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臨終) : 고인이 숨을 거두려는 순간을 임종이라고 한다.
- 환자의 옆에 있는 사람들은 침착하게 행동해야 하며, 운명한 뒤 몸이 금새 굳는 것을 막기 위해 팔다리를 주물러
주는 것이 좋다.
- 마지막으로 환자에게 물을 말이 있으면 답하기 쉽게 묻고 그것을 남겨둔다.
- 평소 환자가 보고 싶어 하던 일가친지나 이웃에게 급히 기별한다.
- 마지막 운명을 지킨다. 이때 주변에서 통곡하는 것은 숨을 거두는 마지막 마음을 아프게 할 수 있으므로 좋지 않다.
성복
- 일반적으로 한복일 경우 바지, 저고리, 두루마기, 혹은 양복에 검은 넥타이를 하고 가문에 따라 두건, 행건, 지팡이,
짚신, 왼쪽가슴에 상장이나 완장을 두른다.
- 상복을 입는 기간은 장일까지 하되 상제의 상장은 탈상까지한다.
평소 환자가 보고 싶어 하던 일가친지나 이웃에게 급히 기별한다.
입관
- 망인의 몸집과 키에 맞는 관으로 한다.
- 관에 시신을 넣고 시신이 흔들리지 않게 시신이 입고 있던 옷이나 깨끗한 벽지를 넣어 둔다.
- 관 위에서 먹으로 'OO(직함) OO(본관) OOO(성명)의 널', 여자의 경우는 '유인(孺人)OO(본관)O씨의 널'이라 쓰고,
장지(壯紙)로 싼 뒤 노끈으로 묶는다.
- 입관이 끝나면 관 밑에 나무토막을 깔고 홑이불(관보)로 덮어 병풍으로 가려 둔다.
발인
- 영구가 상가 또는 장례식장을 떠나기 바로 전에 하는것이다.
- 영구를 상여나 영구차에 싣고 그 앞에 제상을 진설하고 견전고사를 읽은 후 상주이하복인이 곡을 하며 재배한다.
- 제상에는 사진을 놓고 촛대, 향로 및 향합을 준비한다.
- 영결 식순은
개식 → 상제의 분향 배례 → 고인의 약력보고 → 조사, 조가 →조객 분향 →호상 인사 → 폐식 순으로 한다.
기독교식 장례는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님의 집례 아래 진행된다. 운명하는 사람의 영혼을 운명 순간부터 찬송과 기도 속에서 하느님께 맡기는 것이다. 운명한 시신의 수시부터 목사가 직접 주관한다. 장례식 전날 염습을 하고 입관하는데,이때에도 반드시 목사의 집례 아래 예배를 본다. 기독교식 장례식에서는 분향을 하지 않고 헌화를 한다. 상주, 유족, 친지, 조객의 순으로 한송이씩 헌화한다. 장례식도 물론 예배로 거행한다. 장지에 도착하면 하관 예배를 드린다. 상제들이 관 위에 흙을 뿌리고 봉분한다.
기독교식 장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사망신고와 매장신고
생전에 영세를 받은 사람은 [성교 예규]를 따른다. 천주교는 기독교 장례와 달리 우리나라 전통상례도 어느 정도 수용해서 치루는 편이다..
종부성사(終傅聖事)
임종을 앞둔 병자를 위해 행하는 의식이다.
- 신부가 오면 상위 촛대에 불을 켜고 병자가 고백성사를 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은 모두 물러가 있는다.
- 고백성사(告白聖事)가 끝나면 신부는 종부성사를 행하고 노자성체(路資聖體)를 영해 준다.
- 임종 전 대사 임종을 앞두고 있을 때 신부가 종부성사를 해줄 처지가 못되더라도 가까운 친지들이 모여 성경 구절을
읽으면서 기도해줘도 무관하다
운명(殞命)
임종이 다가오면 임종경을 읽으며 그 영혼을 위하여 기도한다.
* 염경은 숨이 그친 뒤에도 잠시 동안 계속하는 것이 좋다.
운명하는 순간 통곡하거나 슬퍼하는 것은 죽는이의 마지막 마음을 불안하게 하므로 기도문을 읽어주면서 편안하게
보내는 것이 좋다.
초상(初喪)
- 환자가 숨을 거두면 시신에 깨끗한 옷을 입혀 손발을 반듯하게 정돈해준다.
- 손은 합장을 시켜 묶거나 십자가상을 쥐어 주고, 눈은 감기고 입은 다물게 한다.
- 머리맡에는 *고상(苦象)을 좌우에 촛불을 켜서 준비하고 가족들은 옆에 끓어 앉아 연도한다.
- 염경이 끝날 때마다 시체에 성수를 뿌리고 만 하루가 지난 뒤 시신을 염(殮)한다.
연미사(煉彌撒)
- 병자가 세상을 떠난 사실을 본당 신부에게 보고하고 *연미사(위령제)를 청한다.
- 신부와 의논해서 장례일과 장례미사 시간을 결정한다.
장례식
- 장례일이 되어 출관할 때는 모든이가 함께 관 앞에 고상을 향하여 꿇어 앉아 경을 왼다.
- 관을 들어 발인하여 영구를 본당으로 옮기고 연미사를 거행한뒤 장지로 옮긴다.
- 관을 묻으면 사제는 성수를 뿌리고 마지막 기도를 올린다.
- 천주교에서는 화장을 금지하고 있어 화장을 하면 천주교식으로 장례를 치를 수 없고, 교회 묘지에 묻지도 못한다.
- 장례 후 3일, 7일, 30일에, 또 소상과 대상 때 성당에서 연미사와 가족의 영성체를 행한다.
불교식 상례는 임종에서부터 입관까지의 절차가 일반상례와 대동소이하며 오직 영결식의 방법이 다를 뿐이다. 불교의 상례의식은 의례규범인 '석문의범'에 따라 상례를 치르고, 이런 장례식을 다비식이라고 한다. 다비식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개식
호상이 한다.
삼귀의례
주례스님이 불, 법, 승의 세가지 삼보에 돌아가 의지한다는 불교의식을 행한다.
악력보고
고인의 친지가 고인을 추모하는 뜻에서 한다.
착어
주례스님이 부처의 가르침을 인용해 고인의 영혼을 안정시킨다.
창혼
극락에 가서 고이 잠들라는 뜻으로 주례스님이 요령을 흔들며 의식을 거행한다.
헌화
친지나 친척이 영혼에 꽃을 바친다.
독경
주례스님과 모든 참례자가 고인의 혼을 안정시키고 생존시 모든 인연을 잊고 극락세계에 고이 잠들라는 경문을
소리내어 읽는다.
추도사
초상에는 조사라고 하며 일반에서 행하는 의식과 같다.
소향
일동이 함께 향을 피우고 고인을 추도하고 애도한다.
사흥서원
- 모든 부처와 보살에게 공통된 네가지의 서원을 일컫는다
- 중생무변 서원도 : 중생은 끝 닿는 데가 없으니 제도하여 주시를 맹세한다.
- 번뇌무진 서원단 : 인간의 번뇌는 끝이 없으므로 번뇌를 끊기를 원하는 맹세이다.
- 법문무량 서원학 : 불교의 세계는 한량이 없으니 배우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 불도우상 서원성 : 불도보다 더 훌륭한 것이 없으니 불도를 이루기를 맹세코 원한다는 것이다.
폐식
- 영결식 절차가 끝났음을 선언한다.
- 영결식이 끝나면 장지로 향한다.
- 화장터로 떠날 때에는 주례승이 화장터까지 따라가며 다비란 말뜻 그대로 불교에서는 화장을 원칙으로 하여 신신을
분구에 넣고 다 탈때까지 염불한다. 다 타면 주례스님이 흰 창호지에 유골을 받아서 상제에게 주며, 쇄골한 후에
- 주례승이 있는 절에 봉안하고 제사를 지낸다.
- 장례 후, 유골을 봉안한 저에서는 시십구제, 백일제, 3년상을 지내며 이것이 끝나면 고인의 사진을 떼어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