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는 칭호는 원래 '국가의 큰 난을 이겨 냈거나 반정으로 왕위에 올랐거나 나라를 창업한 임금' 에게 붙이는 칭호입니다.

 

조선에는 조라는 명칭을 받을 자격이 되는 왕은 태조, 선조, 인조, 중종이 되겠으나 중종은 무슨이유인지 종이라는 칭호가 안붙었고 인조는 반정으로 왕위에 오르기는 했으나 국가의 큰난을 이겨내지 못했으므로 사실 조라는 칭호를 받기에는 뭔가 부족한 왕입니다.

 

조라는 칭호가 종보다 조금 더 권위있는 칭호이기도 한데요. 그래서 조선의 임금들은 되도록이면 종보다는 조라는 칭호를 받기 더 원했다는군요 ㅎㅎ;; 세조도 원래는 종이라는 칭호가 붙을 예정이었지만 예종이 강력히 주장해서 조라는 칭호로 바뀌었다 합니다.

 

영조나 정조, 세조는 사실 위의 조건과는 조금 부합하죠. 특히 영조는 아무일 없이 무사히 넘겼고 나라를 발전시켰기 때문에 종이라는 칭호가 훨씬 어울리기도 할것입니다.

 

이라는 칭호는 '나라를 덕으로 발전시키고 무난히 잘 다스린 임금' 에게 붙이는 칭호입니다.

 

의미는 어떻게 보면 조보다 더 좋을수 있으나 결국 그냥 평범하게 보낸 임금에게 붙이는 칭호입니다.

 

조나 군을 붙이고 붙일 칭호가 마땅하지 않으면 종이라는 칭호를 붙였다는 말이겠죠 ^^;;

 

그래서 왕들은 되도록이면 조라는 칭호를 붙이길 원했습니다. 하지만 평가는 후에 왕이 죽고 난뒤에 되는거라 왕도 마음대로 못하죠. 대표적으로는 태종 세종 순종 고종 등등이 되겠습니다.

 

이라는 칭호는 왕의 임무를 모두 죽는날까지 다 하지 못하고 도중에 쫓겨난 왕에게 주어지는 칭호입니다. 

사실 정확히 말하면 군은 왕의 칭호를 받지 못하는 왕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군이라는 칭호는 원래 왕자에게 주어지는 겁니다. 

 

광해군은 폭군이 될 인물은 아니었지만 신하들의 계략에 의해 쫓겨난 비운의 왕이기도 합니다. 광해군이라는 칭호 역시 선조가 생존할 당시 왕자때 받은 칭호였고 그게 계속 유지가 된겁니다. 사실 평가는 많이 엇갈리기는 하지만 현재는 광해군이 쫓겨나지 않았다면 병자호란이 안 일어나고 조선의 과학발전이 제 2의 전성기를 맞이 했을지도 모를거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그도 그럴것이 당시 세력을 잡던 북인들은 훈구파의 성질이 거의 비슷하고  명분보다는 실리를 더 따져 명나라와의 사대관계에 덜 연연하는 편이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연산군과 광해군이 있구요.

출처 : 삼일구동기
글쓴이 : 윤재영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