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하우스는 193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주택으로 미국,캐나다,등 목재자원이 풍부한 북미지역의
전통적인 2*4 공법으로 지어진 목조주택에서 유래되었다.
목조주택에서는 세로2인치오 가로 4인치의표준목재를 이용하여 목조틀을 구성하고 여기에 건식벽체와 각종 마감재를
부착하여 주택을 완성하였다. 스틸하우스는 목조주택의 이러한 기본 공법을 기초로 하되, 목재대신 두께 1.0mm 내외의
아연도금강판을 'ㄷ'자 모양으로 만들어 외부치수가 목재와 같아지도록 조립하는 주택이다.

- 목조주택 2x4 공법에서 유래됨
- 두께 0.8~2.5mm 아연도금 C-형 경량형강 이용 ( 자재높이 90 ~ 300내 총 7종 )
- 수직재(스터드)의 일정한 간격 배치(45cm, 60cm)에 따른 내력벽식 구조
- 경량형강 골조 위 다양한 마감재 적용으로 주거성능 및 건축물 미관 향상

웨브 90~300m
플랜지 m
40~50mm
두께 0~15mm
강도 건축구조용 표면처리 경량형강
항복강도(Fy) 3,000kg/㎟
인장강도(Fu) 4,100kg/㎟

- ZSS 400 : Zinc-Coated Light Gauge
  Steel for Strunture
- 일반건축용 항복강도 = 2,400kg/㎠

- 불에 타지 않아 화재시 위험도 낮음
- 미국 TEXAS 의 경우, 보험금 40% 절감
- 벽체, 바닥 및 지붕에 대한 내화 1시간 인증 (4층 건립 가능)
- 전체 강재의 64% 재활용 가능 (캔, 자동차, 건설사업 등 포함)
  강판 및 보 : 95% 재활용 / 철근 45% 재활용
  스틸하우스 (56평) : 폐차 6대 (고철 재활용)
  목조주택 (56평) : 나무 40~50그루
- 콘크리트 구조의 폐기물 발생 : 심각한 환경문제 대두
- CO2 배출량 최소 ('건설분야 철강환경세미나, '99)
  바닥면적 40평의 목조주택- 스틸하우스 CO2 배출량 비교
  스틸하우스 : 호당 897kg CO2량 절감
- 내구연한에 따른 배출되는 산업폐기물의 최소화

- 스틸스터드 벽체는 외단열 및 중단열을 적용하여 외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있음

- 모니터하우스 실험주택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결로의 발생은 없었음 (기간:'98.2 ~ '98.11)

채널수 데이터 분석 횟수 결로 발생 여부
1층 254 1,747,520 없음
2층

192

1,252,224 없음
합계 446 2,999,744 없음

- 건축법 제21조에 의거하여 외벽, 바닥, 지붕, 측벽, 창호 등은 각 지방별 열관류율 기준이 제시됨
- 건축 허가시 단열기준에 적합하도록 건축물 부위별 성능 확보가 요구됨

건축물의 부위 중부 남부 제주
거실의 외벽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0.47 0.58 0.76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0.64 0.81 1.10
최하층 바닥 외기에 직접 바닥 난방 0.35 0.41 0.47
비 바닥난방 0.41 0.47 0.52
외기에 간접 바닥난방 0.52 0.58 0.64
비 바닥난방 0.58 0.64 0.76
최상층 반자/지붕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0.29 0.35 0.41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0.41 0.52 0.58
공동주택 측면 0.35 0.47 0.58
공동주택 층간바닥 바닥난방 0.81 0.81 0.81
기타 1.16 1.16 1.16
창 및 문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3.84 4.19 5.23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5.47 6.05 7.56

- 다양한 마감재의 적용이 가능하며 단열 및 결로방지 성능시험을 통하여 검증됨

- 시험 방법 : KS F 2808 : 2001
  '건물주재의 공기전달음 차단성능 시험실 측정방법'
- 시험조건 : 온도 - 10℃ ~ 25℃ / 습도 - 45% ~ 60%
- 시험체 : 2.3m x 4.4m (벽체 면적 : 10.12㎡)

- 자재 사양
- 스터드 : 100형 0.8t → 최소사양 구조재
- 석고보드 : 15mm 방화 2겹 → 내화성능 2시간 만족
- 열재 : 미네랄울 60K 50mm → 일반적인 사양

- 스터드 구조
- 엇갈린 구조와 이중 구조를 비교한 결과, 이중 구조가 전 주파수에서 1~5dB 향상됨

Ⅲ - 01 STC 54 Ⅲ - 04 STC 55
125Hz 500Hz 2000Hz 125Hz 500Hz 2000Hz
40.4 50.8 58 39.9 54.2 57.5

 

 
스틸하우스
효율적인 구조계획 및 균일한 강도의 확보가
가능하다. 지진발생시 횡력에 유리하다.
강재의 강도가 높고 부재의 결합력이 강해 내구성,
내진성, 내화성이 뛰어나다.
벽돌조, 철근콘크리트조 등
균일한 강도 확보가 어렵다.
실의 공간손실 및 구조 안정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부재단면 사이즈가 크다. 통상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시공자재 및 기능인력의 숙련도에 따라
내구성, 내진성이 떨어진다
스틸하우스
공장생산으로 현장에서의 건설환경 개선이
가능하다. 철강재의 재활용이 용이하다.
폐자재 발생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다.
벽돌조, 철근콘크리트조 등
건설 폐자재 다량 발생으로 건설환경, 교통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
자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스틸하우스
공장에서의 패널가공 등으로 건식공법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공기단축과 균일한 공사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자재의 규격화가 용이하다.
증·개축시 공기가 짧다.
벽돌조, 철근콘크리트조 등
공기가 증가하고 기능인력의 수준에 따라
품질 저하 및 하자 발생 우려가 있다.
증·개축시 공기가 길다.
스틸하우스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보온성이 크고 습기에 강하다.
차음성능의 기준치를 만족할 수 있는 성능 확보가
용이하다.
벽돌조, 철근콘크리트조 등
보온성, 내수성이 미흡하다.
차음성이 우수하다
스틸하우스
환경변화, 용도에 따른 다양한 평면구성이 가능하다.
벽체 칸막이 이동이 자유로와 공간 활용도가 높다.
다양한 마감재의 선택이 가능하여 미려한 외관 및
색채를 얻을 수 있다.
벽돌조, 철근콘크리트조 등
공간활용도가 다소 떨어진다.
내부공간 분할 및 개조가 어렵다.

 

 

다른 공법의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완성하며,
줄기초 또는 매트기초로 보통 시공합니다. 스틸하우스 벽패널이 직각및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기초바닥면의
평활도(수평)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전단벽체의 고정 접합철물(Holdown)설치를 위한 앵커링(Anchoring)은
기초시 우선할 경우와 벽체 설치 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전자의경우 매설시 위치가 정확하도록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스틸하우스는 자중이 일반 건축물에 비해 적으므로 하중에 대한 설계부담이 적음)

현장에 반입된 스터드는 SHOP DRAWING을 참조하여 패널로 제작되고 이후 알맞은 위치에 세워져 벽체를 완성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바닥 조이스트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바닥골조를 완성하며, 위에 데크플레이트(습식)
또는 구조용합판(건식)을 설치합니다. 요구되는 바닥이 차음 및 진동성능에 따라 바닥마감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건식 또는 습식공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지붕골조는 일반적으로 트러스 방식 또는 래프터 방식를 이용하여 제작설치하며 모양에 따라 모임지붕 및 박공지붕이
있습니다. 트러스는 벽체 스터드 위에 IN-LINE 되도록 유의해서 설치하여야 하며 특성상 장스팬 지붕구조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천장공간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2층 이상 구조에서는 크레인 장비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골조가 완성되면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합판과 보드가 지붕 및 외부에 설치되며 합판공사시
목재특성(수축/팽창)을 고려 약간의 간격을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합판공사가 끝나면 지붕에는 방수를 위한 방수쉬트를 깔고 외벽에는 투습방수지공사(공기는 통하고 물은 통과 못함)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누수를 차단하고 내부의 습기를 조절하도록 합니다. (창호및 문공사 병행)

단열공사는 설계된 단열재 사양에 따라 스치로폴, 미네랄울, 화이바그라스 등을 사용하여 벽체는 외단열 및 중단열을
하게 되고, 지붕은 일반적으로 천정단열을 하게 됩니다.

외부마감 공사중 지붕을 아스팔트슁글이나 금속기와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외벽체는 사이딩(비닐, 시멘트, 우드,
알루미늄) 및 드라이비트를 주로 사용하며 그 밖에 치장벽돌, 인조석 등 다양한 마감자재 적용이 가능합니다.

내부마감공사는 외부마감공사가 진행되는 중에 가능하며 내벽은 석고보드 마감후 페인트나 벽지를 바르고, 바닥은
온돌난방 공사후 비닐계 장판(방)이나 온돌마루(거실, 주방)로 마감하여 욕실 및 주방, 계단, 인테리어 마감공사가
끝나면 건물공사가 완료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