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 수립
2020년까지 24.3조원 투입...동북아 물류.관광허브 육성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남해안 선벨트 사업에 오는 2020년까지 총 24조3천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동북아 물류.관광 허브로 집중 개발된다.

또 남해안의 해안선과 섬을 잇는 77번 국도를 확충해 부산~목포를 2시간대 통합생활권으로 조성하고, 남해안 일주 철도를 고속화하는 등 통합 인프라를 구축한다.

국토해양부는 이와 같은 내용의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안)'을 마련해 21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7차 지역발전위원회에 보고했다.

◇해양관광.휴양지, 물류거점 육성= 국토부는 남해안 초광역 개발권인 선벨트 종합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2020년까지 총 24조3천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국토부는 우선 남해안 선벨트를 세계적 수준의 해양 관광.휴양지대로 조성하기 위해 거점별, 테마별로 관광.휴양클러스터를 구축한다.

거점별로는 한려수도권(여수~사천~통영~거제)의 경우 수려한 청정해역을 바탕으로 체류형 관광지대로 개발하고, 다도해권(신안~진도~완도, 기타 섬지역)은 섬과 해양 레포츠가 어우러진 곳으로 조성하는 등 지역 특성에 맞게 개발한다.

또 테마별로는 진도~진해~거제는 이순신 장군 등 역사자원을 활용해 '해상영웅벨트'로, 해남~진도~통영은 남도고유 문화를 활용한 '남도문화탐방벨트' 등으로 개발할 방침이다.

최근 수요가 느는 해양레저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부산.여수.목포.통영 등에는 크루즈 기반시설을 갖추고 국제크루즈 선사를 유치한다. 요트 등 해양스포츠를 위해 주요 관광거점 지역에는 마리나 시설을 조성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또 선벨트를 글로벌 경제 및 물류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부산, 신안, 영암, 고성 등지에는 '조선산업 클러스터'를 만든다.

아울러 부산신항과 광양항은 동북아 종합 물류거점으로 육성하고, 부산.여수.목포.거제.통영항 등을 재정비해 관광미항으로 조성한다.

◇남해권 '2시간 생활권'...통합인프라 구축 = 국토부는 남해안권의 접근성을 높이고 동.서간 연계 교통인프라를 확충해 통합생활권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남해안의 해안선과 섬을 잇는 77번 국도를 점진적으로 확충해 목포~부산을 2시간대 생활권으로 단축시킨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으로 다도해.한려수도권에는 연륙, 연도교 설치도 검토된다.

또 수도권.중부권에서 접근이 편리하도록 경부고속철도는 물론 호남고속철도 건설도 차질없이 진행하고 남해안 일주철도를 고속화하기 위해 기존 경전선 등을 확충해 단계적으로 복선.전철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내륙연계 고속도로망(광주~완도, 통영~거제)도 타당성 검토 등을 거쳐 추진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부산의 항만기능 지원과 도심권 관광거점을 연결하기 위해 천마터널 등 항만배후 교통망과 물류도시를 연결하는 경전철 건설과 부산일주도로 건설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동서통합 및 지역발전 거점 육성 = 섬진강을 중심으로 영호남이 교차하는 '남중권(전남 동부 및 경남 서부지역)'은 남해안권 발전의 중추거점으로 육성된다.

국토부는 이를 위해 우선 남중권을 중심으로 동서간 상생발전 및 인적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섬진강변(여수.광양.하동.남해)을 잇는 100리(40km)길은 벚꽃, 매화, 녹차 등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텔링형 테마로드'를 조성하고, 동서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연륙교(가칭 한려대교) 건설을 추진한다.

여수세계박람회 단지와 인접한 여수 신항주변을 정비.재생하고 인근 서상항에 는 페리 터미널, 신월지구에는 관광단지 등을 조성해 지역 관광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선벨트의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지역발전과 산업파급 효과가 큰 사업부터 순차적으로 시행하고, 재정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외자본과 민간자본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또 사업지원을 위해 조만간 범정부적인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난개발 방지를 위해 연내 해안경관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등 제도 정비에 나선다.

이번에 수립된 종합계획은 다음달 초 동서남해안권 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 고시된다.

국토부는 오는 2020년까지 남해안 선벨트 사업이 모두 마무리되면 48조원의 생산유발, 20조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기대되고, 22만개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 Recent posts