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컬링의 문제  

 

나사(Screw)의 저항

 

허리를 수평으로 한 채로 어깨만을 회전시키면 어깨의 회전이 멈출 때에는 "나사의 저항"이 발생하고 급브레이크가 걸립니다. 나사의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허리의 기울기를 어깨의 기울기에 맞추어 편평한 판 모양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허리를 수평으로 한 채로 헤엄치면 어깨의 기울기를 수평으로 되돌릴 때에 역추진력이 발생합니다. 어깨도 수평으로 해서 오징어 형태로 크롤을 헤엄치면 나사의 저항이나 역추진력은 발생하지 않습니다만,수면에 닿는 면적이 커져서 조파저항이 커지게 됩니다. 게다가 휴식도 취할 수 없습니다.

 

 

                                                                   

 

 

 

                                      

                     (나사저항이 있는 상태)                                (나사저항이 없는 상태)

 

(나사의 저항)

나사는 돌리지 않고 뽑아 내려고 하면 큰 힘이 걸려서 간단하게는 뽑을 수가 없습니다.

이것과 같은 원리로 어깨와 허리의 관계가 나사 상태가 된 채로는 어깨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좋습니다만 리커버리의 후반에서 어깨의 회전이 멈출 때에 갑자기 "나사의 저항"이 일어나서 급 브레이크가 걸립니다. 나사의 저항을 없애기 위해서는 어깨가 최대로 기울었을 때에 허리도 기울여서 몸체를 "편평한 판 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나사는 돌려야만 빠집니다)

 

 

 

트위스트 스트레치(Twist stretch)

 

트위스트 스트레치는 어깨와 허리를 크게 회전시키고 허리와 어깨의 기울기를 일치시킴으로서 나사의 저항을 줄이는 기술입니다. 어깨를 비틀고 몸을 펴는 것에 의해서 어깨와 허리가 자동적으로 크게 회전하고 기울기가 일치해서 "평판상태'가 됩니다. 

 

이것에 의해서 리커버리 할 때에 나사의 저항을 줄이고 스피드를 낼 수 있습니다. 긁기가 끝난후에도 나아갑니다.  

 

 

(트위스트 스트레치의 형태)

지지하는 것에 손바닥을 붙여 어깨와 팔의 밑부분을 안쪽으로 비틀어 어깨를 반회전 시킵니다. 동시에 그 손을 외측으로 밀어 내 팔과 몸과 다리를 잡아 늘리고 리커버리의 손을 밖에서 안으로 끌어 들입니다. 이 트위스트 스트레치의 반력에 의해서 어깨와 허리가 돌면서 크게 기울어 허리와 어깨의 기울기가 일치해서 "평판형태"가 됩니다.

 

1) 늘리는 손의 옆의 다리는 뒤로 똑바로 늘려 마루를 뒤로 누릅니다.

2) 팔과 머리에 대하여 허리가 비틀린 상태가 되어 팔과 다리가 길게 늘려진 상태가 됩니다. 만약 팔과 머리를 비틀지 않고 단지 허리만 기울이면 늘려진 손이 몸의 정면으로 와버려 저항이 커지고 다음에 긁을 수가 없습니다. 

 

 

 

 

 

 

 

 

손의 끌어 당기기

 

손의 끌어 당기기는 어깨와 허리를 회전시키고 허리와 어개의 기울기를 일치시키는 기술입니다.

서클스컬링의 긁기 마지막 부분으로 외측으로 올라간 손을 리커버리로 머리쪽으로 향하여 끌어 당기면 그 반력에 의해서 어깨와 허리가 자동적으로 크게 회전을 하고 기울기가 일치하게 됩니다.

 

이것에 의해서 리커버리를 할 때에 어깨와 허리도 기울이면서 나사의 저항을 줄이고 속도를 내는것이 가능해 집니다. 긁기가 끝난 후에도 계속 나아갑니다.

 

참고, 손을 수면근처에 낮게해서 리커버리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서클스컬링에서는 손을 팔꿈치 높이 정도 올리는 편이 궤적이 매끄럽게 이루어집니다. 어느쪽의 경우에도 손을 몸의 외측으로부터 머리쪽으로 끌어 당기는 것에 의해서 어깨와 허리를 회전시킵니다.

 

 

 

 

턴 직전의 그림입니다. 

그림 1은 오른손의 리커버리로 외측에으로 손이 나온 곳입니다. 

그림 2,3에서는 손은 내리고 있습니다만  손을 머리쪽으로 향해서 끌어당기고 있습니다. 

그림 4는  어깨의 연장선상에서 입수를 하고 있습니다.

그림 5는 왼손의 리커버리로 높게 올린 손을 머리쪽으로 향해서 끌어당기고 있는 곳입니다. 몸체가 90도 가까이 기울어져 있습니다. 여기로부터 어깨의 연장선상에 입수를 합니다.

 

 

 

 

드리프트 로스(Draft-? loss)

 

일반적으로 "한 개의 선위를 똑바로 나아가도록" 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특별한 일을 하지 않으면 똑바로 나아갈 수가 없습니다.

아래 그림은 오른손으로 스컬링 할 때의 그림입니다.

 

스컬링(빨간색 화살표:F)을 하면 반드시 사이드모멘트(side moment:측면 관성-M)가 일어납니다. 이 사이드모멘트의 반력(m)에 의해서 나아가는 축이 반 스컬링측에 어긋나고 몸체가 선회해서 드리프트(옆으로 틀어짐-D)가 일어납니다.

 

몸체가 드리프트를 일으키면 드리프트로스라 하고 힘이 몸을 바로 잡기 위한 쪽으로 사용되어서 추진력이 떨어집니다. 동시에 측면에 소용돌이(와류)가 발생되어 저항이 커집니다.

 

헐렁한 헤엄을 치면 일반적으로 드리프트 헤엄이 되어 버립니다.

 

                                                            

 

 

 

 

 

 

 

                    (그림 :  드리프트 로스)                                               (스컬링 시프트)

 

 

 

스컬링 시푸트(Sculling shift -이동)

 

드리프트를 방지하고 힘의 로스를 없애기 위해서 스컬링시푸트(s)라는 것이 있는데 명치의 등뼈를 굽히고 드리프트의 반대방향으로 상체를 이동(시프트)합니다.  이것에 의해 몸체는 스컬링 측으로 나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역방향의 드리프트를 방지할 수가 있습니다.

 

오른손으로 빨간색의 화살표의 힘:F에 잡히고 파란색의 선을 따라서 몸체를 앞에두고 당기는 느낌입니다.

 

주의 1 : 그곳이나 허리에서 굽어지지 않게 합니다. 명치에서 굽힙니다.

주의 2 : 플로팅(유선형)자세로 머리의 방향은 자연스럽게 나아갈 방향으로 둡니다.

주의 3 : 글라이드(입수후 손의 늘림)해서 나아가는 쪽의 손은 어깨보다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왼쪽그림: 어깨사이의 등뼈를 스컬링측에 시프트(이동)합니다.                  오른손으로 긁을 때에 똑바로 

우측그림: 펠프스도 시프트하고 있습니다.                                       나아가기 위한 스컬링 시프드(이동)

            

참고, 물고기는 꼬리 지느러미를 움직일 때에 동체의 전반부를 외측(지느러미의 반대방향)으로 굽혀서 시프트를 하면서 드리프트를 막고 있습니다. 돌핀 킥이나 접영도 같은 방법을 취합니다. (다운킥에서는 위로 시프트하고 업킥에서는 아래로 시프트 합니다)

 

참고, 2007세계수영 200m 결승. 세계신기록 마이클펠프스(스타트 직후의 돌핀킥과 접영의 수중영상) 

 

참치는 꼬리지느러미를 움직이기 시작할 때에 머리가 약간 외측(꼬리지느러미의 반대방향)으로 시프트(이동)하고 있습니다. (외측으로 시프트를 할 수 없는 물고기 로봇등에서는 꼬리지느러미가 움직이면 턴 방향으로 머리가 선회해버려 지느러미의 힘이 소용없게 되어 버립니다)...... 참치의 동영상

 

주의, 같은 장소에서 헤엄쳐 놀고 있는 물고기는 똑바로 헤엄치는 것은 적고 드리프트 헤엄으로 빈번히 방향을 바꾸고 있습니다. 외측으로 시프트를 해서 빠른 속도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한순간이므로 틀리기 쉽습니다. 

 

 

 

시선 챠트(View chart)

 

"시선챠트"를 머리속으로 이미지 하면 "스컬링시프트"하기가 쉬워집니다. 스컬링시프트를 하면 시선이 좌우로 이동합니다. 동시에 어개는 좌우로 기울기 때문에 3박자의 리듬으로서는 오른손으로 긁기 시작하는 1 박자에서 우측으로 시프트하고 2,3 박자에서 잠기며 들어가면서 얼굴을 세로로 통과하는 시선이 A글자의 오른쪽 경사변의 각도에 기웁니다. 아래 그림의 핑크색 선이 됩니다.

 

다음의 1 박자는 왼손을 긁기 시작하는 타이밍으로 좌측으로 올라가는 시프트를 하고 2,3 박자에서 잠기며 들어가면서 얼굴이 왼쪽 경사변의 각도에 기웁니다. 아래 그림의 초록색 선이 됩니다.

 

주 1 : 3 박자 리듬은 "동작의 타이밍"에서 보여준 타이밍이 됩니다.

주 2 : A자의 경사변이란 75정도 기울어진 선으로 이마로부터 턱으로 그어진 선(얼굴의 세로선)으로

         아래 그림의 회색의 점선이 됩니다. 목의 구조상 몸첼르 45도 이상 기울이면 얼굴은 75도 이상

         기울어집니다. 만약 목이 45도 이상 회전하면 얼굴의 선은 서 있는 상태가 좋습니다.

 

더욱이 휴식으로 들어가면 1 박자보다 "한순간 빨리"획 아치를 그리고 2,3 박자에서 잠기면서 들어가면서부터 옆의 벽을 보고 다음의 1 박자에서 반대측으로 아치상에 되돌려 올라가면서 시프트(이동)하고 2,3 박자에서 박자에서 잠기며 들어가면서 얼굴이 A 자의 오른쪽 경사변의 각도에 기웁니다. 다음의 1 박자에서 반대측으로 올라가는 시프트를 하는 것이 반복됩니다.  

 

                     

                                                 

 

 

 

 

 

 

 

          (스컬링시프트)        (우측의 아치호흡과 시프트)   (좌측의 아치호흡과 시프트)           (시선 챠트)

 

 

(시선의 움직임)

오른손으로 스컬링을 할 때는 그림의 빨간색의 점으로 상승 시프트를 하고 잠기며 들어가면서 얼굴을 A자의 경사면에 기울입니다. 왼손으로 스컬링을 할 때는 그림의 초록색의 점으로 상승 시프트를 하고 잠기며 들어가면서 얼굴을 A자의 경사면에 기울입니다. 아치 호흡을 할 때는 빨리 점을 넘기고 점선으로 나나내 보인 아치상을 그리고 휴식을 취합니다. 아치호흡의 되돌아오는 것은 가는 선으로 나타내 보인  아치를 더듬고 수면 아슬아슬하게 점에 되돌립니다. 아래 그림은 잠기면서 들어갈 때의 어깨와 허리의 기울기 입니다. (얇은 회색은 처음 위치 입니다)

 

시선챠트는 개념적인 것이므로 보면서 한다면 거기에 정신을 빼앗겨 전체의 움직임이 잘 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시선챠트를 바로 위의 천정에 붙였다고 이미지해서 기억하면 좋습니다.

 

스컬링 시프트가 기억하기 어려운 경우는 지상연습으로 간단히 기억할 수 있습니다. 지상에서는 잠기며 들어가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 쪽의 그림과 같이 하면 됩니다.

 

스크류모션의 움직임에 위의 스컬링시프트의 그림을 맞추면 머리의 움직임은 아래의 그림과 같은 움직임이 됩니다. 이 때 시선은 반대측으로 가기 때문에 "시선챠트"와 같이 됩니다. 예를들면 머리를 왼쪽으로 기울이면 시선은 우측으로 갑니다. 실제로 머리를 좌우로 기울여 확인해 봅니다. 

 

얕은 선에 대하여 진한 선이 시프트 했을 경우의 선입니다. 시프트량은 조금이므로 풀의 밖으로부터 외형에서는 머리는 똑같이 좌우로 움직여 보입니다.  

 

제일 기울어지는 3 박자는 가운데로 돌아오기 시작합니다만 그 때는 머리가 제일 기울어질 때이므로 시선 자체는 끝단에 있는 채로 제일 가라앉아 있는 상태가 됩니다.

 

(주의) 머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과 시선과는 다르기 때문에 주의합니다. 플로팅 자세를 취하고 있으면 시선은 머리의 축으로부터 약 45도 기울고 있기 때문에 시선은 머리의 위치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갑니다.  이 관계는 마루에 수직으로 서서 천정의 선을 보면서 상체를 회전시킨다고 이해를 하면 됩니다.

 

                                 

                                                              

 

 

 

 

 

 

http://cafe.naver.com/ssjj66/3509   서클스컬링 일본웹페이지(번역)

--http://cafe.naver.com/ssjj66/3511  로마2009 영상 해설(번역)

--http://cafe.naver.com/ssjj66/3514  크롤의 포인트 일본웹페이지(번역)-2

--http://cafe.naver.com/ssjj66/3539  참고자료

--http://cafe.naver.com/ssjj66/3541  스마트스위밍의 전체구성

 

 

스마트 스위밍(Smart swimming)의 전체 구성  -참고용-

================================================================

 

 

특별히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만 "스마트 스위밍의 전체 구성"의 참고로서 실었습니다.

 

 

 

대중적인(Popular) 수영과 스마트(Smart) 수영의 차이

 

대중적인 수영은 일반 수영 스쿨에서 가르치고 있는 방법으로서 육상의 생활과 같은 감각으로 수영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것에 반하여 스마트 수영은 자연의 원리를 이용한 수영방법입니다. 육상 생활의 감각과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만 자연의 원리에 가깝기 때문에 대중적인 수영보다 짧은 시간에 간단히 기억할 수 있습니다.

 

1. 비교표

 

 

 

 

 

2. 대중적인 수영(Popular swimming)에 관하여

 

일반적인 수영교실에서 가르치고 있는 수영방법으로서 육상의 생활과 같은 감각으로 수영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S자 스컬링"이 기본이 되고 있습니다. 

 

"S자 스컬링"은 1971년 미국 인디애나 대학의 제임스.E. 칸시르만 코치가 제창한 영법입니다. 그가 지도한 수영선수(마크 스피츠, 게리홀, 짐 몽고메리 등)가 올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입상을 하여 수영계에 큰 충격을 주었고 그 여파로 세계적으로 보급이 되었습니다. 

 

마크 스피츠는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7개의 금메달을 획득했고 그 전부를 세계 신기록을 냈습니다.

게리 홀은 1968년부터 3개의 대회를 연속해서 올림픽에 출전하여 은 2개, 동 1개를 획득하였고,

짐 몽고메리는 1976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3개 획득하였습니다.

 

실제 "S자 스컬링"이 나온지 6년정도에서 남자 100m의 기록은 2.5초나 단축을 시켰지만 그 다음 현재까지의 30년 동안에 1.6초 밖에 단축되고 있지 않습니다. 여자 100m의 기록에서는 "S자 스컬링"이 나오고 나서 10년 사이에 4.12초나 단축되어 그 후 27년 동안에는 1.79초 밖에 단축되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S자 스컬링"에 의해서 매우 큰 기술혁신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S자 스컬링"이 보급되기 전에는 손으로 물을 곧바로 뒤로 밀고 그 항력으로 나아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을 하고 끊임없이 곧바로 뒤로 밀라고 하는 지도였습니다. 칸시르만도 1968년의 저서 수영의 과학에서는(Science of swimming) 직각, 직선으로 긁는 것이 좋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S자 스컬링"을 제창한 이후에는 새로운 수영의 과학(The new Science of swimming)이라는 책을 내 고속화의 길을 열었습니다. "S자 스컬링"은 종래의 직각, 직선 긁기을 대신해서 20년 이상이나 수영계에서 절대적인 지지를 받아왔습니다.

 

"S자 스컬링"을 기본으로 해서 킥이나 호흡을 육상생활의 감각으로 수영할 수 있도록 한 수영법이 포뮬러 스위밍으로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습니다. 포뮬러 스위밍에서도 노력하면 톱 레벨에 가까운 스피드가 나오기 때문에 넓게 보급되어 왔습니다. 특히 육상의 생활과 같은 감각으로 수영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앞으로도 일반적인 영법으로서 계속 이어져 간다고 생각합니다.

 

포뮬러 스위밍("S자 스컬링")의 재미있는 점은 2 비트 킥으로 거의 다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꽤 빠르게 수영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3. 스마트 수영(Smart swimming)에 관하여

 

자연의 원리를 이용하여 수영하는 방법입니다. 육상 생활의 감각과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연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연의 원리에 가깝기 때문에 파뮬러 수영보다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1990년대 후반 "S자 스컬링"을 기본으로한 영법의 기록이 한계에 이르렀고 크롤의 세계기록이 침체되어 왔습니다. 2000년경부터 빠른 수영에 적합한 새로운 수영법이 나왔습니다. "S자 스컬링"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자연계에서 빠르게 헤엄치는 물고기의 움직임을 연구하는 바이오메카닉스를 받아들인 스마트 수영입니다. 

 

스마트 수영의 개개의 기술은 완전히 새로운 것은 없고 개개의 기술로서는 1968년 러시아의 브릿빗치와 츄드후스키(Butovich & Chudovskiy)가 고안한 서클스컬링이나 긴 시간동안 이단의 수영법으로 되어 있었던 1980년대의 자넷 에반스의 스크류모션 등이 있습니다.

 

스마트 수영을 구체화하고 가까이 한 선수는 이언소프로서 수영할 때마다 세계기록을 갱신시켜 왔습니다. 여자에서는 자넷 에반스의 세계 기록을 19년 만에 2.12초 갱신하여 베이징 올림픽에서 우승한 레베카 아드린톤(19살)이 이상적인 폼의 수영을 합니다. 155cm의 몸집이 작은 선수이나 예쁘고 매끄러운 수영을 합니다.  세계기록을 계속해서 갱신하고 있는 리베스 렌톤도 몸집이 작지만 예쁘고 매끄러운 수영을 합니다.(그 후 파울 비더만, 훼데리카 페리그리니 등의 수영법도 참고가 됩니다)

 

이언 소프가 세계 신기록을 계속해서 갱신한 2000년 무렵에 "S자 스컬링"에 익숙한 사람의 눈에는 직선적으로 보인 것 같습니다. 본인과 다그 프로스트 코치도 "S자 스컬링"이라고 말했으므로 얘기가 어렵게 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인터넷으로 동영상도 볼 수 있게 되었으므로 그 때와 같이 일방적인 얘기는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세계기록을 갱신한 경기의 수중촬영한 동영상을 보면 서클스컬링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후의 최고 선수의 수영법에서는 매끄러운 핀워크, 플로팅 자세, 오버헤드풀, 같은 쪽 팔동작의 발차기, 스크류모션 등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수영의 실험이나 해석은 네델란드의 후리이(Vrije)대학의 Huub M Toussaint 교수나 스페인의 그라나다 대학의 Arellano 교수 등의 연구가 참고가 됩니다.

 

스마트 스위밍은 자연의 원리를 사용하고 있고, 작은 힘으로도 빠르게 수영할 수 있고, 모양도 예쁩니다. 최고 선수 뿐만이 아니고 일반 사람이 느긋하게 수영하는 경우에서도 편하게 수영할 수 있기 때문에 클럽이나 리조트에서 수영하는 경우에서도 즐거운 수영이 됩니다.

 

스마트 스위밍의 문제점은 육상생활의 감각과는 완전히 디르기 때문에 연습방법을 모르면 기억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연습방법만 기억하면 포뮬러 수영의 괴로운 연습보다 짧은 시간에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수영에서도 꽤 빠르게 수영할 수 있습니다만 스마트 수영을 도입하면 더욱 기록 갱신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의 한 인터넷 사이트에

[스마트 스위밍] 이란 제목으로 다양한 수영이론을 열거한 자료가 있습니다.

 

우연한 기회에 이 자료를 접하고서 일본어로 되어 있다는 부담감 때문에 선뜻 다가서지를

못하였지만 웹사이트 번역기라는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서 "의역(意譯)"을 해 봅니다....

(번역기+짧은 일본어+수영전문용어+사전= 총 동원해서 주관적인 의역을...)

 

워낙이 짧은 일본어 실력이라...허접할 수도 있습니다...

혹시라도 내용이 이해가 안갈까봐 원문이 있는 사이트 주소를 같이 첨부해 놓았습니다... 

 泳力이 어느정도 되는 분들은 많은 도움이 되리라는 확신에서 다소 어렵더라도 글을 올려 봅니다.

 

--------------------------------------------------------------------------------------

 

차    례

 

* 스마트 스위밍의 체계(원본).....................http://www.geocities.jp/ssfasternote/ss_system.html

* 스마트 스위밍의 체계(의역본)..................http://cafe.naver.com/ssjj66/2714

 

* 서클스컬링(Circle sculling)(원본)..............http://www.geocities.jp/ssfasternote/circlesculling.html

* 서클스컬링 - 1 (의역본).........................http://cafe.naver.com/ssjj66/3495

* 서클스컬링 - 2 (의역본).........................http://cafe.naver.com/ssjj66/3510

* 서클스컬링 - 3 (의역본).........................http://cafe.naver.com/ssjj66/3519

* 서클스컬링 - 4 (의역본).........................http://cafe.naver.com/ssjj66/3521

* 서클스컬링 - 5 (의역본).........................http://cafe.naver.com/ssjj66/3522

 

 

----  작업중  -----

* 로마 2009년 영상본 해설(원본)................http://www.geocities.jp/ssfasternote/infolink_roma09.html

* 로마 2009년 영상본 해설(의역본).............http://cafe.naver.com/ssjj66/3531

 

* 크롤의 포인트(원본)......... http://webmap.torikyo.ed.jp/ipa/h1swim/h1kn20/h1cr20/IPA-swm290.htm

* 크롤의 포인트(번역기)...........................http://cafe.naver.com/ssjj66/35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