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강- 선인장과 다육식물
<용어정리>
※가시자리 (areole) : 선인장의 생장점으로 실제로는 변형된 잎눈이다. 가시자리로부터 가시 꽃 등이 발생한다.
※능 (rib) : 선인장의 줄기에 있는 능선을 말하며 보통세로방향이다.
※꽃자리 (cephalium) : 가시가 밀집해서 발생한 관부로 꽃과 열매가 생긴다.
※저면급수 (底面給水) : 작물이 밑으로부터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
※자구 (子球) : 식물의 주구에서 나오는 새끼구
※모구 (母球) : 우량형질을 갖추어 번식의 모본이 되는 구
※일소현상 (日燒現象) : 강한 햇볕에 식물이 타는 증상
※다육식물 (多肉植物) : 식물의 잎 또는 줄기가 저수조직이 발달하여 다육화한 식물
※저수조직 (貯水組織) : 식물의 줄기나 잎의 조직 중에서 특히 수분을 저장해 두는 유연한 조직
Ⅰ. 선인장
1. 식물학적 특성
♥선인장의 식물학적 특성
-줄기에서 가시자리가 나옴
-구형, 편원형, 원통형 등 형태적으로 다양
-일반식물과 다른 광합성 경로(CAM형)를 가짐
♥가시
-가시자리에서 발생
-증산을 막기 위해 잎이 퇴화되어 생긴것
-가시자리(刺座 areole )
? 선인장의 생장점
? 선인장만의 독특한 기관
? 가시, 잎, 측지, 꽃등이 발생
*금호선인장
♥꽃
-꽃자리(化座 cephalium)
-가시자리(刺座 areole )
? 꽃자리에는 가시가 밀생
? 꽃모양과 색 다양
? 개화수가 적고, 개화기관이 불규칙
? 개화기간: 2~3일 정도, 선인장 몸체로 보면 1개월 정도
? 자가불화합성, 타가수정
*꽃은 원색적이고 화려하다(1개월 정도 관상)
♥줄기
-많은 양의 수분 저장 가능
-줄기의 표피에서도 수분 흡수가능
-부드럽고 탄력성이 좋음
-겉 표면에 이산화 탄소 흡수를 위한 기공이 있음
-능(稜 rib)
? 줄기 표면에 나있는 깊은 주름
? 체온 조절기능
?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수로 역할
♥뿌리
-쌍자엽 식물로 주근과 측근으로 구분
-다수의 세근이 발생하여 뿌리수염처럼 보임
-석회암지대의 강한 알카리성 토양에 자생
? 뿌리에서 산성액 분비→중화(양분, 수분 흡수)
-뿌리의 분표는 종류에 따라 천근성, 심근성등
♥광합성
-사막지대 적응을 위해 독특한 광합성 경로로 진화
? 낯에는 증산을 막기위해 기공을 닫음
? 밤에는 기공을 열어 이산화 탄소, 흡수, 저장
-CAN식물
? 밤동안 저장해둔 이산화탄소로 낮에 광합성을 하는 식물
? 실내식물로 도입하면 야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감소효과
*야간에 이산화탄소를 흡수 하기 때문에 실내에 놓아두면 공기가 정화
2. 선인장의 종류
3. 선인장의 번식
♥종자번식
-종자를 이용하여 번식시키는 방법
-인공교배실시→대부분 자가 불화합성
-파종~발아까지 세심한 기술이 요구됨
-장점: 단시간에 많은 묘 대량생산 가능
-단점: 선인장의 능의수 감소, 무늬가 생기는 등 변이 발생
*때로는 변이가 관상가치를 높여 줄 수도 있다.
*교배는 낮시간 맑은 날에 시키면 종자가 잘 맺는다.
* 3~4일 정도면 수정 여부를 알수 있다.
* 파종시 온도는 약 20。C ~30。C 유지
* 10~20일 사이에 발아
♥인공 분지법
-삽목번식의 일종
-인공적으로 자구형성 촉진, 분지를 유도
-생장점을 제거 또는 절단하는 방식
-생장점 제거법
? 생장점을 제거하여 주위에 자구가 올라가게 함
? 강제적으로 분지발생을 촉진
*가시자리마다 생장점이 있다.
♥접목 번식
-생육을 촉진 하고자 할 때
-엽록소가 적은 선인장을 존속 시키기 위해
-유색변이종은 엽록소가 풍부한 녹색의 대목 필요
-대목조건
? 뿌리가 튼튼해 생육이 왕성해야 함
? 접수와의 친화성이 강해야 함
? 접목 후의 수명이 길어야 함
? 대목 자체 번식이 용이해야 함
?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아야 함
* 대목으로는 사용하는 선인장은 약 40여종
*유색인 비모란 선인장 90%정도 약 20개국에 수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기구를 화염소독
4. 선인장의 재배기술
♥선인장의 재배기술
-최소한의 관리로 오랜 기간 즐길수 있는 관상식물
-선인장의 형태나 가시의 색과 형태를 관상
-품종의 특성을 이해하고 알맞은 관리가 중요
*선인장은 특히 물관리를 잘 해야 한다.
♥선인장 재배의 요점
-자생지 환경 고려
-관수 할 때에는 충분히 해야함
-비료를 적절하게 사용
-용토에 석회를 넣거나 주기적인 분갈이 필요
♥온도와 통풍
-우기에 생장, 건기에 휴면
? 따뜻한 우기에 생장하면 여름형(하형)
? 서늘한 우기에 생장하면 겨울형(동형)
? 대부분의 생장은 봄과 가을에 이루어짐
-온도
? 최고 35。C 이하, 최저 15。C 이상
? 한여름에는 차광과 야간에 통풍이 필요
-일조
? 햇볕을 충분이 쪼여주는 것이 좋은
? 생장기는 물론 휴면기에도 햇볕을 잘 받아야 함
-차광
? 강한 햇볕에 데어 조직이 상처를 입은 일소현상 발생
? 환기와 차광을 통해 실내 온도를 낮춤
? 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차광
♥관수
-관수량과 간격은 여러 요인에 따라 변함
? 계절, 기후, 기온, 용토
? 선인장의 종류와 크기
? 분의 재질과 크기
? 생장기와 휴면기등
-분 밑바닥에 물이 흘러나올 정도로 관수
-여름철 한낮, 겨울철 늦은 오후 관수는 피함
-겨울에는 미지근한 물 사용
♥비료
-선인장은 비료에 대한 요구도가 낮음
? 비료 성분은 용도가 낮은것을 사용
? 화학비료 보다는 유기질 비료 적당
? 완숙한 계분, 돈분등을 분의 바닥에 소량 시비
? 생장이 빠른 선인장
ㆁ시판되는 가루비료를 물에 용해시켜 줌
ㆁ초화류에 사용되는 액비를 5~10배 엷게 희석시켜 사용
? 선인장 상태가 안좋을 때는 새 용토로 갈아 줌
♥화분
-용토 내의 수분조절, 온도 유지 역할
-관수된 물이 잘 빠져나가는 분
-크기; 선인장 보다 조금 큰 정도
-플라스틱 분
? 관상가치는 좋으나 통기성이 나쁨
? 토양 온도를 높임
-토분
? 투박 하지만 통기성이 좋음
♥분갈이
-심은후 1년 정도후 용토 갱신과 뿌리 정리
-휴면 끝나고 생장을 시작하는 봄에 함
-분갈이 순서
? 식물을 분에서 빼 냄→묵은 흙과 뿌리 정리→뿌리를 그늘에서 말림 →화분에 다시 옮겨 심음→10일 수 물 줌
*봄에는 물을 충분히 주고, 여름에는 야간에 조금 준다.
가을에는 물을 충분히 주며, 겨울에는 단수하는 것이 좋다
Ⅱ. 다육식물
1. 다육식물의 여러가지
♥다유식물의 분류
-주로 잎이 다육질인 식물
? 용설란과, 돌나물과, 석류풀과, 백합과, 쇠비름과
-주로 줄기가 다육질인 식물
? 박주가리과, 대극과, 선인장과
-줄기 기부가 다육질인 식물
? 협죽도과의 Pachipodium속, Adenium속
-주로 뿌리가 다육질인 식물
? 참마과의 구갑룡
2. 다육식물의 재배요점
♥다유식물의 재배요점
-햇빛이 잘 드는 창가에 배치하여 관리
-배양토는 공극이 많고 배수가 잘 되는 흙 사용
-화분 바닥에 자갈 등을 깔아 배수력을 높임
-물을 너무 자주 주면 부패의 원인이 됨
<요점정리>
1. 선인장은 일반적으로 일조가 풍부하고 밤낮의 온도교차가 급속히 변하는 곳에 많이 분포한다.
2. 선인장은 200여 속 2천5백여 종이 있다.
3. 선인장은 주로 관상식물로 이용되지만 식용이나 약용으로 쓰이는 종도 있다.
4. 선인장 번식은 종자번식, 삽목번식, 접목번식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5. 선인장 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종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그에 알맞게 관리하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