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주소링크

http://www.gongganfilm.com/tradition/ccard.htm

 

최대한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과 차례상 차리는 법은 거의 같은데
설 차례에는 밥과 국 대신에 떡국을 올리고
추석 차례에는 밥과 국 대신에 송편을 올리는 것만 다릅니다.
추석 차례에 밥,국,총편을 다 놓는 가정도 있는것 같습니다.

차례지내는 방법은 제사보다 간략합니다.(아래에 내용있음)
-------------------------------------------------------------------------
# 제사의 종류 :
현대에는 매년 돌아가신날에 지내는 '기제' 와
설,추석에 지내는 '명절차례' 만 장려되고 있습니다.(건전가정의례준칙)

- 기제(忌祭) :
기제는 기일제사의 약칭으로써 기일 즉,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 번씩
지내는 제사로서 오늘날 제사라 하면 보통 기제를 말한다.

- 차례(茶禮) :
차례는 기제사보다 간략한 약식제사인데 요즘은 설과 추석에 지낸다.
한식에도 지내는 가정도 있다.

- 시제(時祭) :
집에서 기제사를 지내지 않는 댓수가 높은 조상들에 대하여 지내는데
친척들이 모여 산소에 가서 지낸다.
요즘은 시사, 시향, 세향, 묘제, 묘사, 세일사, 세사, 세제라고도 한다.

- 그 외에 지금은 거의 지내지 않는 여러 종류의 제사들이 있다.
-------------------------------------------------------------------------
# 제사지내는 방법,순서 : 명절 차례에는 4,6,7,8,9,12번은 없습니다.

1. 상차리기 : 제사상에 음식을 차린다. 지방 또는 사진을 놓는다.

2. 조상님 모시기 :
모든 참석자는 제사상 앞에 나란히 선다.
제주(아들)가 제사상 앞의 향로 앞에 꿇어 앉아 향을 피워 향로에 꽂는다.
술잔에 술을 조금 따라서 퇴주그릇에(큰 빈 그릇)
조금씩 세 번 기울여 다 붓는다.(왼손으로 잔 받침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고)
상 위의 그 자리에 빈잔을 다시 놓는다.
제주만 두 번 절한다.

3. 참석자 모두 조상님께 인사하기 :
제주와 참석자 모두 한꺼번에 조상님께 절한다.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번, 요즘은 여자도 두 번만 하기도한다)

4. 진찬 :
따뜻한 음식인 밥,국...등을 올렸던 순서인데
요즘은 대부분 다 차려 놓고 시작하므로 생략된다.

5. 첫 번째 술잔 올리기 :
제주가 다시 제사상 앞에 꿇어 앉는다.
다른 사람이 상 위의 빈잔(잔 받침대까지)을 제주에게 준후 술을 가득 부어준다.
그 사람 혹은 또 다른사람이 그 술잔을 제주에게 받아서 상 위의 밥과 국 앞에 놓는다.
제주만 두 번 절한 후 뒤로 물러난다.
제사상에 올렸던 술잔을 다른 사람들이 퇴주 그릇에 비운후 빈잔을
다시 그 자리에 다시 놓는다.

6. 축문읽기 :
참석자 모두 꿇어앉고 참석자중에서 한 사람이 축문을 읽는다.
다 읽고 나면 제주만 두 번 절한다.(모두 절하는 가문도 있다)
요즘은 이웃집 등을 고려하여 축문 읽기는 생략하는 가정이 많다.

7. 두 번째 술잔 올리기 :
제주의 부인, 동생, 아들중에서 한사람이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나머지 방법은 첫 번째 술잔 올리기와 똑 같다.

8. 세 번째 술잔 올리기 :
제주의 동생, 아들 혹은 다른 사람이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나머지 방법은 첫 번째 술잔 올리기와 똑 같다.

9. 술 더드리기 :
제주가 다시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다른 사람이 다른 빈 잔을 주고 술을 조금 따라 준다.
그 사람 혹은 또 다른 사람이 그 술잔을 제주에게 받아서
세 번째 술잔 올리기 때 올렸던 술잔에 조금씩 세 번 따라서 가득 차도록 붓는다.
제주만 두 번절하고 뒤로 물러난다.
차례 때에는 제주가 술 주전자로 상 위의 술잔에 조금씩 세 번 따라서 가득 채우기도 한다.
술 더드리기 후에는 절을 안하고 수저꽂기까지 한 다음에 절하는 가정도 많다.

10. : 수저 꽂기, 젓가락 놓기 :
밥그릇 뚜껑을 열고 뚜껑은 밥그릇 옆 상바닥에 내려놓는다.
('상례비요'라는 옛 책에는 첫 번째 술잔 올리기할 때 밥 뚜껑을 연다고 되어 있음)
수저를 밥에 꽂는다.
젓가락을 세워 상 바닥에(또는 수저 접시에) 똑똑똑
세 번 가지런히 한 후 젓가락 끝(가는 쪽)이 오른쪽을 향하도록 하여
고기 생선등 음식위에 올려 놓는다.
(젓가락을 음식 위에 올리지 않고 수저접시에 가지런히 놓는 가정,
손잡이쪽 끝이 상 바닥에 닿게 수저 접시에 걸쳐 놓는 가정도 있다)

11. 문닫고 나오기(조상님 식사시간) :
옛날에는 방문을 닫고 모든 사람이 나왔으나 근래에는 제사상 앞에서 몇 분 정도
조용히(묵념하고) 기다린다.

12. 문열고 들어가기 :
옛날에는 모든 사람이 새벽까지 다른 방에서 기다렸다가 새벽 첫 닭이 울 무렵에
제사 지내는 방문을 열고 들어갔다. 지금은 생략된다.

13. 숭늉올리기 :
식사가 끝났으므로 제사상에서 국을 내리고 그 자리에 숭늉을 놓는다.
수저를 빼서 밥을 조금씩 세 번 떠서 숭늉에 말아 놓고
수저도 그대로 숭늉 그릇에 담가 놓는다.
(숟가락 손잡이는 왼쪽을 향하게 한다)
참석자 모두 잠시 고개를 숙이고 기다린다.

14. 수저 젓가락 거두기, 밥그릇 뚜겅 덮기 :
수저 젓가락을 거두어 원래대로 수저 접시에 놓는다.
밥 그릇 뚜껑을 덮는다.

15. 환송 인사하기 :
제주와 참석자 모두 한꺼번에 조상님께 절한다.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번. 요즘은 여자도 두 번만 하기도한다).

16. 지방과 축문 태우기 : 축문과 지방을 불 태운다. 요즘은 생략하기도 한다.

17. 제사상 거두기 : 제사상을(음식) 치우고 식사 준비를 한다.

18. 식사 : 온 가족이 모여 식사를 하한다. 친척 및 이웃 어른께 대접하기도 한다.
-------------------------------------------------------------------------
# 건전가정의례준칙에 나온 제사순서 :
가. 신위(조상님)모시기 : 제주(아들)는 향을 피운 후 퇴주 그릇에 술을 붓고
참석자 모두 한꺼번에 두 번 절한다.
나. 술 올리기 : 술은 한 번만 올린다.
다. 축문읽기 : 축문을 읽은 후 묵념한다.
라. 환송인사 : 참석자 모두 한꺼번에 두 번 절한다.
--------------------------------------------------------------------------
# 제사상,차례상 차리는 방법 :
* 옛날의 책들에도 조금씩 다르게 나와있으며 설사 다 갖추지 못해도 정성들여 지내면 됩니다.
* 제일 앞에 있는 과일 놓는 줄에 아래의 과일 외에도 추가로 다른 과일과 한과를 놓습니다.

1).주자가례(예절에 관한 옛날책):
. . . . . . . . 지방(혹은 사진)
밥 . . 잔 . . 수저.젓가락 . . 초 . . 국
국수 . 고기 . . . 적 . . . . 어물 . . 떡
포혜 . 소채 . 포혜 . 소채. 포혜 . 소채
과일 . . 과일 . . 과일 . . 과일 . . 과일

2).사례편람(예절에 관한 옛날책):
위의 주자가례 차림표와 같으나 과일이 6접시이고
나물줄이: 포 . 혜 . 간장 . 생채 . 혜 . 김치 로 다르다.

3).격몽요결(율곡이 지은 책):
. . . . . . . . . 지방(혹은 사진)
밥 . 잔 . 국 . 수저.젓가락 . 밥 . 잔 . 국
국수 . 떡 . 육물 . 적 . 어물 . 국수 . 떡
. . . 탕 . . 탕 . . 탕 . . 탕 . . 탕
자반 . .포 . .나물 . .간장 . .식혜 . .김치
밤 . .. 대추 . . 곶감(감) . .. 배 . .. 은행

4).가정의례준칙(정부에서 만듬):
. . . . . . . . . . 사진(혹은 지방)
. . 밥 . . . . 국 . . .. . . . 밥 . . . . . 국
. . . . . 잔 . . . . . . . . . . . . . 잔
촛대 . . 채소 . . .간장 . .. . . 김치 . . 촛대
. . . . .어류 . . . .. 탕 . . . . . 육류
. . . . .과일 . . . . 과일 . . . . .과일
-------------------------------------------------------------------------
# 제사, 제례, 차례, 제사상 차리는법, 기제사, 예절 등으로 검색하면
예절,제사관련 싸이트등 제사에 대한 많은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