 뱃살을 분리하지 않고 그냥 통째로 벗길려고 합니다.
보통은 꼬릿쪽 살을 아주 살짝만 잘라 칼이 들어갈 자리를 만드는데 저는 그냥 한입거리로 떠버렸어요.


 

그리고 나서 껍질 벗기기를 시도합니다.


 

껍질을 벗길땐 저렇게 왼손을 들면 안되요. 저렇게 들게 되면 껍질이 칼날에 직접적으로 닿게되면서 그대로 잘려나갈 수 있습니다.


 

그러니 최대한 왼손을 낮춰서 바닥에 붙여주세요. 사실 사진보다 더 내려야 합니다.
껍질이 도마에 닿아야 해요. 그 상태에서 칼을 사선으로 뉘인 상태에서 껍질을 뒤로 잡아 당겨주듯 하면서 슥슥~ 문지르면
쉽게 벗겨낼 수가 있습니다.


 

이제 등살과 뱃살을 분리하면서 "지아이"를 제거해야 합니다.
"지아이"란 파란색으로 표시한 가시를 말합니다.


 

포를 뜬 살 한가운데 "지아이"가 있기 때문에 저렇게 파란색 영역을 분리해줘야 합니다.


 

반대편에서 본 모습이구요. 이렇게 지아이 영역은 가시가 있어 회로 드실 순 없으니 매운탕에 넣거나 아니면 잘게 다져서
뼈 다대기를 만들어 드셔도 되구요.


 

이렇게 한쪽면을 뜬 모습입니다. 가운데는 "지아이"로 횟감으론 사용할 수 없구요.
근데 뭔가 제대로 되지 못한 기분이 드는데 제가 다음에 동영상으로 올리게 된다면 제대로 익혀서 올려보겠습니다. ^^;
여기까지 하셨다면 회뜨기는 거의 다 한 셈입니다.


 

마지막으로 먹기 좋은 두께로 썰어 드심 되는데 이것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어요.
지금 보시는건 칼을 수직으로 세워서 썰어내는 "히라쯔쿠리"이며..


 

칼을 뉘여서 얇게 썰어내는 "우스쯔쿠리" 가 있고 또 여러 방법들이 있는데 이러한 것은 제가 지금 포스팅 할 단계는 아닌거 같아요.



회를 뜨시면서 다양하게 실험해보시기 바랍니다. 두껍게도 썰어보고 얇게도 썰어보구요.
또 결대로 썰어도 보고 결 반대 방향으로 썰어도 보구요~ 어떻게 써느냐에 따라 분명 맛도 달라지니깐요.
그리고 활어 보단 숙성일 경우 얇게 뜨는게 용이한데 이때 칼이 잘 들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 그렇게 할려다가 살이 막 찢기더라구요.
생선회는 칼맛이란 말이 있잖아요. 일단은 칼부터 잘 들어야 합니다.
 
오늘은 회뜨는 방법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을 위해 이렇게 올려봤는데요. 제가 일식을 배운 사람이 아니고 그냥 낚시하면서 회 떠먹는 수준이라
아직은 많이 조악합니다. 조만간 일식집에서 오로시는 물론 회를 썰어내는 방법까지 배우고 난 다음 제대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도 뭐~ 이정도면 어디가서 낚시로 잡은 고기 회 떠먹는덴 그리 지장 없습니다. ^^
오늘 생선회 이야기는 여기까지구요. 조만간 마쓰까와, 유비끼, 히비끼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http://slds2.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