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넷레코더는 동영상의 ip 주소를 추적하여 하드로 다운하는 방식 이었습니다. 그러나 소스가 바뀌거나 인터넷 환경이 불안하면 ip신호가 잡히지않아 저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에 캠타시아 스튜디오는 화면에 보이는 모든장면을 실시간으로 녹화하여 편집제작하는 기능을 지닌 영상제작 프로그램 입니다. 강의용 녹화는 물론이고 인터넷 상의 수많은 동영상과 게임영상, dvd 영상, 윈도우 미디어 재생기 등에서 나오는 모든 동영상 등을 가리지 않고 녹화 합니다.   아래는 캠타시아 레코더의 사용방법을 강의한 동영상 강좌 및 스크린샷 강좌 입니다.

 

1.  http://cafe.naver.com/pcfix/250     1강

2.  http://cafe.naver.com/pcfix/251     2강

3.  http://cafe.naver.com/pcfix/1476   3강

 

현재 캠타시아의 최종버전은 2007년 중순에 판매된 4.0 버전이며, 전체한글판은 3.0 버전이 많이 보급되어 있습니다. 이 제품은 저장된 동영상에 목소리와 배경음악을 삽입 편집할 수 있고 영상을 자르고 붙이며 다른형식의 동영상으로 컨버팅도 가능합니다[AVI-WMV-SWF 등] .. 또한 문자나 펜 으로 보드기능을 사용하며 표지제작도 가능한 강력한 프로그램 입니다.  아래 간단한 설정방법을 안내 합니다. 답변이 맘에 드시면 체택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정품 프로그램이 필요하시면 문자로 문의해 주세요 [011-9566-0101]..... 감사 합니다.

 

캠타시아 스튜디오를 이용해 녹화를 하기 전에 설정해야 될것들!

 

3가지 녹화 방법에서 한가지를 설정하면 된다.

필자(qemo/페모)는 특정 창으로 설정을 했다.

 

오디오 녹음을 체크 하고 다음을 누르자!

 

스피커를 선택 해주고 입력 수준은 알아서 설정을 하면 된다.

 

성능 옵션은 체크를 하지 말자!

필자(qemo/페모)는 성능 옵션을 체크하고 녹화를 하면 녹화가 안된다!

그리고 마침을 눌러주자!

 

도구에서 옵션으로 들어가자!

 

옵션에 들어가면 CAMREC으로 파일 저장하기로 되어있는데 AVI로 파일 저장하기 선택!

 

스트림에서 비디오 설정으로 들어가자!

인코더 패키지를 설치를 하지 않았다면 밑줄을친 코덱이 없을테고 인코더 패키지를 설치했다

면 있을거다. 밑줄을친 코덱 3개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길 추천한다!

 

녹화 프레임 속도는 자신의 컴퓨터 사양에 맞게 설정을 하면 된다.

15~30 프레임 정도로 설정을 하면 된다. 필자(qemo/페모)는 컴퓨터 사양이 어느정도 좋아서 25 프레임으로 설정을 했다.

볼륨으로 들어가자!

볼륨으로 들어가면 녹음 컨트롤이 나오는데 스테레오 믹스 밑에 선택을 눌러주자!

 

캠타시아 스튜디오로 녹화를 하기 전에 설정해야 될것들을 모두 설정을 했다!

이제 녹화를 해보기로 하자!

 

 

 

 

빨간 공모양을 누르거나 F9를 누르면 된다!

 

으음...무엇을 녹화를 할까나? 그래 네이버 뉴스를 녹화를 하자!

녹화를 하는 장면이다!

초록색이 깜빡 깜빡 거리면서 녹화를 한다!

녹화를 끝내려면 F10을 누르면 된다!

F10을 누르면 창이 뜨는데 저장을 하고 싶으면 저장을 눌러서 저장 하면 되고 삭제를 하고 싶으면 삭제를 눌러서 삭제 하면 된다!

 

★곰플레이어에서 하는 무료 영화등을 녹화 하면 녹화가 되지 않는데 조금만 설정을 해주면 녹화를 할 수가 있는데 내 컴퓨터에 들어가서 제어판에서 디스플레이를 누르고 설정에서 고급을 누르고 문제 해결에서 하드웨어 가속을 없음으로 해주면 녹화를 할 수가 있다.

녹화를 하고 꼭 하드웨어 가속을 최대로 해주자!★

 

 

 

출처 : 삼일구동기
글쓴이 : 윤재영 원글보기
메모 :

다이어트 식단 짜기

 


다이어트 식단

체중감량을 위해서, 영양과 칼로리를 적절하게 제한해서 영양에 밸런스를 갖춘 식단을 다이어트 식단이라고 합니다.

다이어트 식단은 무조건 칼로리만 줄이는 것보다는 영양은 충분히 섭취하면서, 동시에 섭취 칼로리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열량(cal) : 물 1g을 1도의 온도로 올리는데 필요한 열의 단위로서, 사람이 체온을 유지하고, 음식을 소화하고, 운동을 하는등의 신진대사등의 활동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뜻합니다. (열, 빛, 운동등 여러형태로 전환)
 

총에너지 :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양의 합 (기초대사량 + 활동에 필요한 열량 + 식품섭취로 인한 대사량)

기초대사량 : 움직이지 않고, 자는 상태로 24시간 생명유지에 필요한 열량을 뜻합니다. (내장활동, 체온조절, 생각, 감정등에 사용되는 열량)

활동대사량 : 움직이거나 운동하면서 소비되는 열량을 뜻합니다.
 

에너지소비율의 분포 (각 총에너지 대비 비율) : 기초대사 60-75% / 활동대사 20-30% / 소화 10%


에너지원 : 열량이 있어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식품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며, 위 식품들을 3대 열량 영양소라고 합니다.


열량섭취 비율 (각 총에너지 대비 비율) : 지방은 20-30%이하, 탄수화물은 55-65%정도, 단백질은 15%정도의 열량비율로 섭취해서 에너지를 얻도록 합니다.   




다이어트 식단을 위한 준비 및 계획

1. 자신의 표준체중을 계산합니다.
2. 목표 체중을 설정합니다.
3. 체중감량기간과 유지기간을 설정합니다.
4. 먹는 음식의 종류를 설정합니다.
5. 몇끼 식사를 하며, 운동 전, 후의 영양섭취 방법을 정합니다.
6. 어떻게 조리(요리)할지 정합니다.
7. 하루 필요한 열량을 계산하고, 그값에 맞추어서 식단을 구성합니다.

 

[참고자료] 자신의 비만상태 계산 및 필요 열량 측정 방법...내용보기-클릭!!!



무엇을 먹을까

매끼 식사는 꼭 하시되 폭식은 절대 금물이며, 저칼로리 저지방위주의 식단으로 하고, 야채나 채소 그리고 생선위주로 식사하세요.

식이섬유는 포만감과 흡수속도를 조절해주기 때문에 좋고, 식물영양소들도 좋습니다. (채소, 야채)

각종 비타민 & 미네랄, 칼슘같은 필수영양소는 필요량만큼 섭취해야 됩니다. (이들 영양소를 먹어 주어야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의 영양소들이 원활하게 작용합니다.)

단백질은 인체 근육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영양성분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신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꼭 섭취해야 되는 영양입니다. (닭가슴살, 계란흰자위, 생선, 쇠고기, 참치, 두부등)

탄수화물은 우리가 활동하고 생활하는 에너지를 제공하는 영양소입니다. (흰쌀밥, 현미, 콩, 옥수수, 감자등)

이와 같은 필수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해야 신체리듬도 원활하며, 신체의 영양이 균형있게 공급 할 수 있는것입니다.

물은 하루 1.5리터~2리터를 마시고요 (근육을 만드는 남성들은 4리터 정도 마시세요.)

간식은 과자, 빵류 보다는 샐러드나 야채, 과일등 비타민과 섬유소가 풍부한 식품이 좋습니다.
 

 

 

 

먹지 말아야 할 음식

 

과당은 다이어트에 해가 되니까요, 과일 중에서는 과당함유량이 적은 과일을 먹거나, 오후에는 과일을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단음식(설탕)이나, 기름진 음식, 기타 지방이 많은 음식은 칼로리가 높아서 적게 먹어도 살찌우게하는 주들입니다.

술은 열량도 높고, 안주도 많이 먹게되기 때문에 다이어트의 절대 적입니다.

기름에 튀긴 음식, 인스턴트 식품 & 패스트푸드, 짜장면, 스파게티, 돈까스, 청량음료, 제과 & 제빵식품, 사탕, 초콜릿, 빙과류, 정제식품등

 

 

 



얼마만큼 먹을까

활동량이 적어서 살찌기 쉬운 저녁은 소식하고, 20시 이후에는 금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량이 갑자기 줄거나, 기초대사량 이하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영양공급의 불균형으로, 요요현상이 발생됩니다. (기초대사량보다 250~300칼로리 더먹는것이 좋습니다.)

운동 후에는 계란흰자나 닭가슴살같은 고단백 식품과 함께, 샐러드, 감자같은 탄수화물을 먹어주면 좋습니다.





어떻게 먹을까

30~60회 꼭꼭 씹어먹거나 작은 스픈으로 먹으세요.

음식이 완전분해되지 않으면, 다이어트의 효과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조금씩 자주 먹고, 천천히 먹어서, 먹은 음식이 완전연소되도록 합니다.)

물과 ,음료수같은 수분은 음식과 같이 먹으면 안됩니다.
식사중 수분섭취는 소화능력이 저하되고, 음식의 당분을 빠르게 흡수시켜서, GI수치가 높은 음식을 섭취하는 효과로 작용합니다.( 식사 전후 30분내에서 수분 섭취)
 

[참고자료] 수분섭취와 다이어트...내용보기-클릭!!!


먹을 때에는 음식에만 집중하세요 (TV를 보거나, 잡담하면서 먹게되면, 이것저것 많은량을 먹게됩니다.)

달콤한 음식, 맛있는 음식은 전부 다이어트에 해가되는 음식이라 생각하고, 다이어트에 도움되는 맛없는 음식을 어떡게 하면 맛있게 먹을 수 있을까 하는 방법을 찾으세요~

식단을 한종류로 할 것인지 아니면 2~3가지 종류로 바꾸어가면서 할것인지 정하는 것이 좋은데, 한가지 식단 보다는 일주일 단위로 식단을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진행기간

감량기간을 정하는 것이 좋은데, 급격한 감량하지 마시고.... 한달에 1~2kg씩 감량한다는 계획으로 하세요. (하루에 300kcal의 열량을 운동으로 소비하면서, 기초대사량에 맞추어서 식사)

급격한 감량은 부작용과 함께, 피부도 쭈글쭈글 하게되고, 요요현상이 꼭 찾아 오게됩니다.

출처 : 삼일구동기
글쓴이 : 윤재영 원글보기
메모 :

국보란 역사적·학술적·예술적·기술적인 가치가 큰 문화재로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한 문화재를 일컫습니다.

보물이란 목조건축·석조건축·전적(典籍)·서적·고문서·회화·조각·공예품·고고자료(考古資料)·무구(武具) 등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 중에서 역사적·학술적·예술적·기술적 가치가 큰 것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정부가 지정한 문화재를 보물이라고 한다는군요.

 

국보 순위

1 서울숭례문(서울崇禮門) -- 국보 1호 서울 중구
2 원각사지십층석탑(圓覺寺址十層石塔) -- 국보 2호 서울 종로구
3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 국보 3호 서울 종로구
4 고달사지부도(高達寺址浮屠) -- 국보 4호 경기 여주군
5 법주사쌍사자석등(法住寺雙獅子石燈) -- 국보 5호 충북 보은군
6 중원탑평리칠층석탑(中原塔坪里七層石塔) -- 국보 6호 충북 충주시
7 봉선홍경사사적갈비(奉先弘慶寺事蹟碣碑) -- 국보 7호 충남 천안시
8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郎慧和尙白月보光塔碑) -- 국보 8호 충남 보령시
9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 -- 국보 9호 충남 부여군
10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實相寺百丈菴三層石塔) -- 국보 10호 전북 남원시
11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 -- 국보 11호 전북 익산시
12 화엄사각황전앞석등(華嚴寺覺皇殿앞石燈) -- 국보 12호 전남 구례군
13 무위사극락전(無爲寺極樂殿) -- 국보 13호 전남 강진군
14 은해사거조암영산전(銀海寺居祖庵靈山殿) -- 국보 14호 경북 영천시
15 봉정사극락전(鳳停寺極樂殿) -- 국보 15호 경북 안동시
16 안동신세동칠층전탑(安東新世洞七層塼塔) -- 국보 16호 경북 안동시
17 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浮石寺無量壽殿앞石燈) -- 국보 17호 경북 영주시
18 부석사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 -- 국보 18호 경북 영주시
19 부석사조사당(浮石寺祖師堂) -- 국보 19호 경북 영주시
20 불국사다보탑(佛國寺多寶塔) -- 국보 20호 경북 경주시
21 불국사삼층석탑(佛國寺三層石塔) -- 국보 21호 경북 경주시
22 불국사연화교칠보교(佛國寺蓮華橋七寶橋) -- 국보 22호 경북 경주시
23 불국사청운교백운교(佛國寺靑雲橋白雲橋) -- 국보 23호 경북 경주시
24 석굴암석굴(石窟庵石窟) -- 국보 24호 경북 경주시
25 신라태종무열왕릉비(新羅太宗武烈王陵碑) -- 국보 25호 경북 경주시
26 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佛國寺金銅毘盧舍那佛坐像) -- 국보 26호 경북 경주시
27 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佛國寺金銅阿彌陀如來坐像) -- 국보 27호 경북 경주시
28 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栢栗寺金銅藥師如來立像) -- 국보 28호 경북 경주시
29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 국보 29호 경북 경주시
30 분황사석탑(芬皇寺石塔) -- 국보 30호 경북 경주시
31 경주첨성대(慶州瞻星臺) -- 국보 31호 경북 경주시
32 해인사대장경판(海印寺大藏經板) -- 국보 32호 경남 합천군
33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 국보 33호 경남 창녕군
34 창녕술정리동삼층석탑(昌寧述亭里東三層石塔) -- 국보 34호 경남 창녕군
35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 -- 국보 35호 전남 구례군
36 상원사동종(上院寺銅鐘) -- 국보 36호 강원 평창군
37 경주구황리삼층석탑(慶州九黃里三層石塔) -- 국보 37호 경북 경주시
38 고선사지삼층석탑(高仙寺址三層石塔) -- 국보 38호 경북 경주시
39 월성나원리오층석탑(月城羅原里五層石塔) -- 국보 39호 경북 경주시
40 정혜사지십삼층석탑(淨惠寺址十三層石塔) -- 국보 40호 경북 경주시
41 용두사지철당간(龍頭寺址鐵幢竿) -- 국보 41호 충북 청주시 상당구
42 목조삼존불감(木彫三尊佛龕) -- 국보 42호 전남 순천시
43 고려고종제서(高麗高宗制書) -- 국보 43호 전남 순천시
44 보림사삼층석탑및석등(寶林寺三層石塔및石燈) -- 국보 44호 전남 장흥군
45 부석사소조여래좌상(浮石寺塑造如來坐像) -- 국보 45호 경북 영주시
46 부석사조사당벽화(浮石寺祖師堂壁畵) -- 국보 46호 경북 영주시
47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 -- 국보 47호 경남 하동군
48 월정사팔각구층석탑(月精寺八角九層石塔) -- 국보 48호 강원 평창군
49 수덕사대웅전(修德寺大雄殿) -- 국보 49호 충남 예산군
50 도갑사해탈문(道岬寺解脫門) -- 국보 50호 전남 영암군
51 강릉객사문(江陵客舍門) -- 국보 51호 강원 강릉시
52 해인사장경판전(海印寺藏經板殿) -- 국보 52호 경남 합천군
53 연곡사동부도(연谷寺東浮屠) -- 국보 53호 전남 구례군
54 연곡사북부도(연谷寺北浮屠) -- 국보 54호 전남 구례군
55 법주사팔상전(法住寺捌相殿) -- 국보 55호 충북 보은군
56 송광사국사전(松廣寺國師殿) -- 국보 56호 전남 순천시
57 쌍봉사철감선사탑(雙峰寺澈鑒禪師塔) -- 국보 57호 전남 화순군
58 장곡사철조약사여래좌상부석조대좌(長谷寺鐵造藥師如來坐像附石造臺座) -- 국보 58호 충남 청양군
59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法泉寺智光國師玄妙塔碑) -- 국보 59호 강원 원주시
60 청자사자유개향로(靑磁獅子유蓋香爐) -- 국보 60호 서울 종로구
61 청자비룡형주자(靑磁飛龍形注子) -- 국보 61호 서울 종로구
62 금산사미륵전(金山寺彌勒殿) -- 국보 62호 전북 김제시
63 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到彼岸寺鐵造毘盧舍那佛坐像) -- 국보 63호 강원 철원군
64 법주사석연지(法住寺石蓮池) -- 국보 64호 충북 보은군
65 청자기린유개향로(靑磁麒麟유蓋香爐) -- 국보 65호 서울 성북구
66 청자상감유죽연로원앙문정병(靑磁象嵌柳竹蓮盧鴛鴦文淨甁) -- 국보 66호 서울 성북구
67 화엄사각황전(華嚴寺覺皇殿) -- 국보 67호 전남 구례군
68 청자상감운학문매병(靑磁象嵌雲鶴文梅甁) -- 국보 68호 서울 성북구
69 개국원종공신록권(開國原從功臣錄券) -- 국보 69호 부산 서구
70 훈민정음(訓民正音) -- 국보 70호 서울 성북구
71 동국정운<권1,6>(東國正韻<卷一,六>) -- 국보 71호 서울 성북구
72 금동계미명삼존불(金銅癸未銘三尊佛) -- 국보 72호 서울 성북구
73 금동삼존불감(金銅三尊佛龕) -- 국보 73호 서울 성북구
74 청자압형수적(靑磁鴨形水滴) -- 국보 74호 서울 성북구
75 표충사청동함은향완(表忠寺靑銅含銀香완) -- 국보 75호 경남 밀양시
76 이충무공난중일기부서간첩임진장초(李忠武公亂中日記附書簡帖壬辰狀草) -- 국보 76호 충남 아산시
77 의성탑리오층석탑(義城塔里五層石塔) -- 국보 77호 경북 의성군
78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 -- 국보 78호 서울 종로구
79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坐像) -- 국보 79호 서울 종로구
80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立像) -- 국보 80호 서울 종로구
81 감산사석조미륵보살입상(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 -- 국보 81호 서울 종로구
82 감산사석조아미타불입상(甘山寺石造阿彌陀佛立像) -- 국보 82호 서울 종로구
83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 -- 국보 83호 서울 종로구
84 서산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 -- 국보 84호 충남 서산시
85 금동신묘명삼존불(金銅辛卯銘三尊佛) -- 국보 85호 경기 용인시
86 경천사십층석탑(敬天寺十層石塔) -- 국보 86호 서울 종로구
87 금관총금관(金冠塚金冠) -- 국보 87호 경북 경주시
88 금관총과대및요패(金冠塚과帶및腰佩) -- 국보 88호 서울 종로구
89 금제교구(金製교具) -- 국보 89호 서울 종로구
90 금제태환이식(金製太環耳飾) -- 국보 90호 서울 종로구
91 도제기마인물상(陶製騎馬人物像) -- 국보 91호 서울 종로구
92 청동은입사포유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 -- 국보 92호 서울 종로구
93 백자철화포도문호(白磁鐵畵葡萄文壺) -- 국보 93호 서울 종로구
94 청자소문과형병(靑磁素文瓜形甁) -- 국보 94호 서울 종로구
95 청자칠보투각향로(靑磁七寶透刻香爐) -- 국보 95호 서울 종로구
96 청자귀형수병(靑磁龜形水甁) -- 국보 96호 서울 종로구
97 청자음각연화당초문매병(靑磁陰刻蓮花唐草文梅甁) -- 국보 97호 서울 종로구
98 청자상감모란문항(靑磁象嵌牡丹文缸) -- 국보 98호 서울 종로구
99 갈항사삼층석탑(葛項寺三層石塔) -- 국보 99호 서울 종로구
100 남계원칠층석탑(南溪院七層石塔) -- 국보 100호 서울 종로구
101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法泉寺智光國師玄妙塔) -- 국보 101호 서울 종로구
102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淨土寺弘法國師實相塔) -- 국보 102호 서울 종로구
103 중흥산성쌍사자석등(中興山城雙獅子石燈) -- 국보 103호 광주 북구
104 전흥법사염거화상탑(傳興法寺廉居和尙塔) -- 국보 104호 서울 종로구
105 산청범학리삼층석탑(山淸泛鶴里三層石塔) -- 국보 105호 서울 종로구
106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三尊石像) -- 국보 106호 충북 청주시 상당구
107 이조백자철사포도문호(李朝白磁鐵砂葡萄文壺) -- 국보 107호 서울 서대문구
108 계유명삼존천불비상(癸酉銘三尊千佛碑像) -- 국보 108호 충남 공주시
109 군위삼존석굴(軍威三尊石窟) -- 국보 109호 경북 군위군
110 익재영정(益齋影幀) -- 국보 110호 서울 종로구
111 회헌영정(晦軒影幀) -- 국보 111호 경북 영주시
112 감은사지삼층석탑(感恩寺址三層石塔) -- 국보 112호 경북 경주시
113 화청자양류문통형병(畵靑磁楊柳文筒形甁) -- 국보 113호 서울 종로구
114 청자상감모란국화문과형병(靑磁象嵌牡丹菊花文瓜形甁) -- 국보 114호 서울 종로구
115 청자상감당초문완(靑磁象嵌唐草文완) -- 국보 115호 서울 종로구
116 청자상감모란문표형병(靑磁象嵌牡丹文瓢形甁) -- 국보 116호 서울 종로구
117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寶林寺鐵造毘盧舍那佛坐像) -- 국보 117호 전남 장흥군
118 금동미륵반가상(金銅彌勒半跏像) -- 국보 118호 경기 용인시
119 연가7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7年銘金銅如來立像) -- 국보 119호 서울 종로구
120 용주사범종(龍珠寺梵鐘) -- 국보 120호 경기 화성시
121 하회탈및병산탈(河回탈및屛山탈) -- 국보 121호 경북 안동시
122 진전사지삼층석탑(陳田寺址三層石塔) -- 국보 122호 강원 양양군
123 익산왕궁리오층석탑내발견유물(益山王宮里五層石塔內發見遺物) -- 국보 123호 전북 전주시
124 순금금강경판<부금대2개>(純金金剛經板<附金帶2個>) -- 국보 123-1호 전북 전주시
125 유리제사리병(유리製舍利甁) -- 국보 123-2호 전북 전주시
126 금제방합<개부>(金製方盒<蓋付>) -- 국보 123-3호 전북 전주시
127 청동여래입상(靑銅如來立像) -- 국보 123-4호 전북 전주시
128 기타유물(基他遺物) -- 국보 123-5호 전북 전주시
129 한송사석조보살좌상(寒松寺石造菩薩坐像) -- 국보 124호 서울 종로구
130 녹유골호<부석제외함>(綠釉骨壺<附石製外函>) -- 국보 125호 서울 종로구
131 불국사삼층석탑내발견유물(佛國寺三層石塔內發見遺物) -- 국보 126호 경북 경주시
132 금동제사리외함(金銅製舍利外函) -- 국보 126-1호 경북 경주시
133 은제사리외합(銀製舍利外盒) -- 국보 126-2호 경북 경주시
134 은제사리내합(銀製舍利內盒) -- 국보 126-3호 경북 경주시
135 유향(儒香) -- 국보 126-4호 경북 경주시
136 금동방형사리합(金銅方形舍利盒) -- 국보 126-5호 경북 경주시
137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 국보 126-6호 경북 경주시
138 동환(銅環) -- 국보 126-7호 경북 경주시
139 경옥제곡옥(硬玉製曲玉) -- 국보 126-8호 경북 경주시
140 홍마노환옥(紅瑪瑙丸玉) -- 국보 126-9호 경북 경주시
141 수정절자옥(水晶切子玉) -- 국보 126-10호 경북 경주시
142 수정보주형옥(水晶寶珠形玉) -- 국보 126-11호 경북 경주시
143 수정환옥(水晶丸玉) -- 국보 126-12호 경북 경주시
144 녹색유리환옥(綠色琉璃丸玉) -- 국보 126-13호 경북 경주시
145 담청색유리제과형옥(淡靑色琉璃製瓜形玉) -- 국보 126-14호 경북 경주시
146 유리제소옥(琉璃製小玉) -- 국보 126-15호 경북 경주시
147 향목편(香木片) -- 국보 126-16호 경북 경주시
148 청동제비천상(靑銅製飛天像) -- 국보 126-17호 경북 경주시
149 동경(銅鏡) -- 국보 126-18호 경북 경주시
150 동제채자(銅製채子) -- 국보 126-19호 경북 경주시
151 목탑(木塔) -- 국보 126-20호 경북 경주시
152 수정대옥(水晶大玉) -- 국보 126-21호 경북 경주시
153 홍마노(紅瑪瑙) -- 국보 126-22호 경북 경주시
154 수정제가지형옥(水晶製가지形玉) -- 국보 126-23호 경북 경주시
155 유리제과형옥(琉璃製瓜形玉) -- 국보 126-24호 경북 경주시
156 유리소옥(琉璃小玉) -- 국보 126-25호 경북 경주시
157 심향편(沈香片) -- 국보 126-26호 경북 경주시
158 섬유잔결(纖維殘缺) -- 국보 126-27호 경북 경주시
159 묵서지편(墨書紙片) -- 국보 126-28호 경북 경주시
160 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三陽洞金銅觀音菩薩立像) -- 국보 127호 서울 종로구
161 금동관음보살입상(金銅觀音菩薩立像) -- 국보 128호 경기 용인시
162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 국보 129호 경기 용인시
163 선산죽장동오층석탑(善山竹杖洞五層石塔) -- 국보 130호 경북 구미시
164 이태조호적원본(李太祖戶籍原本) -- 국보 131호 서울 종로구
165 징비록(懲毖錄) -- 국보 132호 경북 안동시
166 청자진사연화문표형주자(靑磁辰砂蓮華文瓢形注子) -- 국보 133호 경기 용인시
167 금동보살삼존상(金銅菩薩三尊像) -- 국보 134호 경기 용인시
168 혜원풍속도(蕙園風俗圖) -- 국보 135호 서울 성북구
169 용두보당(龍頭寶幢) -- 국보 136호 경기 용인시
170 대구비산동출토동기류(大邱飛山洞出土銅器類) -- 국보 137호 경기 용인시
171 동검검경및동모부속구(銅劍劍梗및銅모附屬具) -- 국보 137-1호 경기 용인시
172 광봉동모및검장(廣鋒銅모및劍裝) -- 국보 137-2호 경기 용인시
173 금관및부속금구(金冠및附屬金具) -- 국보 138호 경기 용인시
174 군선도병(群仙圖屛) -- 국보 139호 경기 용인시
175 나전단화금수문경(螺鈿團花禽獸紋鏡) -- 국보 140호 경기 용인시
176 다뉴세문경(多紐細紋鏡) -- 국보 141호 서울 동작구
177 동국정운1질(東國正韻一帙) -- 국보 142호 서울 광진구
178 화순대곡리출토청동유물(和順大谷里出土靑銅遺物) -- 국보 143호 광주 북구
179 청동검(靑銅劍) -- 국보 143-1호 서울 종로구
180 청동팔령구(靑銅八鈴具) -- 국보 143-2호 서울 종로구
181 청동쌍령구(靑銅雙鈴具) -- 국보 143-3호 서울 종로구
182 청동삭구(靑銅削具) -- 국보 143-4호 서울 종로구
183 청동공부(靑銅공斧) -- 국보 143-5호 서울 종로구
184 청동세문경(靑銅細문鏡) -- 국보 143-6호 서울 종로구
185 월출산마애여래좌상(月出山磨崖如來坐像) -- 국보 144호 전남 영암군
186 귀면청동로(鬼面靑銅爐) -- 국보 145호 서울 성북구
187 강원도출토일괄유물(江原道出土一括遺物) -- 국보 146호 경기 용인시
188 팔수형동령(八手形銅鈴) -- 국보 146-1호 경기 용인시
189 동조령부병두(銅造鈴附柄頭) -- 국보 146-2호 경기 용인시
190 동조환상쌍두령(銅造環狀雙頭鈴) -- 국보 146-3호 경기 용인시
191 동조령식초(銅造鈴飾초) -- 국보 146-4호 경기 용인시
192 울주천전리각석(蔚州川前里刻石) -- 국보 147호 울산 울주군
193 십칠사찬고금통요(十七史纂古今通要) -- 국보 148호 서울 관악구
194 권지16(卷誌十六) -- 국보 148-1호 서울 관악구
195 권지17(卷之十七) -- 국보 148-2호 서울 서초구
196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東萊先生校正北史詳節) -- 국보 149호 서울 성북구
197 권지4,5(卷之四,五) -- 국보 149-1호 서울 성북구
198 권지6(卷之六) -- 국보 149-2호 서울 중구
199 송조표전총류(宋朝表전總類) -- 국보 150호 서울 관악구
200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국보 151호 서울 관악구
201 정족산본(鼎足山本) -- 국보 151-1호 서울 관악구
202 태백산본(太白山本) -- 국보 151-2호 부산 연제구
203 오대산본(五臺山本) -- 국보 151-3호 서울 관악구
204 기타산엽본(基他散葉本) -- 국보 151-4호 서울 관악구
205 비변사등록부의정부등록(備邊司謄錄附議政府謄錄) -- 국보 152호 서울 관악구
206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국보 152-1호 서울 관악구
207 의정부등록(議政府謄錄) -- 국보 152-2호 서울 관악구
208 일성록(日省綠) -- 국보 153호 서울 관악구
209 금제관식<왕>(金製冠飾<王>) -- 국보 154호 충남 공주시
210 금제관식<왕비>(金製冠飾<王妃>) -- 국보 155호 충남 공주시
211 금제심엽형이식<왕>(金製心葉形耳飾<王>) -- 국보 156호 충남 공주시
212 금제수식부이식<왕비>(金製垂飾附耳飾<王妃>) -- 국보 157호 충남 공주시
213 금제경식<왕비>(金製頸飾<王妃>) -- 국보 158호 충남 공주시
214 금제뒤꽂이<왕>(金製뒤꽂이<王>) -- 국보 159호 충남 공주시
215 은제팔찌<왕비>(銀製팔찌<王妃>) -- 국보 160호 충남 공주시
216 청동신수경(靑銅神獸鏡) -- 국보 161호 충남 공주시
217 청동신수경(淸銅神獸鏡) -- 국보 161-1호 충남 공주시
218 의자손수대경(宜子孫獸帶鏡) -- 국보 161-2호 충남 공주시
219 수대경(獸帶鏡) -- 국보 161-3호 충남 공주시
220 석수(石獸) -- 국보 162호 충남 공주시
221 지석(誌石) -- 국보 163호 충남 공주시
222 두침(頭枕) -- 국보 164호 충남 공주시
223 족좌<왕>(足座<王>) -- 국보 165호 충남 공주시
224 백자철화매죽문대호(白磁鐵畵梅竹文大壺) -- 국보 166호 서울 종로구
225 청자인형주자(靑磁人形注子) -- 국보 167호 서울 종로구
226 백자진사매국문병(白磁辰砂梅菊文甁) -- 국보 168호 서울 종로구
227 청자양각죽절문병(靑磁陽刻竹節文甁) -- 국보 169호 경기 용인시
228 청화백자매조죽문호(靑華白磁梅鳥竹文壺) -- 국보 170호 서울 종로구
229 청동은입사보상당초봉황문합(靑銅銀入絲寶相唐草鳳凰文盒) -- 국보 171호 경기 용인시
230 진양군영인정씨묘출토유물(晋陽郡令人鄭氏墓出土遺物) -- 국보 172호 경기 용인시
231 백자상감초화문편병(白磁象嵌草花文扁甁) -- 국보 172-1호 경기 용인시
232 묘지(墓誌) -- 국보 172-2호 경기 용인시
233 잔(盞) -- 국보 172-3호 경기 용인시
234 청자철채퇴화점문나한좌상(靑磁鐵彩堆花點文羅漢坐像) -- 국보 173호 서울 강남구
235 금동수정감장촉대(金銅水晶嵌裝燭臺) -- 국보 174호 경기 용인시
236 백자상감연당초문대접(白磁象嵌蓮唐草文大접) -- 국보 175호 서울 종로구
237 청화백자<홍치명>송죽문호(靑華白磁<弘治銘>松竹文壺) -- 국보 176호 서울 중구
238 분청사기인화문태호<내외호>(粉靑沙器印花文胎壺<內外壺>) -- 국보 177호 서울 성북구
239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 국보 178호 서울 서대문구
240 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粉靑沙器剝地蓮魚文扁甁) -- 국보 179호 서울 관악구
241 완당세한도(阮堂歲寒圖) -- 국보 180호 서울 종로구
242 장량수급제패지(張良守及第牌旨) -- 국보 181호 경북 울진군
243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 -- 국보 182호 대구 수성구
244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 국보 183호 대구 수성구
245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 국보 184호 대구 수성구
246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 국보 185호 서울 종로구
247 양평금동여래입상(楊平金銅如來立像) -- 국보 186호 서울 종로구
248 봉감모전오층석탑(鳳甘模塼五層石塔) -- 국보 187호 경북 영양군
249 천마총금관(天馬塚金冠) -- 국보 188호 경북 경주시
250 금모<천마총>(金帽<天馬塚>) -- 국보 189호 경북 경주시
251 금제과대및요패<천마총>(金製과帶및腰佩<天馬塚>) -- 국보 190호 경북 경주시
252 금관및수하식<98호북분>(金冠및垂下飾<九十八號北墳>) -- 국보 191호 경북 경주시
253 금제과대및요패<98호북분>(金製과帶및腰佩<九十八號北墳>) -- 국보 192호 경북 경주시
254 유리제병및배<98호남분>(琉璃製甁및杯<九十八號南墳>) -- 국보 193호 경북 경주시
255 금제경식<98호남분>(金製頸飾<九十八號南墳>) -- 국보 194호 경북 경주시
256 토우장식장경호(土偶裝飾長頸壺) -- 국보 195호 경북 경주시
257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 국보 196호 경기 용인시
258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륭탑(靑龍寺普覺國師定慧圓融塔) -- 국보 197호 충북 충주시
259 단양신라적성비(丹陽新羅赤城碑) -- 국보 198호 충북 단양군
260 단석산신선사마애불상군(斷石山神仙寺磨崖佛像群) -- 국보 199호 경북 경주시
261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 국보 200호 부산 남구
262 봉화북지리마애여래좌상(奉化北枝里磨崖如來坐象) -- 국보 201호 경북 봉화군
263 대방광불화엄경 진본<권37>(大方廣佛華嚴經 晋本<卷三十七>) -- 국보 202호 서울 중구
264 대방광불화엄경 주본<권6>(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六>) -- 국보 203호 서울 중구
265 대방광불화엄경 주본<권36>(大方廣佛華嚴經 周本<卷三十六>) -- 국보 204호 서울 중구
266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 -- 국보 205호 충북 충주시
267 해인사고려각판(海印寺高麗刻板) -- 국보 206호 경남 합천군
268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 국보 206-1호 경남 합천군
269 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門瞥行疏) -- 국보 206-2호 경남 합천군
270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능嚴經) -- 국보 206-3호 경남 합천군
271 대방광불화엄경세주묘엄품(大防廣拂華嚴經世州妙嚴品) -- 국보 206-4호 경남 합천군
272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바羅蜜經) -- 국보 206-5호 경남 합천군
273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바羅蜜經) -- 국보 206-6호 경남 합천군
274 화엄경보현행원품(華嚴經普賢行願品) -- 국보 206-7호 경남 합천군
275 법화경보문품(法華經普門品) -- 국보 206-8호 경남 합천군
276 인천보감(人天寶鑑) -- 국보 206-9호 경남 합천군
277 불설예수십왕생칠경(佛說預수十王生七經) -- 국보 206-10호 경남 합천군
278 삼십팔분공덕소경(三十八分功德疏經) -- 국보 206-11호 경남 합천군
279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 국보 206-12호 경남 합천군
280 대방광불화엄경략신중(大方廣佛華嚴經략神衆) -- 국보 206-13호 경남 합천군
281 화엄경변상도<주본>(華嚴經變相圖<周本>) -- 국보 206-14호 경남 합천군
282 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大方廣佛華嚴經<貞元本>) -- 국보 206-15호 경남 합천군
283 대방광불화엄경<진본>(大方廣佛華嚴經<晋本>) -- 국보 206-16호 경남 합천군
284 대방광불화엄경<주본>(大方廣佛華嚴經<周本>) -- 국보 206-17호 경남 합천군
285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 국보 206-18호 경남 합천군
286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對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초) -- 국보 206-19호 경남 합천군
287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바羅密經) -- 국보 206-20호 경남 합천군
288 불설장수멸죄호저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저童子陀螺尼經) -- 국보 206-21호 경남 합천군
289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 국보 206-22호 경남 합천군
290 대각국사외집(大覺國師外集) -- 국보 206-23호 경남 합천군
291 남양선생시집(南陽先生詩集) -- 국보 206-24호 경남 합천군
292 백화도장발원문약해(白花道場發願文略解) -- 국보 206-25호 경남 합천군
293 당현시범(唐賢詩範) -- 국보 206-26호 경남 합천군
294 약제경론염불법문왕생정토집(약諸經論念佛法門往生淨土集) -- 국보 206-27호 경남 합천군
295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 국보 206-28호 경남 합천군
296 천마도장니(天馬圖障泥) -- 국보 207호 서울 종로구
297 금동육각사리함(金銅六角舍利函) -- 국보 208호 경북 김천시
298 보협인석탑(寶협印石塔) -- 국보 209호 서울 중구
299 감지은니불공견색신변진언경<권13>(紺紙銀泥不空견索紳變眞言經<卷十三>) -- 국보 210호 경기 용인시
300 백지묵서묘법연화경<권1∼7>(白紙墨書妙法蓮華經<卷一∼七>) -- 국보 211호 서울 관악구
301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1-10>(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卷一-十>) -- 국보 212호 서울 중구
302 금동대탑(金銅大塔) -- 국보 213호 경기 용인시
303 흥왕사명청동은입사운룡문향완(興王寺銘靑銅銀入絲蕓龍文香완) -- 국보 214호 경기 용인시
304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권31>(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卷三十一>) -- 국보 215호 경기 용인시
305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 국보 216호 경기 용인시
306 금강전도(金剛全圖) -- 국보 217호 경기 용인시
307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 -- 국보 218호 경기 용인시
308 청화백자매죽문호(靑華白磁梅竹文壺) -- 국보 219호 경기 용인시
309 청자상감용봉모란문개합(靑磁象嵌龍鳳牡丹文蓋盒) -- 국보 220호 경기 용인시
310 상원사목조문수동자좌상(上院寺木彫文殊童磁坐象) -- 국보 221호 강원 평창군
311 청화백자매죽문호(菁華百磁梅竹文壺) -- 국보 222호 서울 관악구
312 경복궁근정전(景福宮勤政殿) -- 국보 223호 서울 종로구
313 경복궁경회루(景福宮慶會樓) -- 국보 224호 서울 종로구
314 창덕궁인정전(昌德宮仁政殿) -- 국보 225호 서울 종로구
315 창경궁명정전(昌慶宮明政殿) -- 국보 226호 서울 종로구
316 종묘정전(宗廟正殿) -- 국보 227호 서울 종로구
317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 -- 국보 228호 서울 중구
318 보루각자격루(報漏閣自擊漏) -- 국보 229호 서울 중구
319 혼천시계(渾天時計) -- 국보 230호 서울 성북구
320 용범(鎔범) -- 국보 231호 서울 동작구
321 의안백이화개국공신록권(義安伯李和開國功臣錄券) -- 국보 232호 전북 정읍시
322 영태2년명납석제호(永泰二年銘蠟石製壺) -- 국보 233호 부산 남구
323 감지은니묘법연화경<권1∼7>(紺紙銀泥妙法蓮華經<卷一∼七>) -- 국보 234호 경기 용인시
324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 -- 국보 235호 경기 용인시
325 월성장항리사지서오층석탑(月城獐項里寺址西五層石塔) -- 국보 236호 경북 경주시
326 고산구곡시화병(高山九曲詩畵屛) -- 국보 237호 서울 동대문구
327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 -- 국보 238호 서울 동대문구
328 송시열상(宋時烈像) -- 국보 239호 서울 종로구
329 윤두서상(尹斗緖像) -- 국보 240호 전남 해남군
330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권249>(初雕本大般若波羅蜜多經<卷二百四十九>) -- 국보 241호 경기 용인시
331 울진봉평신라비(蔚珍鳳坪新羅碑) -- 국보 242호 경북 울진군
332 현양성교론<권11>(顯揚聖敎論<卷十一>) -- 국보 243호 경기 용인시
333 유가사지론<권17>(瑜伽師地論<卷十七>) -- 국보 244호 경기 용인시
334 신찬일체경원품차록<권20>(新纘一切經源品次綠<卷二十>) -- 국보 245호 서울 종로구
335 대보적경<권59>(大寶積經<卷五十九>) -- 국보 246호 서울 송파구
336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公州儀堂金銅菩薩立像) -- 국보 247호 충남 공주시
337 조선방역지도(朝鮮方域之圖) -- 국보 248호 경기 과천시
338 동궐도(東闕圖) -- 국보 249호 서울 성북구
339 개국원종공신록권(開國原從功臣錄券) -- 국보 250호 서울 중구
340 대승아비달마잡집론<권14>(大乘阿毗達磨雜集論<卷十四>) -- 국보 251호 서울 중구
341 청자음각연화문매병(靑磁陰刻連花文梅甁) -- 국보 252호 경기 용인시
342 청자양인각연당초·상감모란문은구대접(靑磁陽印刻連唐草·象嵌牡丹文銀구大접) -- 국보 253호 서울 종로구
343 청자음각연화절지문매병(靑磁陰刻蓮花折枝文梅甁) -- 국보 254호 서울 중구
344 전충남출토청동방울일괄(傳忠南出土靑銅방울一括) -- 국보 255호 경기 용인시
345 팔주령(八珠鈴) -- 국보 255-1호 경기 용인시
346 쌍두령(雙頭鈴) -- 국보 255-2호 경기 용인시
347 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 -- 국보 255-3호 경기 용인시
348 간두령(竿頭鈴) -- 국보 255-4호 경기 용인시
349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제1>(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第一>) -- 국보 256호 경기 용인시
350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제29>(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第二十九>) -- 국보 257호 서울 강남구
351 청화백자죽문각병(靑華白磁竹文角甁) -- 국보 258호 경기 용인시
352 분청사기상감용문호(粉靑沙器象嵌龍文壺) -- 국보 259호 서울 종로구
353 분청사기박지모란문철채자라병(粉靑沙器剝地牡丹文鐵彩자라甁) -- 국보 260호 서울 종로구
354 백자호(白磁壺) -- 국보 261호 경기 용인시
355 백자대호(白磁大壺) -- 국보 262호 서울 중구
356 청화백자산수화조문대호(靑華白磁山水花鳥文大壺) -- 국보 263호 서울 중구
357 영일냉수리신라비(迎日冷水里新羅碑) -- 국보 264호 경북 포항시
358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제13>(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第十三>) -- 국보 265호 서울 영등포구
359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제2,75>(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第二,七十五>) -- 국보 266호 서울 관악구
360 초조본아비달마식신족론<권제12>(初雕本阿毗達磨識身足論<卷第十二>) -- 국보 267호 서울 관악구
361 초조본아비담비파사론<권제11,17>(初雕本阿毗曇毗婆沙論<卷第十一,十七>) -- 국보 268호 서울 관악구
362 초조본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권제6>(初雕本佛說最上根本大樂金剛不空三昧大敎王經<卷第六>) -- 국보 269호 서울 관악구
363 청자모자원형연적(靑磁母子猿形硯滴) -- 국보 270호 서울 성북구
364 초조본현양성교론<권제12>(初雕本顯揚聖敎論<卷第十二>) -- 국보 271호 서울 송파구
365 초조본유가사지론<권제32>(初雕本瑜伽師地論<卷第三十二>) -- 국보 272호 서울 송파구
366 초조본유가사지론<권제15>(初雕本瑜伽師地論<卷第十五>) -- 국보 273호 서울 송파구
367 기마인물형토기(騎馬人物形土器) -- 국보 275호 경북 경주시
368 초조본유가사지론<권제53>(初雕本瑜伽師地論<卷第五十三>) -- 국보 276호 인천 남동구
369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제36>(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第三十六>) -- 국보 277호 전북 전주시 덕진구
370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太宗十一年李衡原從功臣錄券附函) -- 국보 278호 충북 영동군
371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제74>(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第七十四>) -- 국보 279호 서울 서초구
372 성거산천흥사동종(聖居山天興寺銅鐘) -- 국보 280호 서울 종로구
373 백자주자(白磁注子) -- 국보 281호 서울 관악구
374 흑석사목조아미타불좌상병복장유물(黑石寺木造阿彌陀佛坐像幷腹藏遺物) -- 국보 282호 경북 영주시
375 불상(佛像) -- 국보 282-1호 경북 영주시
376 전적(典籍) -- 국보 282-2호 경북 영주시
377 직물류(織物類) -- 국보 282-3호 경북 영주시
378 기타 복장물 오향,칠약,오곡,칠보류,사리함(其他 腹藏物 五香,七藥,五穀,七寶類,舍利函) -- 국보 282-4호 경북 영주시
379 통감속편(通鑑續編) -- 국보 283호 경북 경주시
380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권제162,170,463>(初雕本大般若波羅蜜多經<卷第一百六十二,一百七十,四百六十三>) -- 국보 284호 서울 강남구
381 울산대곡리반구대암각화(蔚山大谷里盤龜臺岩刻畵) -- 국보 285호 울산 울주군
382 백자발(白磁鉢) -- 국보 286호 경기 용인시
383 부여능산리출토백제금동대향로(扶餘陵山里出土百濟金銅大香盧) -- 국보 287호 충남 부여군
384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百濟昌王銘石造舍利龕) -- 국보 288호 충남 부여군
385 익산왕궁리5층석탑(益山王宮里五層石塔) -- 국보 289호 전북 익산시
386 통도사대웅전및금강계단(通度寺大雄殿및金剛戒壇) -- 국보 290호 경남 양산시
387 용감수경(龍龕手鏡) -- 국보 291호 서울 성북구
388 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五臺山上院寺重創勸善文) -- 국보 292호 강원 평창군
389 금동관세음보살입상(金銅觀世音菩薩立像) -- 국보 293호 서울 종로구
390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靑華白磁鐵砂辰砂菊花文甁) -- 국보 294호 서울 성북구
391 나주신촌리고분출토금동관(羅州新村里古墳出土金銅冠) -- 국보 295호 서울 종로구
392 칠장사오불회괘불탱(七長寺五佛會掛佛幀) -- 국보 296호 경기 안성시
393 안심사영산회괘불탱(安心寺靈山會掛佛幀) -- 국보 297호 충북 청원군
394 갑사삼신불괘불탱(甲寺三身佛掛佛幀) -- 국보 298호 충남 공주시
395 신원사노사나불괘불탱(新元寺盧舍那佛掛佛幀) -- 국보 299호 충남 공주시
396 장곡사미륵불괘불탱(長谷寺彌勒佛掛佛幀) -- 국보 300호 충남 청양군
397 화엄사영산회괘불탱(華嚴寺靈山會掛佛幀) -- 국보 301호 전남 구례군
398 청곡사영산회괘불탱(靑谷寺靈山會掛佛幀) -- 국보 302호 경남 진주시
399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국보 303호 서울 관악구
400 여수진남관(麗水鎭南館) -- 국보 304호 전남 여수시
401 통영세병관(統營洗兵館) -- 국보 305호 경남 통영시
402 삼국유사<권3-5>(三國遺事<卷三-五>) -- 국보 306호 경기 의왕시

402 삼국유사<권1-5>(三國遺事<卷三-五>) -- 국보 306-2호 서울 관악구  

403태안마애삼존불(泰安磨崖三尊佛)  -- 국보307호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404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大興寺北彌勒庵磨崖如來坐像)  -- 국보308호 전남 해남군 

 

 

보물

보물 제1호 흥인지문(동대문)

 

 

보물 제2호 보신각종

 

 

보물 제3호 대원각사비

 

 

보물 제4호 중초사지 당간지주

 

 

보물 제6호 고달사 원진국사 혜원탑비 귀부 및 이수

 

 

보물 제7호 고달사 원진국사 혜진탑

 

 

보물 제8호 고달사지 석불좌

 

 

보물 제9호 서봉사 현오국사탑비

 

 

보물 제10호 강화 하점면 오층석탑

 

출처 : 삼일구동기
글쓴이 : 윤재영 원글보기
메모 :

휴대용 기기들 pda라든지 네비게이션 휴대폰에 동영상을 넣고자 할때 변환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입니다.각 기기마다 인코딩 조건은 다르답니다. 버퍼링이 생기지 않도록 기기에 맞는 조건값을 입력후 변환 바랍니다.

 

네이버카페 주소  http://cafe.naver.com/mutoland.cafe

 

아래는 제 네비 뮤토 I7의 어떤분이 환경설정부분을 발췌한겁니다.

 

늘 포터블 기기를 PC급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제일먼져 놀라는 일이 동영상이 돌아 가지 않는 일일 겁니다. 저희 같이 과거 PDA를 사용하셨던 분들은 어련히 그런가 부다 하시지만,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깜~짝 놀라죠. ^^
 
자료실에 올려두고 지금 소개하는 프로그램은 PDA에서 동영상 감상을 쉽게 하기 위해 만든 인코딩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과거 버츄얼덥이라는 좀더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현재 원하는 목적에 가장 쉽게 갈 수 있도록 된 녀석이 이 바닥인 관계로 많은 유저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살짝 바닥을 건들여 볼까요? ㅎㅎㅎ
 
 

 

자료실의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위와 같은 모양으로 실행화면이 뜹니다. 뭐, 복잡한 버튼이 많지만 실제 사용하는 것은 별로 없구요, 워낙 이 바닥을 만들 프로그래머가 자세히 글을 남겨 두어 전혀 불편함이 없습니다. 그러나.. 늘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인코딩이라는 말조차 생소 할 수 있겠죠? ㅡㅡ;;

 

빨간색 1의 버튼을 클릭하면 원하는 파일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 추가 하시면 상단으로 파일 정보가 보임다.

핑크, 자막있고 화면크기 등이 보이는 군요. 예상 크기도 보실 수 있죠? 상당히 배려심이 높은 프로그래머가 만들것이 분명합니다.ㅡㅡ;;

그럼 자막을 좀 집고 넘어가자면..... 같은 폴더에 같은 이름으로 있어야 자막으로 인식합니다. 가령 a.avi b.smi 라고 되어 있으면 자막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꼭!! a.avi a.smi 라고 되어 있어야만 자막있음으로 뜬다는것!! 잊지 마세요~

 

그럼 다음은~ 빨간 3번 버튼을 '클릭'해 봅시당.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답니다.

 

이 설정은 친절한 프로그래머가 미리 프로파일을 만들어 둔것입니다.

뮤토 i7은 나온지 얼마 안되어서 미리설정에는 없으나 다행이 i7과 같은 해상도인 빌립 N70 프로파일이 있군요. ^^

세부설정이 귀찮으신 분들은 가능한 USB로 보실때는 중화질, SD로 보실때는 고화질로 선택하시면 크게 무리가 없을 겁니다.


 

 

그럼 빨간 3버튼말고 좀더 자신에게 맞는 인코딩을 하고자 한다면 빨간 2번 버튼 (인코딩 환경설정)을 클릭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현재 화면은 N70 중화면의 설정입니다.)

화질설정은 말 그대로 화질의 품질을 수정하는 겁니다. 만약 SD메모리를 사용한다면, 좀더 높여도 되겠죠? ^^

그 다음은 가장 cpu에 무리가 주는 프레임입니다. 보통 동영상들이 PC급으로 25~30프레임을 사용하죠.

무리 없이 플레이 하실려면 15프레임 정도, SD를 사용한다면 23정도 주시면 가장 문안합니다. 인간의 눈으로 1초당 15장이면 크게 표가 나지 않거든요. ^^

 

다음은 크기, i7의 해상도가 480*234이므로 그 정도선에서 맞추시면 될겁니다. 그러나 프레임, 화질을 크게 하셨다면 해상도를 낮추고 플레이 할때 '꽉찬 화면'으로 감상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겁니다.

잘라내기는 와이드 화면을 조금씩 잘라내는 것인데 취향이므로.. 그래도 손 안되는 것을 추천!!

압축방식은 코덱 지원등과 관계가 있으나 OpenDivx로 (확장자 avi)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프로그래머 역시 추천을.. ㅡㅡ;;)

 

하단에 보시면 자막 파일 (.SMI)을 영상에 삽입하기 라고 있습니다.

번들동영상플레이어로 보실려면 사입을 하시고 TCPMP로 보실때는 사입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넣으면 인코딩 시간이 좀 길어지고, 빼면 TCPMP에서 CPU점유율이 높아집니다. 가능하면 사입하기를 추천합니다.

 

그외 소리, 자막 등이 있는데 가능하면 디폴트를 사용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사운드의 경우 코덱을 바꿀때 화면가 사운드가 다른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용량을 줄일 경우는 음질설정을 낮추거나, 모드를 모노로 두시는 것이 좋겠죠.

 

자, 그럼 작업시작 버튼을 클릭해 볼까요? ^0^


위와 같이 인코딩 정보가 보여 집니다. 흠.. 남은시간을.. 신뢰하지 말것.. 충격적인 발언이군요.ㅎㅎㅎ

제 PC는 듀얼코어 입니다. ^^v 위 파일을 인코딩하는데 대략 20분 정도 소요되는 군요. 최종 파일 크기는 372M가 나왔습니다.

제가 타 PDA를 사용하였을때 보통 6,700M 파일을 인코딩했을때 2,300M정도가 나오는 것이 제일 무리가 없더군요.

그럼 즐거운 뮤토 I7 생활을 위해!!

badak20060716.alz

 

badak20060716.alz
2.0MB

피로를 풀어주는 의자 스트레칭 자세 20가지~!

 

우리의 일상적인 움직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에는 너무 힘들기 때문에, 하루종일 회사나 학교에서 지친 몸의 피로는 그날 그날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몸의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제때 풀지 못하면 다음날에도 좋지 않은 컨디션이 반복되고 통증과 질환이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요즘은 컴퓨터 앞에 앉아 하루 종일 일하는 직장인들이 많으므로 몸의 피로를 간단하고 쉽게 풀 수 있는 의자 스트레칭을 알아둔다면 일하는 도중에도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다. 의자 스트레칭은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잘못된 습관으로 변형된 척추의 교정에도 도움을 준다. 의자에 바른 자세로 앉아 바른 호흡을 하는 것도 스트레칭 방법중의 하나이다. 여러 근육들의 이완으로 의자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스트레칭은 평소 앉아 있는 자세를 바르게 교정 시키는 습관도 갖게 하며, 맑은 정신과 좋은 에너지가 흐르게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
효과 : 등, 어깨의 피로 제거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양손 깍지를 끼워 양팔을 위로 쭉 뻗어 올리면서 허리를 바로 세워준다.
3. 15~20초 정지한다.
주의사항 : 척추를 최대한 연장시킨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2
효과 : 척추 유연성과 탄력성 증가, 등의 피로 제거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양손 깍지를 끼워 머리에 얹고 가슴을 앞으로 내면서 고개를 들어준다.
3. 15~20초 정지한다.
주의사항 : 팔꿈치를 최대한 바깥쪽으로 벌려주어 등이 펴지도록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3
효과 : 상완삼두근(팔의 뒷쪽근육)과 어깨의 이완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한쪽팔을 위로 들어 올려서 최대한 구부려준다.
3. 반대손이 들어올려진 팔의 팔꿈치를 잡아 지긋이 당겨준다.
4. 15~20초 정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구부려진 팔은 최대한 구부려준다. 목과 등이 숙여지지 않도록 허리를 꼿꼿하게 세워준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4
효과 : 목의 압박 완화, 목 뒷부분의 통증 제거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양손깍지를 끼워 머리위에 얹는다.
3. 고개를 숙이고 양손으로 머리를 지긋이 눌러준다.
4. 목의 이완을 느끼면서 15~20초 정지한다.
주의사항 : 너무 과도하게 당겨서 호흡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5
효과 : 목의 압박 완화, 목 앞부분의 통증 제거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양손을 가슴 앞에서 합장한다.
3.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턱밑에 받쳐준다.
4. 손가락으로 턱을 밀면서 고개를 뒤로 젖혀준다.
주의사항 : 어깨와 목이 지나치게 긴장 되지 않도록 한다. 척추를 최대한 펴준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6
효과 : 손목관절, 전완근 유연성 향상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손목을 꺽어주어 양손의 손바닥이 허벅지 위에 뒤집어서 놓여지게 한다.
3. 턱은 당겨주어 쇠골가까이 가도록 하며 고개는 숙여 준다.
4. 손목과 전완근(손목윗부분)의 자극을 느끼며 15~20초 정지한다.
주의사항 : 손가락이 안쪽으로 향하게 놓아둔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7
효과 : 척추의 잘못 치우쳐진 장애의 교정, 척추 탄력성과 유연성 향상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한손으로 반대편 무릎 바깥쪽을 잡아주고 다른 한손은 의자 뒷쭉부분 위를 잡아준다.
3. 척추를 바르게 세워서 무릎에 있는 손과 뒤에 지탱한 손에 힘을 실어 최대한 트위스트 해준다.
4. 15~20초 유지하고 반대쪽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척추를 바르게 세워준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8
효과 : 힙과 고관절 유연성 향상, 많이 걸었을 때의 피로 제거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한쪽 발을 반대편 다리의 허벅지 위에 올려 놓는다.
3. 상체를 최대한 숙여주고 양손은 쭉 뻗어서 바닥에 가깝도록 한다.
4. 15~20초 정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위에 있는 다리의 무릎과 골반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9
효과 : 요통 예방, 척추 탄력성 증가, 허리의 피로제거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상체를 숙이고 양손으로 발바닥을 잡는다.
3. 고개를 숙이고 등과 복부를 윗쪽으로 최대한 끌어 올린다.
4. 15~20초 정지한다.
주의사항 : 바닥에서 뒤꿈치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0
효과 : 후면 대퇴부 유연성 향상, 하체 기혈의 순환

1. 힙이 의자 뒷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바로 앉는다.
2. 한쪽 다리를 구부려서 의자 위로 발을 얹는다.
3. 양손으로 올려진 발을 잡아 허리와 무릎을 함께 펴준다.
4. 15~20초 정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허리가 안 펴지는 경우는 무릎을 살짝 구부려서 허리를 꼿꼿하게 펴주도록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1
효과 : 어깨, 등의 이완, 척추 탄력성 증가, 목의 피로 제거

1. 의자 뒤편에 서서 양손을 어깨넓이만큼 의자 위에 올려놓는다.
2. 한걸음씩 뒤로 물러나면서 상체를 숙여주고 다리를 고정시킨다.
3. 고개를 숙이고 양손에 적당한 힘을 실어 상체를 지긋이 밑으로 눌러준다.
4. 15~20초 유지한다.
주의사항 : 발의 위치를 잘 맞춰서 중심이 흔들리지 않게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2
효과 : 어깨, 등의 이완, 전신 기혈 순환

1. 의자 뒤편에 서서 양손을 어깨넓이만큼 의자 위에 올려놓는다.
2. 한걸음씩 뒤로 물러나면서 상체를 숙여주고 다리를 고정시킨다.
3. 상체의 한쪽부분을 열어주어 밑에 있는 어깨에 서서히 체중을 실어준다.
4. 15~20초 유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어깨의 상해방지를 위해 지나치게 갑자기 누르지 않는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3
효과 : 어깨 유연성 향상, 어깨의 피로 제거

1. 의자 뒤편에 등을 지고 선다.
2. 의자가 놓여진 곳에서 한걸음 앞으로 다가서서 양손을 어깨넓이만큼 의자 위로 올려놓는다.
3. 무릎을 끓고 바닥에 앉아 가슴을 앞으로 내밀면서 허리를 최대한 펴준다.
4. 15~20초간 정지한다.
주의사항 : 바닥에 앉지 못하는 경우는 두걸음 앞으로 다가서서 무릎을 편 상태로 배와 가슴을 최대한 앞으로 내밀어 고개까지 뒤로 젖혀준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4
효과 : 활력증가, 허리통증 제거

1. 의자 뒤편에 등을 지고 선다.
2. 상체를 한쪽 방향으로 트위스트 해주어 양손을 어깨 넓이만큼 의자 위에 올려놓는다.
3. 양손에 적당한 힘을 실어 상체를 최대한 비틀어준다.
4. 15~20초 정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놓여진 발이 움직이지 않게 주의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5
효과 : 소,대변의 원활한 활동, 전신 스트레칭

1. 의자를 옆에 두고 한걸음 반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선다.
2. 한손을 쭉 뻗어주어 의자 위에 손을 얹어 준다.
3. 다른 한팔은 위로 뻗어주어 의자 쪽으로 상체를 기울여 준다.
4. 15~20초 정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지 않도록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6
효과 : 아킬레스건, 종아리 근육 이완, 휘어진 다리 교정

1. 의자 뒷편에 서서 양다리를 모아 바르게 선다.
2. 힙에 힘을 주고 양다리의 뒤꿈치를 바짝 들어 올린다.
3. 15~20초 정지한다.
주의사항 : 신체의 중심선의 중앙에 있도록 한다. 하체에 힘을 주어 다리가 조금도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7
효과 : 좌골신경통 예방과 치료, 힙의 탄력성 즈가, 힙의 유연성 향상

1. 의자 뒷편에 바르게 서서 양손을 위에 얹고 한걸음 뒤로 물러 선다.
2. 한쪽다리 발을 반대편 무릎위로 걸쳐 상체를 약간 숙여 중심을 잡는다.
3. 밑에 지탱한 다리는 살짝 구부려 주어 올라간 다리의 힙과 골반이 이완되게 한다.
4. 15~20초간 정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등이 펴지게 하고 힙과 골반의 자극에 집중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8
효과 : 전면대퇴부 이완, 하체 기혈의 순환

1. 의자 뒤에 양발을 모아 바르게 선다.
2. 한 손은 의자위로 얹고 반대 손은 구부러진 발의 발등을 잡아준다.
3. 발뒷꿈치가 힙 가까이 갈 수 있도록 잡은 손으로 잡아 당긴다.
4. 15~20초 유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양 다리의 무릎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19
효과 : 후면대퇸부 이완, 하체 피로와 젖산 제거

1. 의자 뒤에 양발을 모아 바르게 선다.
2. 양손을 의자 위로 얹고 한걸음 뒤로 물러 난다.
3. 한쪽 발목을 꺽고 앞으로 무릎을 펴서 바닥에 내려 둔다.
4. 다른 한다리 무릎은 구부려 주고 상체를 숙여주어 앞에 뻗어진 다리의 이완을 느낀다.
5. 15~20초 정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등고 허리가 최대한 펴지게 한다.


의자에서의 스트레칭 20
효과 : 아킬레스건, 종아리 이완

1. 의자 뒤에 양발을 모아 바르게 선다.
2. 양손은 어깨넓이만큼 의자 위로 얹고 한쪽 다리는 어깨넓이 두 배 정도의 길이만큼 뒤로 뻗어준다.
3. 앞다리의 무릎을 구부려주고 상체를 약간 숙여준다.
4. 15초~20초 정지하고 반대편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주의사항 : 머리부터 뒤에 놓여진 다리의 선이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한다. 체중을 뒷쪽으로 실어서 뒤에 놓여진 다리의 종아리와 아킬레스건이 이완될 수 있도록 한다.

출처 : 삼일구동기
글쓴이 : 윤재영 원글보기
메모 :
예전부터 떠돌던 얘기들인데...






써도 되는것

현재 이름있는 회사(유한킴벌리 쌍용P&P 모나리자 대한펄프)등에서 나오는 화장지들은 우선 형광증백제가 들어가 있어도 무해한것임을 말씀드립니다. 또한 재생화장지중 누런것들(외국 공항, 관공서에서 사용하는 것들이 여기에 해당)



쓰면 안되는 화장지

주유소 화장지중 올록볼록 앰보씽 처리된것 (거의 100% 재생지며 저급화장지회사에서 유해한 물질 넣은것)

너무 하얀 화장지, 랩킨(이걸루 입닦지 마세요 요것도 주유소 앰보씽이랑 비슷하게 만듭니다.),

키친타월(이걸루 그릇 닦지 마세요 차라리 삶은 행주가 좋습니다.)
출처 : 상실의바다
글쓴이 : 비연랑 원글보기
메모 :
빨간 피망
기름에 살짝 볶아 다른 야채와 섞어 샐러드로 하루 1개를 먹으면 항암 효과가 있는 카로틴과 비타민 E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특히 빨간 피망이 좋은데, 카로틴 함량이 청피망의 2. 8배, 노랑 피망의 5. 5배가 더 많기 때문이다.

단호박
단호박은 암 유전자의 출현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식품이다. 호박 안의 색이 샛노랄수록 암 억제 효과가 크며, 기름으로 조리해 먹으면 카로틴을 제대로 흡수할 수 있다. 씨에도 비타민이 풍부하므로 버리지 말고, 말려서 먹는다.

검은깨
검은깨는 살짝 볶은 뒤 가루로 빻아 매일 1~2큰술씩 먹는다. 깨는 암과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데, 특히 검은깨가 탁월하다.

바나나
바나나는 몸의 면역성을 높여 주는 백혈구를 활성화시켜 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껍질이 검은 바나나, 푸른 바나나, 노랗게 익은 바나나 순으로 효과가 좋다. 효과 지속 시간이 짧으므로 매일 1~2개씩 생으로 먹는다.

베리류
스트로베리(딸기), 라즈베리(산딸기), 블랙베리(흑딸기), 블루베리(청딸기) 등의 과일은 암과 암의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를 억제한다. 가열하면 효과가 반으로 떨어지므로 깨끗이 씻어 껍질째 생으로 먹는다. 과당이 많으므로 하루 5개 내외가 적당하다.

참치 & 꽁치
하루 한 번 싱싱한 회로 먹는 것이 최선. 생으로 먹기 힘들다면 굽거나 조려 먹는 것이 튀기는 것에 비해 좋다. 참치와 꽁치에 풍부한 DHA는 발암에 관련되는 효소의 합성을 막아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레몬
생선이나 고기를 그냥 먹지 말고 탄 부분에 레몬즙을 뿌려 먹는다. 레몬에 풍부한 비타민 C가 탄 음식의 발암 물질을 없애 준다.

감자
감자는 깨끗이 씻어 껍질까지 갈아 즙으로 마시는 것이 가장 좋지만 힘들다면 쪄서 먹는 것도 방법이다. 이때 껍질째 먹는 것이 좋은데, 껍질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메밀
메밀에는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이 풍부해 암의 발병과 증식을 억제한다. 껍질이 더 효과적이므로 껍질을 포함한 전체를 원료로 만든 거뭇거뭇한 메밀을 선택한다. 메밀국수로 요리해 국물까지 먹는 것이 좋다.

팽이버섯
된장국이나 전골에 넣어 1일 10g씩 국물과 함께 먹는다. 발암 위험을 없애고, 암을 막는 방어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야채 수프
당근, 감자, 양배추 등의 야채를 깨끗하게 씻은 뒤 껍질째 썰어 단시간에 가열해 수프를 만든다. 야채를 수프로 만들어 국물까지 먹으면 생으로 먹을 때보다 항암 효과가 50배 이상 높아진다.

가지
항암 효과로 잘 알려진 브로콜리에 버금가는 항암 식품이다. 생으로 먹거나 무침, 튀김, 절임 등 어떤 조리 방법이든 비슷하게 발암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과
사과의 펙틴은 발암 물질과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배설을 촉진시켜 대장암 예방에 특효약이다. 푸른 사과보다는 붉은 사과로 하루 한 개씩 먹으면 되는데, 사과를 가열하면 활성 산소 제거 능력이 더욱 커지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해 먹는다.

송이버섯
송이버섯은 암세포만 선별해 공격하는 단백질이 있다. 때문에 항암 효과가 뛰어난 버섯 중에서도 효과가 으뜸이다. 직접 불에 굽는 대신 쪄 먹는 것이 좋다.

시금치
피부암과 대장암 억제에 효과적인 루테인이 풍부한 식품으로, 기름에 무쳐 먹으면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데칠 때에는 단시간에 빨리 데쳐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는 것이 요령이다.

표고버섯
몸의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를 활성화시켜 암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가열을 해도 효과가 크게 떨어지지 않으므로 다양하게 조리해 하루 1~2장씩 먹는다. 햇볕에 잠시 말려 먹으면 비타민 D의 섭취가 늘어 골다공증도 예방할 수 있다.

현미차
현미에 들어 있는 비타민 A, C, E와 카로틴 등이 암을 억제해 준다. 차로 끓인 뒤 물처럼 하루 10컵 이상 마시는데, 녹차와 섞어 마시면 효과가 더 높아진다.


귤에 있는 3가지 항암 성분 중 2가지가 껍질에 들어 있다. 때문에 귤을 깨끗이 씻어 껍질로 만든 귤피차를 마시거나, 적당히 졸여 마멀레이드로 만들어 먹는 것이 항암 효과를 높이는 비결. 생으로 먹는다면 하루 1~2개가 알맞다.
출처 : 삼일구동기
글쓴이 : 제우스 원글보기
메모 :
구역질이나 멀미가 올 때
 
차를 오래 타거나 배를 타면 진동이 자율신경계의 일시적인 변화를 가져와
구역질이 나거나 기분이 불쾌해진다.
이럴 땐 팔 안쪽 손목의 중심선상에서 위쪽으로 손가락 두 마디 정도 올라간 부분인
내관을 지압해 주면 도움이 된다.
 
 
 
 
 
편도가 부었을 때
 
감기에 걸리거나 목을 많이 사용한 뒤 침을 삼키는 데 통증을 느낄 때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좌우 쇄골 사이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인 천돌을 쇄골 방향으로 밀어 넣듯이 지압한다.
또 양쪽 엄지와 검지의 첫 번째 뼈마디 바로 밑 부분인 삼간을 아플 정도로
자극하면 통증 감소에 도움을 준다.
구강청결제로 입안을 자주 씻어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발목을 삐었을 때
 
등산하다가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거나 계단에 넘어져 발목을 접질렸을 경우엔
냉찜질과 압박붕대로 먼저 발목을 교정해 주는 것이 좋다.
통증이 있으면 바깥쪽 복사뼈 앞의 아랫부분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위인 구허를 지압한다. 발목이 너무 많이 부어 있을 때는 피한다.
이 외에 목 뒤쪽의 풍지나 삔 발의 반대쪽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뼈가 만나는 합곡혈을 자극해도 도움이 된다.
 
 
 
 
 
눈이 충혈되고 피로할 때
 
책이나 컴퓨터 모니터를 많이 보는 회사원 또는 수험생들이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눈을 많이 사용해서 오는 단순한 눈의 피로엔 눈 주위의 경혈을 자극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관자놀이라고 불리는 태양과 눈 안쪽과 콧날 사이에 오목하게 들어간 정명을 지압해 주면 좋다.
 
 
 
 
 
소화가 안 될 때
 
소화가 안 되면 어머니들이 엄지손가락 손톱 뿌리 바깥쪽을 바늘을 이용해 따 줬다.
그러나 바늘은 세균 감염의 위험이 있고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대신 합곡혈과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뼈가 만나는 부위인 태충을 강하게 지압하면 도움이 된다.

 
 
 
옆구리가 결릴 때
 
골프를 치거나 심한 스트레칭을 한 뒤 옆구리가 심하게 아플 때가 있다.
이땐 지압과 동시에 갈비뼈 사이를 따라서 마사지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오른쪽 옆구리가 결리면 왼쪽의 지구
(손등 쪽 손목 관절에서 손가락 4마디 위쪽으로)와 양릉천(무릎 외측)을
지압하면 10초 이내에 증세가 호전된다.
 
출처 : 삼일구동기
글쓴이 : 제우스 원글보기
메모 :
◆ 양력, 음력 변환기

 

양력 ↔ 음력 변환기

1881 ~ 2043 년까지 가능합니다.
 

출처 : 삼일구동기
글쓴이 : 제우스 원글보기
메모 :
 
제조사 및 홈페이지
A/S 센터
고객상담실
삼성전자
(www.sec.co.kr)
전국공통 대표전화 : 1588-3366
핸드폰으로 전화할 경우 :
수도권 : (02)3451-3366
(용산) : (02)717-3377
충청권 : (042)480-3366
강원권 : (0391)652-3366
경북권 : (053)430-3366
경남권 : (051)550-3366
전남권 : (062)250-3366
전북권 : (0652)240-3366
제주권 : (064)742-3366



직통전화 : (02)541-3000
서울지역 : 080-022-3000
부산지역 : 080-051-3000


전국공통 대표전화 : 1588-7777

*지역별 접수 및 상담전화*
서울지역 : (02)2630-7777
(용 산) : (02)706-6435
부산지역 : (051)811-7777
대구지역 : (053)740-7777
광주지역 : (062)514-7777
대전지역 : (042)600-7777
인천지역 : (032)610-7777
대표 클로버전화 : 080-023-7777
기술상담센타 : 080-024-1525
LG IBM PC 기술지원 및 문의 :
080-989-7777, (02)3284-1500
제품별 문의용 클로버전화 :
TV : 080-470-1212
VTR : 080-970-7777
오디오,카세트 : 080-934-7777
전화기 : 080-279-7777
냉장고 : 080-052-1777
전자레인지,가스오븐레인지 :
080-052-2777
에어컨 : 080-069-9999
밥 솥 : 080-052-2777
청소기 : 080-069-8888
FAX : (02)2630-3564(5)
대우전자
(www.daewoo.co.kr)
24시간 대표전화 : (02)3431-4514
클로버전화 : 080-022-8254
전국공통 클로버전화 : 080-900-8282

*지역별 대표전화*
서울 : (02)360-8282
부산 : (051)469-8282
대구 : (053)357-8282
대전 : (042)623-8282
광주 : (062)529-8282
FAX : (02)364-5093
아남전자
(www.avtown.co.kr)
전국공통 대표전화 : 1588-2200
카메라 : 861-4820~1
(02)568-8572
(02)563-8271
현대전자
(02)501-1473
080-990-1472
대우통신
(dwe-service.com)
(02)718-8255
080-987-8585
(02)562-9133
080-707-0700
동양매직
(magicmall.co.kr)
(02)2202-7784
080-966-7784
대표전화: (02)320-5555에 문의
(전국 각 지역국)-3651, 1588-3651
(02)325-3651
(02)704-8701~5
080-023-8285,1588-8888
리빙테크
(www.bubang.co.kr)
080-730-2580
02)538-0147
대표전화 : 1588-9588
080-400-0001

바텔
(www.vatel.co.kr)

02)3777-9221~7
080-022-0234
02)522-7111
02)514-0703 / 2264-4823
080-023-8855
(02)365-3535
080-535-3535
1588-8333
02)3660-2000
대표전화 : (02)3273-2000
080-777-2000
02)538-5850
080-900-5850
02)2273-3300
전국공통 대표전화 : 1588-0055
02)2262-4300
02)3272-0780
아남니콘
(nikoncanon.co.kr)
02)861-6405~6 / 319-9198~9
080-567-3131
서울지역 : (02)568-4531(2)
부산지역 : (051)865-3656
제품문의 : (02)3398-1459(62)
클로버전화 : 080-966-0808
고객지원팀: (02)955-3294~5
소비자 보호 센터: 080-023-1133
02)652-7007
02)784-9440~4
(02) 708 - 5600
키친플라워
(kitchenflower.co.kr)
02)712-3717
전기밥솥문의:032-873-5181~4
02)474-4273
A/S 본부 (031)467-8801~3,1588-9006
1588-5949
1588-8899
080-380-9999
(02)332-4353
고객 지원부: (02)471-8454
080-600-6600(수신자 부담)
한국에이서
(www.acer.co.kr)
080-909-9900
한화정보통신
(www.hanwhatel.co.kr)
02)7026-272 / 4229-272
1588-1231
02)2630-1631
현주컴퓨터
(www.hyunju.com)
서울지역 : (02)3453-3651(5)
부산지역 : (051)513-8158(9)
대구지역 : (053)766-3144(5)
광주지역 :(062)653-0911, 0975
080-022-0117
02)3773-5441~4
080-719-5242
1544-5390
대표전화 : 1588-3515
강남센터 : (02)3420-3333
용산센터 : (02)716-8793(4)
부산센터 :(051)468-8642, 852-0682
대구센터 : (053)442-8255(6)
대전센터 : (042)525-1780(1)
광주센터 : (062)528-2311(2)
고객지원센터 : (02)553-3515
서울지역 : (02)3453-3651(5)
부산지역 : (051)513-8158(9)
대구지역 : (053)766-3144(5)
광주지역 : (062)653-0911, 0975
080-022-0117
비디오 카메라 공식수입원:
(02)2268-9000,2274-8000
공식지정 A/S센터 (대표 전화):
(02)3272-1133
HP 한국휴렛팩커드
(www.hp.co.kr)
서울지역 : (02)3270-0700
대구지역 : (053)742-2686
부산지역 : (051)506-3082
기타지역 : 080-999-0700
(02)3272-0720
(02)705-1830
(02)781-7114
080-022-8383
대표전화 (02) 2189-3100 ,02)711-3063
080-711-8800
LG상사 - LOGIX
(www.logix.co.kr)
서울 : (02)706-0836
부산 : (051)897-8350
대구 : (053)426-4245
대전 : (042)532-7044
광주 : (062)350-8571
080-706-0836
080-565-1182
02)888-5553, 5221
출처 : 삼일구동기
글쓴이 : 제우스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