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좀 치료

                        

  무좀은 번식이 느린 곰팡이가 원인이기 때문에 다른 감염질환보다 치료기간이 깁니다. 따라서 치료 도중에 임의로 중단하고 “잘 낫지 않는 병”이라고 여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무좀은 충분한 기간 꾸준히 치료하면 완치될 수 병입니다. 치료를 끝낼 시점이 되면 의사가 말씀을 드릴 것입니다.<?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요즘은 거의 보기 드물어졌습니다만, 가끔 간이 좋지 않은 분들에게 먹는 무좀약이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간에 문제가 있는 분들은 진료를 받으실 때 먼저 그 사실을 말씀해 주셔야 합니다. 권장되는 무좀 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피부(, , 사타구니, 몸통, 얼굴, 두피) 무좀

  일반적으로 먹는 약과 연고(두피는 물약) 4주간 사용합니다. 겉보기에 나은 것처럼 보일지라도 임의로 중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겨울이 되면 심하지 않은 무좀은 치료하지 않아도 증상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먹는 약과 바르는 약은 설명해 드리는 대로 사용하셔야 합니다. 먹는 약은 보통 하루 한 번 또는 두 번 드시고, 바르는 약은 두 번 사용합니다. 연고를 바르실 때는 너무 듬뿍 바르지 마시고 충분히 펼쳐 바르시되, 얇게 골고루 잘 문질러서 바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손톱, 발톱 무좀

  손발톱 무좀은 곰팡이가 손발톱 속으로 파고들어가 자리 잡은 상태이며, 손발톱이 자라는 속도보다 곰팡이가 먹어 들어가는 속도가 빨라서, 치료하지 않으면 절대 저절로 낫지 않고 여러 손발톱으로 퍼져갑니다. 완치 되려면,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2~3개월 동안 꾸준히 치료해야 합니다.

 

  손발톱 무좀은 두터워지고 변색된 발톱을 처음에 깨끗이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발톱 바깥 부분은 단단해서 치료 첫날 날카로운 칼로 조심스럽게 대패질하듯 깎아내야 합니다. 그 날 밤부터 대개 1 주일 동안 매일 잠자기 전 연화제(유리아) 연고를 발톱에 약간 두텁게 바르고 음식 싸는 랩으로 발가락을 싸 두었다가 아침에 벗기고 손톱깎기 칼 같은 무딘 칼로 발톱을 긁어냅니다. 그리고 그 과정을 변색된 발톱 부분이 다 없어질 때까지 반복합니다. , 별도의 곰팡이 연고를 처음부터 아침 저녁 두 번 발톱에 얇게 바릅니다.

 

출처 : http://fine03.cafe24.com/default/

골다공증이란?

우리 몸의 뼈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 중에 가장 중요하며, 태를 단단하게 유지하는 것이칼슘입니다. 뼈는 약 30세 전후에 칼슘이 가장 많이 들어 있어 가장 단단하다가, 그 이후 칼슘이 빠져나가기 시작해 얇아지고 속에 작은 구멍이 수없이 생기면서 약해집니다. 이것이골다공증입니다.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

 

 

 

여성에서의 골다공증은 왜 특별한 것일까?

나이가 들면 누구나 골다공증에 생기지만, 여성은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많으며, 특히 폐경기와 더불어 골다공증이 갑작스럽게 더 빨리 진행됩니다. 그것은 여성에서는 뼈와 칼슘 사이의 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에스트로겐이라는 여성호르몬이 폐경기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여 골()소실이 매우 빨리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난소를 수술로 제거한 경우도 폐경기 이후와 마찬가지로 빠르게 골다공증이 옵니다. 여성들은 폐경 직후부터 약 10여년간에 걸쳐 급속히 골소실이 진행되어, 결국 폐경이 된 후 10∼15년 정도가 지나면 젊었을 때 가졌던 골량의 약 50% 정도만 남게 됩니다.

 

골다공증의 증상이나 징후는?

초기에는 겉으로 보았을 때나 방사선 검사를 하였을 때 어떤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등에서 허리에 걸쳐 쉽게 피로해지거나 가끔씩 통증을 느낍니다. 더 진행되면 겉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등이나 허리가 굽고, 방사선 검사에서도 척추뼈의 변형이나 골절 등을 관찰할 수 있게 되며, 생활에 지장을 끼치는 허리통증이 생기고 손목이나 다리뼈, 엉치뼈 등에 쉽게 골절이 발생하여 불편을 주는 것은 물론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

폐경 이후의 여성이나 나이가 많은 남성

조기 폐경이나 난소를 제거한 여성

칼슘섭취가 부족한 사람

운동이 부족한 사람

마르고 키가 작은 사람

흡연이나 과도한 음주를 하는 사람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의 가족력

당뇨병이나 갑상선 기능항진증

스테로이드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

 

 

골다공증은 어떻게 진단될까?

폐경기의 여성은 누구나 골다공증이 있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골다공증의 심한 정도는 골밀도 검사로 합니다. 일반 X-(방사선 사진)으로도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을 미리 예방하려면?

1. 칼슘 섭취가 중요합니다.

칼슘이 많이 든 음식들을 먹고 하루에 500 cc 정도의 우유를 먹는다면, 폐경기 이전의 여성에서는 따로 칼슘제를 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폐경기 여성과 우유를 먹지 못하는 사람이나 음식에서 충분히 칼슘을 섭취하지 못한다면, 하루 500 mg 정도의 칼슘제를 먹는 것이 필요합니다. 시중에는 단순 칼슘제제와 비타민 D가 포함된 칼슘제제들이 있는데, 하루 20∼30분 이상 햇빛을 쬐는 사람의 경우에는 단순 칼슘제제로 충분하며, 비타민 D가 포함된 약제를 복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칼슘(Calcium)이 많은 음식들

우유, 분유, 아이스크림, 치즈, , 녹두, , 두부, 참깨, 알몬드, 호두, 냉이, 달래,

무우청, 대하, 방어, 바지락조개, , 동태, 가자미, 계란 노른자, 파래, 미역,

 

 

2. 운동이 좋습니다.

운동 중에서는 체중이 실리는 운동만이 도움이 됩니다. 달리기, 에어로빅 체조, 자전거 타기, 계단 오르내리기, 테니스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하루 30분씩 일주일에 3회 이상 하십시오.

 

3. 과음이나 흡연을 삼갑니다.

 

4. 함부로 약을 사먹지 않습니다.

특히 피부약, 관절염약으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를 많이 먹는 것이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들 질환을 치료할 때는 반드시 의사의 진찰과 처방을 따르십시오.

 

어떻게 치료하는가?

1. 예방치료를 합니다.

칼슘을 섭취하고, 운동을 하고, 과음하지 않고, 금연합니다.

 

2. 비스포스포네이트를 복용합니다.

   골다공증만이 문제일 때는 일차 치료약으로 선택합니다. 식도염이나 궤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아침 공복에 복용하고 눕지 않아야

합니다. 일주일에 한 번만 복용해도 되는 약이 나와 있습니다.

 

3. 폐경 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제를 복용합니다.

폐경 여성에서 선택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여성호르몬 치료를 5년 이상 받으면,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에 만족할 만한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여성호르몬은 폐경기 증상을 줄이고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가 있습니다. 여성호르몬과 유방암, 자궁암과의 관계는 요즈음 더 우려하는 쪽으로 이야기되지만, 치료방법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습니다. 주치의와 상의하여 치료하십시오.

 

4. 칼시토닌 치료

뼈의 손실을 줄여주고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약으로 코에 뿌리는 것과 주사제가 있습니다. 주치의와 상의하여 치료하십시오.

 

5. 기타

최근에 많은 좋은 약제들이 나와 있습니다. 주치의와 상의하시면 적절한 조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뼈가 약한 노인의 골절 예방법

• 바닥에 느슨해진 전기 코드나 널부러진 물건들이 없도록 정돈합니다.

• 계단 이용 시 손잡이를 잡습니다.

• 목욕탕 바닥을 미끄럽지 않게 하고 손잡이를 설치합니다.

• 신발은 편안하고 미끄럽지 않고 밑창이 고무로 된 것을 사용합니다.

• 카페트 등을 깔아서 실내 바닥을 미끄럽지 않게 합니다.

• 필요하면 외출 시 지팡이를 사용합니다.

 

 

무엇이 뼈를 보호할 수 있나?

스스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은 칼슘을 충분한 양 섭취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하루에 1000 mg의 칼슘이 필요하지만, 65세 이상의 남자 노인이나 호르몬 치료를 하지 않는 폐경기 여성의 경우는 하루에 1500 mg 정도로 더 많은 양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8 온스의 큰 컵으로 우유를 8잔이나 먹어야 하는 양이고, 요구르트로 따지면 5잔 정도를 먹어야 하는 양입니다. 정어리나 모란채 등도 칼슘이 많이 들어는 있습니다. 그러나 음식을 잘 생각해서 먹는다고 해도 칼슘 양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점은 의사와 상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광욕은 비타민 D의 형성을 촉진시켜 주는데, 이 비타민 D는 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물질입니다. 하루에 15분 정도만 일광욕을 해도 비타민 D가 충분히 공급됩니다. 종합비타민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뼈를 튼튼히 하는 데 운동은 매우 중요합니다. 걷고 계단을 오르는 것은 아주 좋은 운동입니다. 다만 넘어질 수 있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약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골다공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해 주는 새로운 약물들이 나와 있습니다. 주치의와 이러한 약제들의 복용에 대하여 의논하십시오.

 

(출처: <건강, 이렇게 지키십시오> 대한가정의학과개원의협의회 편)

/

 

근력 강화 운동[ST]

 

1. 고무줄을 이용하여 회전근개 및 어깨주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입니다.
2. 운동은 2주간은 이틀에 한번씩 하시고, 2주 후에는 하루에 한번씩 하세요.
3. 운동횟수는
   준비운동 ( 1 ~4 )은 한동작당 3회씩
   준비운동 ( 5 )은 한동작을 20회씩
   고무줄 운동( 1 ~ 11 )은 한동작당 5회(3주간) =>10회로 점차 늘리세요.
4. 운동시 통증이 유발되시면 2 ~ 3 일 정도 휴식을 취한 후 하세요.
5. 근력강화운동은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2~3개월동안 꾸준히 하세요.
6. 모든 동작은 마지막 운동범위 ( 뻐근한 통증이 느껴지는 범위 )에서 5~10초 유지하세요

 

준비운동

▶ 추운동

상체을 구부린 상태에서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아픈쪽 팔을 내린다. 아픈쪽 팔에 힘을 완전히 빼고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돌린다.(2분)

▶ 어깨 거상 운동

양쪽 어깨를 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한다.

▶ 견갑 모음 운동

선 자세에서 팔꿈치를 구부린 상태로 손바닥이 앞으로 향하도록 한다. 양팔을 옆으로 벌려서 견갑부가 중앙으로 모이도록 한다.

▶ 후방 관절막 이완 운동

정상인 팔로 아픈쪽 팔꿈치를 잡고 안쪽으로 서서히 당긴다.
이때 아픈 팔은 완전히 힘을 뺀 상태에서 실시한다.

▶ 수면자세 신장 운동 (Sleeper's stretch)

딱딱한 바닥에서 아픈쪽 어깨가 아래로 향하게 옆으로 눕는다. 아픈쪽 팔을 뻗어 베개선까지 올려주고 팔꿈치를 직각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정상인 손으로 아픈쪽 손목을 아래로 내린다.(아픈쪽 손목이 굽혀지지 않게 주의한다.)

 

근력강화 운동[ST]

▶ 내회전 운동

선 자세로 아픈쪽 어깨를 문쪽에 가까이 하고 수건을 말아서 팔과 가슴사이에 끼운다. 고무줄의 손잡이를 잡고 몸의 안쪽으로 당긴다.

▶ 외회전 운동

선 자세로 아픈쪽 어깨를 문에서 멀리하고 수건을 말아서 팔과 가슴사이에 끼운다. 고무줄의 손잡이를 잡고 몸의 바깥쪽으로 당긴다.
(이때 고무줄을 당길때 몸통이 돌아가지 않게 주의하고, 손목이 꺽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 신전 운동

문을 향하여 선 자세로 아픈쪽 팔꿈치를 구부린 상태로 고무줄의 손잡이를 잡고 뒤로
당 긴다.

▶ 이두건 운동

선 자세에서 아픈쪽 팔꿈치를 몸통에 붙이고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고무줄의 손잡이를 잡는다. 손바닥이 어깨와 가까워지도록 올린다.

▶ 전방 굴곡 운동

선 자세에서 아픈쪽 팔을 몸에 붙이고,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손잡이를 잡는다. 팔꿈치를 편 상태에서 어깨 높이까지 들어올린다.

▶ 외전 운동

선 자세에서 고무줄의 손잡이를 손바닥이 몸을 향하게 잡고 어깨 높이까지 옆으로 벌린다.

▶ 135도 올리기 운동- 외회전

고무줄의 손잡이를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잡고, 팔꿈치를 편상태에서 135도 방향으로 들
어 올린다.

▶ 전상방 올리기 운동

선 자세로 팔꿈치를 굽힌 상태에서 고무줄의 손잡이를 아래로 향하게 잡은 후 팔꿈치를 펴면서 앞쪽위로 들어올린다.

▶ 전방 견인 운동

문을 등지고 서서 고무줄의 손잡이를 아래로 향하게 잡고 팔꿈치를 펴면서 앞으로 미는 운동을 반복한다.

▶ 후방 견인 운동

문을 바라보고 서서 아픈쪽 팔꿈치를 편 상태로 고무줄의 손잡이가 아래로 향하게 잡은 후 최대한 뒤로 당긴다.

▶ 견갑 강화 운동

문을 향하여 선 자세로 팔꿈치를 구부려서 고무줄의 손잡이를 팔에 끼운다. 몸통을 고정하고 팔꿈치를 구부린 상태로 최대한 뒤쪽으로 당긴다.

 

 

 

 

관절가동범위 증가운동[ROM]

 

1. 도르래와 막대를 이용하여 어깨 관절 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 운동입니다.
2. 운동은 하루에 두 번씩 오전/오후로 하세요.
3. 운동횟수는
   준비운동 ( 1 ~4 )은 한 동작당 3회씩
   준비운동 ( 5 )은 한 동작을 20회씩
   도르래와 막대운동( 1 ~ 7 )은 한 동작당 10회씩 입니다.
4. 운동시 통증이 유발되시면 2 ~ 3일 정도 휴식을 취한 후 하세요.
5. 모든 동작은 마지막 운동범위( 뻐근한 통증이 느껴지는 범위 )에서 5~10초 유지하세요.

 

▶ 도르레 운동

문을 마주보고 의자에 앉는다. 아픈쪽 팔을 135도 앞쪽을 향하게 구부리고 반대측 팔로 줄을 아래로 당겨 아픈쪽 팔이 위로 가게 한다. 아픈쪽 팔은 힘을 빼고 어깨가 따라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팔이 120도 이상 올라가면 반대로 문을 등지고 실시한다

▶ 전방 굴곡 운동

바닥에 누워서 무릎을 약간 구부린 상태로 막대의 양끝을 잡는다. 양팔을 뻗어서 막대를 허벅지에 오게 한 후 천천히 들어 올린다.

▶ 전방 거상 운동

누운 자세로 양 팔을 뻗어 막대의 양 끝을 잡는다. 막대를 세로로 세운 다음 정상쪽 손으로 아픈쪽 손이 앞쪽 위로 향하게 밀어준다. (이때 아픈쪽 손목이 굽혀지지 않게 주의 한다.)

▶ 내/외 회전 운동

누운 자세로 팔꿈치를 직각으로 구부린 채 어깨 넓이로 막대를 잡는다. 아픈쪽 팔꿈치 밑에 수건을 대고 좌우로 움직인다. 한쪽 방향으로 약 5초 유지한 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 좌우 운동

바닥에 누워 어깨넓이로 막대를 잡는다. 팔을 뻗어 막대가 가슴 높이로 오게 한 후 좌우로 움직인다.

▶ 등 뒤에서 내회전 운동

선 자세에서 아픈 팔을 아래로 건강한 팔을 위로 하여 막대를 잡는다. 건강한 팔을 위로 뻗어 아픈 팔이 따라오게 한다.

▶ 외전상태에서 외회전 운동

누운 자세로 아픈쪽 팔꿈치를 벌려 막대를 잡는다. 아픈쪽의 손바닥으로 막대의 끝을 잡고 건강한 손으로 막대를 눌러서 아픈쪽 팔이 바닥에 닿게 한다.

출처  : 마디병원 재활치료 동영상 자료

DDOS 전용백신 프로그램 긴급 무료배포중입니다.

Rootkit & Remote File Handle Opened Malware

v3fileclean.exe
첨부된 파일(v3fileclean.exe)을 다운로드(클릭)해서 실행시키시면 됩니다.





* 실행 전 주의 및 참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본 전용백신은 은폐기법(유저/커널)을 사용하여 자신을 숨기는 형태의 악성코드와 원격 파일 핸들을 오픈 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악성코드만을 진단/치료 합니다. 이와 같은 모든 악성코드가 대상이 되지는 않으며 알려진 형태만을 진단/치료 합니다.

2. 전용백신 실행 전 작업중인 데이타는 반드시 저장하시고, 전용백신 이외에 다른 응용 프로그램은 반드시 종료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전용백신의 동작중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은 가급적 권장 하지 않습니다.

3. 본 전용백신은 다음과 같은 윈도우 OS (32Bit) 에서만 정상적으로 동작 합니다. 따라서 다음 윈도우들의 64Bit 버전에서는 정상동작 하지 않습니다.

- 윈도우 2000 (SP0 ~ SP4)
- 윈도우 XP (SP0 ~ SP3)
- 윈도우 2003 (SP0 ~ SP2)
- 윈도우 비스타 (SP0 ~ SP1)

4. 전용백신은 반드시 "관리자 권한" 으로 실행 되어야 합니다.

5. 작업이 끝나면 팝업 메뉴에 따라 반드시 시스템을 재부팅 해주시길 바랍니다.

- 전용백신은 본 악성코드를 진단 / 치료하는 기능만 제공되며 예방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출처 : 안철수바이러스연구소 http://kr.ahnlab.com/dwVaccineView.ahn?num=81&cPage=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