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번 가맹점명 주 소 위 치 전화번호 비고
1 화이트마트 여수시 공화동 1064 여수농협 동부지점앞 664-5870  
2 휴계소마트 여수시 공화동 1291 여수중 입구 큰대로변 664-4005  
3 신진사 여수시 공화동 690 여수고 입구 662-5169 충전임시중지 
4 DC백화점 공화점 여수시 공화동 718 여수여고 앞 665-2552  
5 관문청과 여수시 관문동 679번지 알파약국 옆 662-0908  
6 관문동 가판대 여수시 관문동 999 서전안경원 앞 662-3522  
7 대양서림 여수시 교동 177 롯데리아 부근 662-2111  
8 신나라레코드 여수시 교동 394 교동오거리 부근 664-0877 층전임시중지 
9 승차권매표소 여수시 교동 511 중앙쇼핑센터 건너편 665-8390  
10 가판대 여수시 교동 662-10 대선약국 앞 664-6094  
11 신명마트 여수시 국동 655 국동주택단지 입구 643-6645  
12 아트팬시 여수시 덕충동 1647-4 중앙여고 앞 666-2208  
13 돌산읍사무소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 민원실 690-2601  
14 돌산읍 우두출장소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695-1
민원실 690-2629  
15 하이츠슈퍼 여수시 둔덕동 434-5 하이츠아파트 맞은편 651-6070  
16 일레븐마트여문점 여수시 문수동 191 흥화아파트 입구 653-3060  
17 화신약국 여수시 문수동 452번지
1-7로
부영9차 앞 654-1155  
18 DC백화점문수점 여수시 문수동 82-6 성당 아래 여문초등학교 입구 건너편 653-6969  
19 미광문구사 여수시 미평동 581-4 미평초등학교 입구 육교 앞 653-0006  
20 청경마트 여수시 미평동 756-7 전남대 여수캠페스 정문 앞 654-2300  
21 DC백화점 선경점 여수시 미평동 선경3차상가 807 선경3차 상가내 652-3195  
22 서시장 버스표매표소 여수시 서교동 280-152 서지장 육교 옆 643-0080  
23 금진슈퍼 여수시 서교동 464 서시장 건너편 육교 앞 642-4564  
24 서교가판대 여수시 서교동 576 전신전화국 건너편 643-2212  
25 천앤디씨 여수시 선원동 1244-2 무선초등학교 입구 승강장 앞 682-1669  
26 알리바이 여천점 여수시 선원동 150-51 신동아파밀리에 정문건너
승강장 앞
684-7142  
27 여양문구사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1051-31 덕양삼거리 앞 683-9101  
28 삼남마트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1309-1 덕양 시외버스정류소 앞 683-8380  
29 e편한 안경콘택트 여수시 신기동 110-15 부영3단지 파리바게트 옆 682-2223  
30 대원슈퍼 여수시 신기동 3-2 신기주공 2단지 상가(시너스 극장 건너편) 682-5545  
31 고려제과 여수시 신기동 38-21 신기주공 4단지 앞 683-0127  
32 알리바이 여서점 여수시 여서동 215-6 구 송원백화점 정문 옆 652-1281  
33 일레븐마트 여서점 여수시 여서동 239-2 금호아파트 밑 사거리 앞 653-7550  
34 책방가을문고 여수시 여서동 452-2 부영6차 상가 맞은편 652-3071  
35 대양서림(여서점) 여수시 여서동 491-2 여서동로타리 버스정류장 앞 654-2111  
36 즐겨찾기 여수시 여서동 491-8 1층 원마트 옆 653-1544  
37 이노티안경원 여수시 오림동 398-11 이마트 옆 654-3479  
38 명동슈퍼 여수시 오림동 406-12 이마트 입구 652-3943  
39 율촌면사무소 여수시 율촌면 조화리 211 민원실 690-2603  
40 승차권판매소 여수시 중앙동 748번지 1-5 선미제과 앞 662-5478  
41 홈마트 여수시 중흥동 583-4 삼일동주민센터 앞 686-5267  
42 시청민원실 여수시 학동 100 시청 민원실내 690-2580  
43 학동승차권매표소 여수시 학동 134 신동아파밀리에 후문 앞 681-2178  
44 좋은선물 여수시 학동 44-3번지 학동 사거리 제일병원 건너편 682-2755  
45 DC백화점거북점 여수시 학동 51-10 신동아파밀리에 후문 문구센타 옆 691-2844  
46 잉크충전방 여수시 학동 61-107 도원사거리 부근 이레상가 1층 684-5248  
47 풍년농약사 여수시 화양면 나진리
436-6
화양면사무소 앞 683-6336  
48 화동편의점 여수시 화양면 화동리 775 화양초등학교 앞 682-6567  
49 미니스톱(관문점) 여수시 관문동 경찰서맞은편 662-1036  
50 훼미리마트(국동점) 여수시 국동 543 국동대주아파트 입구 643-6645  
51 미니스톱(문수제일점) 여수시 문수동 187-6 여수양문교회 건너편 651-1213  
52 미니스톱(문수점) 여수시 문수동 82-2 부영2차아파트 건너편 652-6750  
53 훼미리마트(채플린점) 여수시 문수동 128 기아자동차 건너편 654-4484  
54 훼미리마트(미평원룸점) 여수시 미평동 675-5 미평동주민센터 부근 654-8838  
55 훼미리마트(전대점) 여수시 미평동 756-1 양지초교앞 654-3540  
56 미니스톱(양지점) 여수시 미평동 759-7 선경3차아파트 입구 부근 654-2663  
57 주공할인마트 여수시 미평동 미평주공아파트 상가 652-0314  
58 동백마트 여수시 봉강동 279 온예찬교회 옆 643-0510  
59 훼미리마트(봉산점) 여수시 봉산동 222-2 봉산초교 입구 교차로 부근 686-7300  
60 훼미리마트(선원점) 여수시 선원동 1278-7 쌍용서비스 프라자 부근 684-6464  
61 썬마트(소호점) 여수시 소호동 443-4 소호요트경기장 건너편 682-0048  
62 미니스톱(좌수영점) 여수시 신기동 109-7 부영3단지사거리 교차로 681-2773  
63 훼미리마트(햇살점) 여수시 신기동 13-1 신기주공4단지 입구 691-1087  
64 미니스톱(여서점) 여수시 여서동 213-6 여서동사거리  654-5297  
65 미니스톱(여문점) 여수시 여서동 220-8 삼성의원 건너편 652-8355  
66 훼미리마트(해양점) 여수시 종화동 1209 여수구항해양공원 건너편 662-3006  
67 전남가판대 여수시 중앙동 453 중앙동로터리 서독안경원 옆 664-6420  
68 가판대 여수시 충무동 충무동 663-6996  
69 훼미리마트(중앙점) 여수시 학동 96-8 여수소방서 뒷편 691-9931  
70 훼미리마트(화장점) 여수시 화장동 797-12 쌍용서비스 프라자 부근 685-2866  
71 훼미리마트(무선점) 여수시 화장동 733-1 성서교회 건너편 686-8836  
72 주공한아름마트 여수시 화장동 무선주공3차상가 681-7799  
73 GS25여수돌산점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1032-7 돌산청솔1차A 건너편 644-8922
74 GS25돌산환영점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707-3 우두리 새마을금고 건너편 644-8579
75 GS25여수태양점 여수시 둔덕동 490-1 선경볼링장 건너편 652-5757
76 GS25여수한려점 여수시 둔덕동 654 한려주공A 상가 653-8253
77 GS25여수둔덕점 여수시 봉계동 33-8 여도중학교 입구 692-3235
78 GS25여수공단점 여수시 봉계동 457-1 주삼동주민센터 건너편 681-3235
79 GS25여수봉산점 여수시 봉산동 276-20 수산물종합판매장 건너편 641-9041
80 GS25여수선원점 여수시 선원동 1256-7 남양1차A 입구 692-2500
81 GS25여수신동아점 여수시 선원동 150-45,44 여천 신동아파밀리에A 입구 건너편 681-5025
82 GS25소호한화점 여수시 소호동 1199-7 소호초등학교 입구 건너편 686-0848
83 GS25여수오동도점 여수시 수정동 245 2012여수세계박람회 홍보관 건너편 662-3456
84 GS25여수소호점 여수시 안산동 722-8 안산중학교 입구 삼거리 부근 681-2136
85 GS25여수하늘점 여수시 여서동 218-4 여서주공1차A 입구 부근 655-3235
86 GS25여수여서점 여수시 여서동 228 여서농협 옆 654-8897
87 GS25여수석창점 여수시 여천동 382-4 바다주유소 옆 684-1348
88 GS25여수산단로점 여수시 월하동 1164-4 콜롬비안케미컬즈코리아 옆 681-6654
89 GS25해양공원점 여수시 종화동 458 평민교회 옆 665-2545
90 GS25여수선소점 여수시 학동 182-11 선소유적지 입구 건너편 682-2510
91 GS25여수안산점 여수시 학동 196-10 LG화학안산사택 입구 건너편 691-2526
92 GS25여수진남점 여수시 학동 38-1 여수교육청 옆 692-2425
93 GS25여천점 여수시 학동 4-12 진남의원 건너편 691-5634
94 GS25여수쌍봉점 여수시 학동 51-8 여천 신동아파밀리에A 115동 건너편 692-5407
95 GS25여수학동점 여수시 학동 92-5 여수시선관위 부근 682-0250
96 GS25여수무선점 여수시 화장동 787-6 엑스포사우나 건너편 665-0590
97 GS25여수고인돌점 여수시 화장동 841-8 여수선사유적공원 앞 691-1153
98 GS25여수화장점 여수시 화장동 842-7 성산공원 건너편 691-3367
99 GS25여수산단점 여수시 화치동 1326 흥국사 원동천계곡 부근 686-6433
100 GS25여수화치점 여수시 화치동 1328 여수산단점주유소 옆 681-4278
101 중부민원출장소 여수시 여서동 222 민원실 690-2821
102 소라면사무소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1084 민원실 690-7405
103 동문동 주민센터 여수시 관문동 517 민원실 690-7435
104 한려동 주민센터 여수시 수정동 480-4 민원실 690-2609
105 중앙동 주민센터 여수시 중앙동 30 민원실 690-2610
106 충무동 주민센터 여수시 연등동 234 민원실 690-7447
107 광림동 주민센터 여수시 광무동 44-1 민원실 690-2612
108 서강동 주민센터 여수시 서교동 828 민원실 690-2613
109 대교동 주민센터 여수시 봉산동 251-30 민원실 690-2614
110 국동 주민센터 여수시 국동 505 민원실 690-2615
111 월호동 주민센터 여수시 신월동 28-1 민원실 690-2616
112 여서동 주민센터 여수시 여서동 주민센터길 18 민원실 690-2617
113 문수동 주민센터 여수시 문수동 161-5 민원실 690-2618
114 미평동 주민센터 여수시 미평동 671 민원실 690-2619
115 둔덕동 주민센터 여수시 미평로 331 민원실 690-2620
116 쌍봉동 주민센터 여수시 학동길 13 민원실 690-2622
117 시전동 주민센터 여수시 신기동 73-8 민원실 690-2623
118 여천동 주민센터 여수시 선원동 221 민원실 690-2624
119 주삼동 주민센터 여수시 주삼동 289-1 민원실 690-2625
120 삼일동 주민센터 여수시 중흥동 600 민원실 690-2626

"집 살때 위반건축물 여부 확인하세요"

앞으로 건축물대장만 떼어보면 위반건축물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건설교통부는 15일 수요자들의 편의를 위해 건축물대장에 위반건축물 여부를 첫머리에 표기하는 등의 내용으로 '건축물대장의 기재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칙'을 개정, 공포한다고 밝혔다. 새 규칙은 2월1일부터 시행된다.


새 규칙에 따르면 그동안 기타 변동사항에 기재돼 눈에 잘 띄지 않았던 위반건축물 표시를 첫장 오른쪽 상단에 기재토록했다. 이에 따라 수요자들이 집을 구입할 때 건축물대장만 떼어보면 위반건축물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건교부에 따르면 현재 위반건축물은 전체 건축물(640만동)의 2.7% 수준인 17만2932동이다. 위반건축물에 대해서는 시정이 될 때까지 이행강제금을 부과한다.


이와 함께 건축물대장 관리를 정보화해, 법원 등기소에서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치면 관련정보가 지자체로 넘어가 건축물대장에 반영되도록 했다.


바뀐 건축물대장은 시군구 홈페이지와 전자정부 민원포털을 통해 손쉽게 열람, 발급 받을 수 있다. 다만 평면도는 범죄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야 열람할 수 있다.


■건축물대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항


-대지에 관한 사항

 위치, 면적, 용도지역, 배치도, 관련지번

-건축물에 관한 사항

 평면도,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및 용적률, 구조, 높이, 부속건축물 현황

-건축물 소유자 현황

 소유권 지분 및 변동내역

-건축관련 사항

 설계자, 감리 및 시공자, 건축허가일자, 착공 및 사용승인일자

-기타사항

 위반건축물 여부



 <저작권자ⓒ이데일리 - 1등 경제정보 멀티미디어 http://www.edaily.co.kr>




집 살때 건축물 대장 확인하세요

소유권 변동·위법건축물 여부 확인 가능


앞으로 집을 구입할 때에는 건축물대장만 확인하면 소유권 변동정보는 물론 위법건출물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건설교통부는 건축물 대장의 관리 절차를 명확히 하고 정보시스템을 통한 관리를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건축물 대장의 기재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칙’을 개정해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개정 규칙에 따르면 건축물 대장의 첫면 우측 상단에 무허가, 위법시공, 무단용도변경 등 건축물의 위반사항을 기재하도록 해 민원인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했다.

지금까지 지자체는 위법사항 기재와 관련해 명확한 규정이 없어 맨 뒷 페이지에 참고사항 등으로 기재해 왔다.


또 법원 등기소에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건축물은 지자체의 건축물 대장에 전산으로 자동 반영하도록 했다.


한편 5년 계획으로 추진돼 온 ‘인터넷 건축행정정보시스템’이 올해 말 보급되면 건축물 대장의 관리가 더 효율적으로 이뤄져 건축 인허가 기간이 60일에서 15일로 단축될 것으로 건교부는 전망하고 있다.


<자료원 : 서울경제 : 2007/01/15>

아무리 폭락해도 이런 주택은 좋다 


미국경제 불안으로 세계 경제 전반이 침체의 늪으로 빠져 들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불황으로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의 대폭락을 예견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대폭락 여부에 대한 논란의 수준을 넘어서야 합니다. 그런 논란보다 이런 불황에서도 후회 없이 선택할 수 있는 '내 집 마련 선택 기준'에 대해 이야기해야 합니다.


분양가 이하나 제로 프리미엄 분양권이 시장에 출회해 주택시장이 갈수록 어려워도 '이런 주택'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주택 가격이 앞으로 혹자가 말하듯이 폭락해도 지금 우리는 삶의 공간으로서 가능한 한 어떤 주택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무리 폭락해도 이런 주택은 좋다'는 선택의 기준으로 나름대로 다음 네가지를 꼽아보겠습니다. 

1. 주택 공사, 토지공사와 관련된 아파트.

2. 대기업이 회사의 땅에 자체 브랜드로 건설하는 아파트.

3. 대단지로 접근성.편의성.학군.쾌적성을 두루 갖춘 아파트로 중 소형이며 환금이 유리한 아파트.

4. 기존 주택은 경매나 공매 아파트를 꼽아 보겠습니다.


이를 내 집 마련의 선택 기준으로 활용 하시고 주택시장의 소위 호 · 불황에 연연 하지 말고 내 집 마련을 계획한 한해 전, 반년 전의 마음을 계속 견지 하시면 분명 좋은 기회를 만날 것이라 확신 합니다.


먼저 1번 주택공사에서 지은 아파트국가에서 보증하는 견실한 아파트로 부도의 위험이 전혀 없는 게 큰 장점입니다.

주공 아파트라도 앞으로 분양가 이하로 떨어 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양가 수준으로 회복은 그리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을 것입니다.

또 토지공사와 관련된 아파트 예를 들어 동탄신도시의 '메타폴리스'나 아산신도시의 '펜타 포트'같은 곳은 토지공사가 은행과 건설업체와 컨소시엄을 형성해 건설하는 아파트로 부도위험이 없음은 물론 각개 신도시의 중심인데 현재 '제로 프리미엄'의 상황이라고 합니다.


서울이나 남부 수도권에 거주하며 이들 신도시를 겨냥한 사람은 한번쯤 이런 기회의 활용 여부를 고민 해 볼 만 합니다. 지난해 분양당시 인기였던 이 아파트를 필자가 이런 불황의 시기에 예로 드는 것은 독자와 생각을 나눠 보자는 의도이지 결코 특정 아파트를 선전하는 것은 아니며 주변을 돌아보면 더 좋은 아파트를 만나 고민 할 수 있다는 점을 더 강조합니다.


다음 2번 대기업 자체브랜드의 경우부도 위험이 없고 관심을 가지고 계속 체크해 볼 만 합니다. 예를 들어(특정 아파트의 거명은 1번과 같으므로 변명은 생략 합니다.) 인천에 사시는 분이면 '한화 에코메트로'를 주시해볼 만합니다.

이 아파트는 한국화약 토지이며 한화건설의 자체브랜드를 사용하는 대 단지로 건설 중 잘못될 염려가 없어 분양권 가격 추이를 점검 해 볼 만 합니다.


3번은 누구나 알고 있는 내용입니다. 필자가 이들 내용을 굳이 한 번 더 들먹이는 것은 이 내용이 지금의 시장 상황에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자녀 교육이 우선이라면 학군에 가중치를 두고 다른 요소인 접근성 등에는 점수를 덜 줘 이 부분을 희생 시키는 선택을 해야 합니다.

어느 것에 가중치를 두느냐는 전적으로 각개 개인의 문제이며 신혼부부이면 환금성에 가중치를 더 둘 수 도 있습니다. 모든 것이 다 좋은 자신의 처지에 꼭 맞는 아파트는 없다는 것을 아는 것도 중요 합니다.


4번 경매와 공매로 내 집 마련을 하는 경우 위 3가지 기준을 접목해 보는 것이 가격 판단이나 기타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 합니다. 이미 오래 전부터 내 집 마련의 한 가지 방법으로 자리 잡아온 경 · 공매 분야는 특히 요즘 같은 시장 상황에서 고려해 볼 만 합니다.

경매나 공매라면 머리가 아픈 분야로 미리부터 겁을 먹거나 도외시하는 분이 있는데 이제 이 분야도 절차가 '크게 간소화'되고 권리관계 특히 아파트의 경우 '권리분석이 단순'하며 낙찰에서 입주까지 기간인 명도기간도 '그리 길지 않아' 한 번 도전 해 볼 만 합니다.

경 · 공매는 그 개념의 차이부터 틀려 일정량의 공부를 해야 합니다. 분양을 통해 신규 아파트를 사거나 중개업소등을 통해 기존 아파트를 사는 것 같이 이 분야도 내공이 꼭 필요함은 물론입니다.


이런 네 가지 선택 기준 중 하나를 정하거나 복합적으로 활용해 주변을 잘 살펴보면 한해 전 아니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꿈꿔온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단초를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 번 더 강조 하고 싶은 것은 아무리 상황이 어려워도 '꿈'을 포기하지 말고 계획 당시의 초심을 굳건히 견지하시라는 것입니다. 지난 주택 경기가 좋았던 시절 내 집 마련을 위해 온 힘을 쏟았던 그때로 되돌아가는 것입니다.


너무 기초적이며 상식 수준의 이 이야기를 다시 반복해 말씀드리는 이유는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는 시기는 군중 심리에 의해 내 집 마련에 대해 '손을 놓고 강 건너 불구경 하듯'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2 - 3분 만 숨을 못 쉬면 질식하는데도 공기의 귀중함을 모르듯 우리는 너무 일반적인 현상이나 흔한 것의 귀함을 망각하고 살아갑니다.

매입 시기에 대해 '내년 상반기 · 하반기'를 점치는 사람들이 있으나 이는 일반론이고, 그동안 주변을 잘 살펴 자신의 처지에 맞는 주택을 계속 찾아온 사람은 지금을 내 집 마련의 호기로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정부, 기업, 가계 등 각개 경제 주체들이 정부는 부동산시장연착륙을 위해, 기업은 살아 남기위해 가계는 자신과 가족의 행복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입니다.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다주택자 양도세, 개발 부담금을 제외하고 규제를 모두 제거 했고 기업(건설업체)은 '고분양가 비난', '기업 이미지 추락', '기존 계약자와 형평 문제'등으로 분양가를 낮추지 못했는데 이제 어떤 형태로든 분양가가 내려갑니다.

정부의 '미분양 아파트 매입'에 40% 하락 한 물건이 나올 수 있고 '미분양 펀드'가 활성화되면 펀드에 20%이상 내린 가격으로 파는 분양가 하향 조정 현상이 생길 공산이 큽니다. 기업은 지금까지 은밀히 내려온 분양가를 양지인 시장에 나오게 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연구 중 이라고 합니다.


이제 무주택자가 내 집 마련에 유리하도록 시장이 크게 변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사는 곳이나 점찍은 곳의 시장에서 눈을 떼지 않으면 '좋은 주택을 선택해' '꿈'을 이룰 수 있습니다.

 <자료원 : 부귀모 다음카페 강공석 2008.12.08>

토지 구입시 확인해야 할 자료 및 계약시 유의점

 
확인사항 확인 자료 비 고
면적확인 등기부등본
토지(임야)대장
ㆍ임야의 경우 상당한 면적 차이 있음
ㆍ'매매 대금의 지불은 실측 면적 기준'이라는   계약상의 약정 사항 제시
ㆍ일필지 일부의 거래의 경우 사후 실측에 의해   정산하도록 특약사항 둠
지목확인 등기부등본
토지(임야)대장
현장 확인 및 사진
ㆍ형질 변경 허가는 공부보다 현황 중요시
ㆍ현장 사진 통하여 공부상 지목과 현황 지목 비교
경계확인 지적대장
지적도(임야도)
현장 확인
ㆍ임야는 능선, 계곡, 도로, 하천 등을 기준으로 확인
ㆍ대상 토지를 인접 필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부분의   유무를 지적도 현황, 면적, 실측에 의해 확인
형태확인
(지형,지세)
지적도(임야도)
1/5,000 항측도
현장 확인
ㆍ용도 지역 변경을 수반하는 입지의 경우,   토지 형태에 유의
ㆍ지형은 지적도에 의하여 판단하되 상당히   불규칙한 경우 용도 변경 곤란하므로 구입 면적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좋을 듯 (매도자와의 합의 어려움)
인접도로
확인
지적도(임야도)
1/5,000 항측도
측량 도면
현장 확인
ㆍ인접 도로는 건축법과 관련, 허가 심사 기준이   중요
ㆍ인접 도로가 건축법상 기준보다 좁거나 대상
    토지가 맹지일 경우, 진입로 확보 후 매입하여야
지반의
형태와 구성
지적도(임야도)
1/5,000 항측도
지질도
ㆍ지반의 상태는 조성의 난이도 및 비용, 용수 개발,   건축시 지반의 견고성 등에 영향
체납 여부 등기부등본
제세 완납 증명서
기타납세 관련 자료
ㆍ재산세 등의 체납이 있는 경우, 등기부등본에 압류   등이 설정될 수도 있음.
ㆍ 본의 아니게 매수자에게 승계한 경우 있으므로   이에 대비한 약정 및 관계 관청에의 확인 필요
 
토지 매매가 결정 방법
감정평가액과 시가를 산술 평균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
 
감정평가액
- 감정 평가 법인에 의뢰해 토지의 조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가치를 판단하는 것
- 정부가 조사하는 공시 지가에 비해 현실적인 가격이 많이 반영된 가격  
 
시가
- 거래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거래되는 가격
- 보상시 : 정상적인 가격이지만 근거가 뚜렷하지 않아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려움. 단 기준이 명확하다면 근거 자료와 함께 제시할 수도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