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강- 난
<용어정리>
※원괴체: 난의 종자가 발아하는 과정에서 배가 부풀어서 잎, 뿌리, 줄기 등의 기관으로 분화되기 전단계의 덩어리 상태
※위구경: 뿌리와 잎을 지지해 주고 양분과 수분의 저장기관이며 줄기가 단축된 기관.
※지생란: 뿌리에 비대한 괴근이 형성되어 있거나 뿌리자체가 저장기관의 역할을 하며 땅속에 뿌리를 뻗고 살아가는 난의 종류.
※착생란: 줄기와 잎은 저수기능이 있고, 뿌리가 나무의 줄기나 바위의 표면에 착생하여 자라는 난의 종류.
※부생란: 잎과 줄기가 없거나 형태적으로 존재하더라도 흔적만 남아 있고 엽록소가 없기 때문에 탄소동화작 용을 하지 못하는 기생식물의 일종.
※난균: 난과 공생관계에 있는 곰팡이의 일종으로서 난과식물의 뿌리에 공생하며 영양분을
공급해준다.
※일소현상: 광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잎의 엽록소가 감소 또는 파괴되어 잎이 황록색으로 변하거나 노랗게 되 고, 지나치면 황갈색으로 타는 현상을 말한다.
1. 난의 식물학적 특성
*화훼수출 1위 (년간 1억불)
♥형태적 특징
*원산지:유럽
*원산지:중남미
*원산지:오스트레일리아
♥기관의 특징
*봉심 2장, 꽃잎 3장, 꽃받침 3장
2. 난의 종류와 분류
♥난의 구분
*부생란-부엽토에서 곰팡이와 공생
♥난의 종류
*남극, 북극을 제외한 전지역에 분표
*한란-천년기념물 제 192호
♥난의종류(서양란)
3. 난의 번식
♥ 난의 번식(종자번식)
*난의 종자는 배는 있고 배유가 없다(난균의 도움으로 발아)
* 설탕물 30% 넣으주면 발아가 된다.
*다른 종류의 꽃이 수정이 잘된다.
♥ 난의 번식(영양번식)
* 대부분 동양란의 종류를 포기나누기
*새싹이 나오고 그아래 뿌리가 나온다.
* 세대교체가 될수록 변이가 생겨서 균일도가 떨어진다.
4. 난의 재배기술
♥ 난의 재배기술(식재)
♥ 난의 재배기술(재배환경)
5. 난과 인간과의 닮은 점
<요점정리>
1. 난과 식물은 고등식물이며 종과 재배품종 수가 매우 많다.
2. 난은 전형적인 타가수정작물이며 꽃의 구조와 형태가 특이하고 다양하다.
3. 난종자는 무배유 종자로서 곰팡이의 일종인 난균의 도움을 받아 발아된다.
4. 난은 원산지에 따라 서양란과 동양란으로 구분하며, 온대지방에 자생하는 심비디움류를 동양란이라고 한다.
5. 난은 생태적 특성에 따라 지생란, 착생란, 부생란으로 구분되어지며, 줄기에 따라 단경성란과 복경성란으로 구분한다.
6. 난의 번식방법은 유균파종법과 무균파종법이 있고, 영양번식에는 포기나누기와 위구경번식, 삽목번식법이 있다.
7. 동양란의 식재재료는 배수와 통기성이 좋은 다공질 인 것을 사용하고, 착생란의 경우에는 바크나 헤코, 코코넛섬유, 수태 등을 이용한다. 난재배에
알맞은 온도범위는 18~23℃이며, 공중습도는 70%, 토양pH 5.0~6.0이 적당한데, 특히 통풍이 잘되는 환경이 알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