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날 | 둘째날 | 셋째날 | 장례후 | 화장
 
1. 첫째날

임종(臨終) : 고인이 숨을 거두려는 순간을 임종이라고 한다.

- 환자의 옆에 있는 사람들은 침착하게 행동해야 하며, 운명한 뒤 몸이 금새 굳는 것을 막기 위해 팔다리를 주물러
주는 것이 좋다.
- 마지막으로 환자에게 물을 말이 있으면 답하기 쉽게 묻고 그것을 남겨둔다.
- 평소 환자가 보고 싶어 하던 일가친지나 이웃에게 급히 기별한다.
- 마지막 운명을 지킨다. 이때 주변에서 통곡하는 것은 숨을 거두는 마지막 마음을 아프게 할 수 있으므로 좋지 않다.

수시(收屍)

- 운명하면 즉시 머리를 높게 곧게 괴고 사지가 굳기전 팔과 다리를 똑바르게 펴준다.
수시를 꼼꼼하게 해주지 않으면 팔다리가 꼬일수도 있으므로 아주 신경을 써야 한다.
- 탈지면으로 코와 귀 항문을 막고 눈과 입을 다물게 한 후 시신 주위를 소독 한 후 백지로 얼굴을 가려 준다.
- 깨끗한 탈지면으로 시신를 닦아 내고 수의(삼베, 명주)를 갈아 입히고 *소렴(손, 발)한다.
- 병풍 및 가리개로 가리고 망인의 사진을 모시고 촛불을 켜고 분향한다.

발상(發喪) : 아들, 딸, 며느리가 머리를 풀고 초상이 났음을 알리는 것을 말한다.

- 상주는 죽은 사람의 장자(長子)가 된다.
- 장자가 없으면 장손(長孫) 주상이 되고, 남편이 죽었을 때에는 남편의 가까운 친지가 주상이 된다.
- *출계(出系)한 아들과 출가(出嫁)한 딸은 머리를 풀지 않으며 비녀만 뺀다.
- 가족들은 수시가 끝나면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고 근신하며 애도한다.
- 기중(忌中),상중(喪中)이란 글로써 초상을 알린다.

호상(護喪) : 초상을 치르는 모든일을 주관하는 것을 말한다.

- 상가에 호상소를 설치한다.
- 주상은 상례 경험이 많은 사람을 호상으로 정하고 장례대행업체에 의뢰하여 부고, 택일 사망진단서,장지, 사망신고, 매(화)장신청을 주관하도록 한다.
- 손님 받을 장소와 음식을 준비한다.

※ 부고(訃告) :
장일과 장지가 결정되면 가까운 친지와 친족들에게 구두나 서신 또는 전화로 부고한다.

2. 둘째날

염과 습(殮과 襲)

- 고인의 몸을 향나무나 쑥다린 물로 씻어주는 것으로, *시자(侍者)는 망자(亡子)가 남자인 경우엔 남자가 여자인
경우엔 여자가 한다.

목욕(습) 준비물
- 물그릇 : 시신의 윗쪽과 아랫쪽에 놓는다.
- 새솜과 새수건 세벌 : 시신의 윗몸, 아랫몸을 씻고 닦기 위한 것.
- 주머니 다섯 개 : 목욕 후에 머리카락 좌우손톱 발톱을 깎아서 넣을 주머니.
- 빗 : 남녀 공용.

사망신고와 매장신고

- 사망진단서발급
- 사설묘지 경우 묘지사용 승낙서발급
- 관할주소지 동사무소에 사망신고와 매장신고를 한다.

입관(入棺)

- 망인의 몸집과 키에 맞는 관으로 한다.
- 관에 시신을 넣고 시신이 흔들리지 않게 시신이 입고 있던 옷이나 깨끗한 벽지를 넣어 둔다.
- 관 위에서 먹으로 'OO(직함) OO(본관) OOO(성명)의 널', 여자의 경우는
- 유인(孺人)OO(본관)O씨의 널'이라 쓰고, 장지(壯紙)로 싼 뒤 노끈으로 묶는다.
- 입관이 끝나면 관 밑에 나무토막을 깔고 홑이불(관보)로 덮어 병풍으로 가려 둔다.

성복(成服)

- 일반적으로 한복일 경우 바지, 저고리, 두루마기, 혹은 양복, 검은 넥타이를 하고 가문에 따라 두건, 행건, 지팡이, 짚신, 왼쪽가슴에 상장이나 완장을 두른다.
- 상복을 입는 기간은 장일 까지 하되 상제의 상장은 탈상까지 한다.
- 평소 환자가 보고 싶어 하던 일가친지나 이웃에게 급히 기별한다.

조문(弔問)

- 조객은 영좌 앞에 꿇어앉아 분향하고 두 번 절하고 상주와 인사 할 때는 "얼마나 슬프십니까?" 등의 위로의 말과
상주는 "망극하옵니다" 등 간단한 말로서 조문을 받는다.
- 표준 가정의례에 따라 조객에 대한 음식 접대는 하지 않는다
- 표준 가정의례에 따라 조객은 조화(彫花)를 보내지 않는다.

장일(葬日)과 장지(葬地)

- 사망일로부터 3일이 되는 날로 한다.(5일, 7일장도 있음) 매장 또는 화장을 하며, 가족묘지나 공원 묘지 또는 선산을 이용하며, 합장일 경우 남좌여우(男左女右)로 한다

천광(穿壙)

- 천광은 깊이 1.5미터 정도로 출상하기 전에 미리 준비한다.
- 개토재를 위해 술. 과일. 포 .식혜 등을 진설하고 개토고사를 지내며 선산일 경우 먼저 제일 위인 조상이나 선산에 고사를 지낸다.

3. 셋째날

발인제(發靷祭) = 영결식

- 영구가 상가 또는 장례식장을 떠나기 바로 전에 하는것이다.
- 영구를 상여나 영구차에 싣고 그 앞에 제상을 진설하고 견전고사를 읽은 후 상주이하 복인 이 곡을 하며 재배한다.
- 제상에는 사진을 놓고 촛대, 향로 및 향합을 준비한다.
- 영결 식순은 다음과 같다.
개식 → 상제의 분향 배례 → 고인의 약력보고 → 조사, 조가 →조객 분향 →호상 인사 → 폐식

운구(運柩)

- 영구차 또는 영구수레 혹은 상여로 운구한다.
- 행렬을 지어 운구할 때는 사진, 명정, 영구, 상제, 조객 순으로 한다.

하관(下官)과 봉분(封墳)

- 영구가 장지에 도착하면 먼저 명정을 풀어서 관 위에 덮고 상제들이 마주서서 절을 두 번 한다.
- 시간이 되면 결관을 풀어 좌향을 바로잡은 후에 하관을 하며 이때 지석을 같이 묻고 봉분을 한다.
- 산신에게 폐백을 드리고 현훈(玄燻)과 운아(雲亞)를 넣는데, 현과 운은 관의 동쪽 위에 놓고 훈과 아는 관의 서쪽
아래에 함께 넣는다.

위령제(慰靈祭)와 반우(反隅)

- 봉분이 끝나면 영좌를 분묘 앞에 옮겨 간단하게 제사를 지내 고인의 명복을 빈다.
- 화장은 영좌를 유골함으로 대신하여 제를 올린다.
- 위령제의 순서는 분향 → *헌작(獻酌) → *독축(讀祝) → 재배(再拜)

※ 위령제축문(慰靈祭祝文) : 장사 지낸 뒤에 혼백(魂帛)과 신주(神主)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오는 작은 가마.

 
아들(또는 손자) ○○는 아버님(또는 할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 오늘 이 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사오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옵소서.
년 월 일
 

성묘(省墓)

- 성묘할때는 재배나 묵념으로 하고 재수는 준비하지 않거나 간단하게 마련하는 것도 좋다.
- 장지에 돌아온 당일 저녁 영좌에 혼백을 모시고 초우를 지내며, 이튿날 아침에 재우(再虞)를 지내고 장례를 치르고
3일 만에 첫 성묘를 간다.

4. 장례후

삼우(三虞)

삼우란 장례후 3일째 되는 날 첫 성묘를 할때 올리는 제사를 삼우라고 한다.
원래 장례후 첫째 날, 둘째 날 지내는 초우와 재우가 있지만 최근에는 이들은 제외해서 지내는 것이 대부분이다.

탈상(脫喪)

· 부모, 조부모와 배우자의 상기는 100일로 하되 기타의 경우에는 장일까지로 한다.
· 탈상제는 기제에 준 한다.

※ 위령제축문(慰靈祭祝文) :

 
아들(또는 손자) ○○는 아버님(또는 할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 세월은 흐르는 물과 같아 어느덧 상기를 마치게 되었사와 슬피 사모하는 마음 더욱 간절 하옵나이다.
이제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하시옵소서.
년 월 일
 



5. 화장(火葬)

우리나라는 유교이념이 강해 얼마전 까지만 해도 화장에 대한 의식이 좋지 못했다.
지금은 많이 개선된 편이긴 하나 아직도 좁은 국토의 대부분이 무덤으로 덥혀 있으며, 이대로 가다가는 2000년 초반에는 묘지가 포화상태에 이를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의 그릇된 고정관념을 탈피해서 좁은 영토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것도 좋을 듯 하다.

화장 절차

- 의사가 발급한 사망진단서를 발급 받아 거주지 관할 읍. 면. 동사무소에 가서 사망신고를 하고
화장 신고증을 교부 받아야 한다.
- 입관시 고인의 유물 중 타지않는 것은 넣지 말아야 한다
- 화장터에 가서 화장신고증을 제출하고 순서를 기다린다.
- 화장하기 전에 유족들은 마지막으로 분향을 하고 끝난 후의 유골은 납골당 또는 절에 안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골을 매장하는 것은 이중으로 장례를 치르는 것이 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가족애경사 > 기제자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례 후 일처리  (0) 2010.04.23
장례 민원  (0) 2010.04.23
장례절차 순서  (0) 2010.04.23
장례시 구비서류  (0) 2010.04.23
장례준비및 진행  (0) 2010.04.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